$\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d/ZSM-5 촉매와 저온 플라즈마를 이용한 사과와 키위의 상온 저장 안정성 향상
Improvement of Storage Stability of Apple and Kiwi at Room Temperature Using Pd/ZSM-5 Catalyst and Nonthermal Plasma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32 no.5, 2021년, pp.547 - 555  

김승건 (제주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  이호원 (제주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  목영선 (제주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  유승민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플라즈마기술연구소) ,  전형원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플라즈마기술연구소) ,  김성봉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플라즈마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촉매-플라즈마 반응기를 농산물(사과, 키위) 저장고에 적용하여 저장 중 발생되는 에틸렌을 제거하고자 하였다. 1 m3 유닛 컨테이너 2개를 제작하여 에틸렌을 처리하지 않는 대조군과 발생하는 에틸렌을 촉매와 플라즈마에 의해 처리하는 실험군으로 구분하여 상온에서의 장기 저장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실험군에는 곰팡이 등의 세균 증식을 억제하기 위하여 소량의 오존을 주입하였다. 상온에서 사과와 키위를 각각 50 day와 57 day 동안 저장하여 에틸렌 농도 변화, 경도, 당도, 산도, 및 손실율을 비교하였다. 저장기간 동안의 에틸렌 농도 변화는 대조군이 실험군에 비해 높게 나타나 실험군에서 에틸렌이 효과적으로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 후의 경도, 당도 및 당산비는 저장 전에 비해 좋게 나타났으며, 특히 키위가 사과에 비해 높게 향상하였다. 또한 저장 종료 후, 대조군에서 사과와 키위의 손실율은 각각 10%와 54.1%로 나타났으나, 실험군에서의 손실율은 각각 6%와 34.8%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험군의 저장성이 대조군에 비해 좋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catalyst-plasma reactor was applied to the storage of agricultural products, e.g., apple and kiwi, to remove the ethylene generated during the storage. Two 1-m3 unit containers were prepared, and the long-term storage stability of the control group at room temperature was compared with that of the...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25)

  1. Y. P. Hong, Horticultural products and ethylene, Bulletin of food technology, 8, 27-33 (1995). 

  2. Y. H. Kim and I. J. Lee, Influence of plant growth regulator application on seed germination of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Weed Turf. Sci., 2, 152-158 (2013). 

  3. S. Janssen, K. Schmitt, M. Blanke, M. L. Bauersfeld, J. Wollenstein and W. Lang, Ethylene detection in fruit supply chains, Phil. Trans. R. Soc. A, 372, 20130311 (2021). 

  4. J. O. Jo, Y. J. Hyun and Y. S. Mok, Removal of ethylene generated during storage of 'Hogro' apple using plasma-catalytic and ozone treatment, J. Agric. Life Sci., 51, 193-204 (2017). 

  5. H. S. Chung and J. U. Choi, Production of ethylene and carbon dioxide in apples during CA storage,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153-160 (1999). 

  6. I. L. Choi, J. P. Baek and H. M. Kang, Identification of suitable film type and temperature for green and gold kiwifruit MA condition using non-perforated film, J. Agri. Life Environ. Sci., 25, 65-70 (2013). 

  7. P. Kwanhong, B. S. Lim, J. S. Lee, H. J. Park and M. H. Choi, Effect of 1-MCP and temperature on the quality of Red-fleshed kiwifruit (Actinidia chinensis), Korean J. Hortic. Sci. Technol., 35, 199-209 (2017). 

  8. H. L. Eum, E. J. Lee and S. J. Hong, Effect of NO treatment during shelf life of Hayward kiwifruit after storage at cold temperature, Korean J. Hortic. Sci. Technol., 32, 666-672 (2014). 

  9. H. S. Chung, J. B. Lee and K. D. Moon, Effects of medicinal herb extracts and heat and coating treatments on the browning degree of fresh-cut apples, Korean J. Food Preserv., 19, 813-817 (2012). 

  10. J. D. Monzon, A. M. Pereyra, M. R. Gonzalez, M. S. Legnoverde, M. S. Moreno, N. Gargiulo, A. Peluso, P. Aprea, D. Caputo, and E. I. Basaldella, Ethylene adsorption onto thermally treated AgA-Zeolite, Appl. Surf. Sci., 542, 148748 (2021). 

  11. I. S. Minas, A. R. Vicentec, A. P. Dhanapal, G. A. Manganaris, V. Goulas, M. Vasilakakis, C. H. Crisosto and A. Molassiotis, Ozone-induced kiwifruit ripening delay is mediated by ethylene biosynthesis inhibition and cell wall dismantling regulation, Plant Sci., 229, 76-85 (2014). 

  12. T. H. Chang, L. C. Wu, Y. T You and Y. C. Chung, Removal of ethylene and bioaerosol by chlorine dioxide using a chemical scrubbing system in a fruit and vegetable storage facility, J. Environ. Sci. Health A: Tox. Hazard. Subst. Environ. Eng., 44, 258-64 (2009). 

  13. M. W. Cho, S. Yoon, Y. K. Park, W. C. Choi, H. Y. Kim S. park and C. W. Lee, Removal of ethylene over KMnO 4 /silica-alumina : Effect of synthesis methods and reaction temperature, J. Korean Ind. Chem., 20, 407-410 (2009). 

  14. S. B. Lee, J. O. Jo, D. L. Jang and Y. D. Mok, Decomposition of ethylene using a hybrid catalyst-packed bed plasma reactor system, J. KOSAE, 30, 577-585 (2014). 

  15. Y. S. Mok, S. G. Kim, J. Han, D. B. Nguyen, H. W. Lee, H. Jeon and S. B. Kim, Removal of dilute ethylene using repetitive cycles of adsorption and plasma-catalytic oxidation over Pd/ZSM-5 catalyst, J. Phys. D: Appl. Phys., 53, 334002 (2020). 

  16. H. W. Lee, H. Lee, and Y.-K. Park, Decomposition of odor pollutant acetaldehyde using Mn loaded microporous zeolites, Appl. Chem. Eng., 31, 57-60 (2020). 

  17. H. W. Park, S. H. Kim, H. S. Cha, Y. H. Kim and M. R. Kim, Effect of MA package on quality of 'Fuji' apple, Korean J. Food Preserv., 11, 468-471 (2004). 

  18. H. W. Park, J. D. park, S. I. Hong and D. M. Kim, Changes in respirator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sugaru' apple by storage temperature,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7, 113-138 (2000). 

  19. J. Yoo, S. Y. Lee, N. M. Win, S. I. Kwon, H. Y. Jung, Y. J. Cho and I. K. Kang, Effects of cold storage temperature treatments on fruit quality attributes in 'Hongro' apples, Korean J. Food Preserv., 25, 779-785 (2018). 

  20. P. Bourke, D. Ziuzina, L. Han, P. J. Cullen and B. F. Gilmore, Microbiological interactions with cold plasma, J. Appl. Microbiol., 123, 308-324 (2017). 

  21. N. Keller, M. N. Ducamp, D. Robert and V. Keller, Ethylene Removal and Fresh Product Storage: A Challenge at the Frontiers of Chemistry. Toward an Approach by Photocatalytic Oxidation, Chem. Rev., 113, 5029-5070 (2021). 

  22. S. Matsumoto, T. Obara and B. S. Luh, Changes in chemical constituents of kiwifruit during post-harvest ripening, J. Food Sci., 48, 607-611 (1983). 

  23. Y. J. Lim, C. K. Lim and S. H. Eom, Changes in bioactive bomponents, antioxidant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cholinesterase inhibition activities in periodically harvested and post-harvested kiwifruits, Korean J. Hortic. Sci. Technol., 36, 569-581 (2018). 

  24. Y. S. Park, M. H. Im and S. Gorinstein, Shelf life extens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ayward' kiwi fruit as a result of prestorage conditioning and 1-methylcyclopropene treatment, J. Food Sci. Technol., 52, 2711-2720 (2015). 

  25. Y. J. Yang and B. S. Lim, Temperature and length of cold storage affect the Quality Maintenance of fresh kiwifruit (Actinidia chinensis Planch), JKAIS, 18, 256-261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