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andsat 위성 영상으로부터 Modified U-Net을 이용한 백두산 천지 얼음변화도 관측
Observation of Ice Gradient in Cheonji, Baekdu Mountain Using Modified U-Net from Landsat -5/-7/-8 Images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8 no.6 pt.2, 2022년, pp.1691 - 1707  

이어루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이하성 (기상청 지진화산연구과) ,  박순천 (기상청 지진화산연구과) ,  정형섭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반도와 중국 경계에 위치한 백두산의 칼데라호인 천지호는 계절에 따라 해빙과 결빙을 반복한다. 천지 아래에는 마그마 챔버가 존재하며 마그마 챔버의 변화에 의해 온천수의 온도 및 수압 변화와 같은 화산 전조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천지호 내에서 다른 부분보다 해빙이 빠르며 결빙기에도 늦게 얼며 물표면 온도가 높은 이상지역이 존재하게 된다. 해당 이상지역은 온천수 방출 지역으로, 이상지역의 얼음변화도 값을 통해 화산활동모니터링 할 수 있다. 그러나 지리적, 정치적 그리고 공간적 문제로 천지의 이상지역을 주기적으로 관측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andsat -5/-7/-8 광학위성영상으로부터 Modified U-Net 회귀모델을 이용하여 이상지역내의 얼음변화도를 정량적으로 관측하였다. 1985년 1월 22일부터 2020년 12월 8일까지 이상지역을 갖는 83장의 Landsat 영상의 Visible and Near Infrared (VNIR)대역을 활용하였다. 얼음 변화도를 정량적으로 관측을 위해 VNIR대역에서 수체와 얼음과의 상대적인 분광반사도를 활용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만들었다. 가시광선대역과 근적외선 대역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최대한 유지하기 위해 2개의 인코더를 가진 U-Net에 적용하여 얼음변화도를 관측하였으며 Root Mean Square Error (RMSE) 140, 상관계수 0.9968의 높은 예측 성능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Modified U-Net을 활용하면 추후 Landsat 영상으로부터 얼음변화도 값을 높은 정확도로 관측하므로 백두산 화산활동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중 하나로 사용될 수 있으며, 다른 화산 모니터링 기법과 더불어 활용한다면 더욱 정밀한 화산감시체계 구축이 가능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eonji Lake, the caldera of Baekdu Mountain, located on the border of the Korean Peninsula and China, alternates between melting and freezing seasonally. There is a magma chamber beneath Cheonji, and variations in the magma chamber cause volcanic antecedents such as changes in the temperature and w...

주제어

표/그림 (1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U-Net 모델의 구조적 한계를 극복한 Modified U-Net을 활용하여 Landsat 광학위성영상의 VNIR 대역으로부터 얼음변화도를 관측 및 모델 성능을 확인했다. 1988년부터 2020년까지 천지가 결빙된 총 83장의 영상을 수집하여 전처리 과정을 거쳐 Blue, Green, Red 그리고 Near Infrared (NIR) 대역 정보를 가진 학습데이터를 생성하였다.
  • 이에 따라 천지의 백운봉 아래 천지지역에는 다른 천지 부분보다 얼음이 빨리 융해되고 늦게 얼며 지표온도가 높은 이상지역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산활동으로 의해 이상지역의 얼음변화도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Landsat 광학위성영상을 활용하여 얼음변화도 값을 관측했으며, 이를 딥러닝 모델인 Modified U-Net에 적용하여 추후의 영상에서도 효율적이고 정확한 얼음변화도 값을 관측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천지가 얼어 있는 1985년부터 2020년까지 12~3월 영상을 활용하였다.
  • 위성영상 특성상 추후에도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제공하며, 제공된 데이터에 대해 이러한 후처리 작업을 통해 얼음변화도 값을 측정하는 것은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Modified U-Net을 활용하여 추후의 시계열 광학위성영상에 대해 자동적으로 얼음 변화도 값을 측정하는 모델을 학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에 따라, 물 또는 짙은 그림자와 얼음의 상대적인 분광 반사도 차이를 이용하면 결빙된 천지내에서 융해된 지역의 경계를 뚜렷하게 구분할 수 있으며, 이상지역에서의 얼음이 상대적으로 융해된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먼저 영상의 입력데이터 Blue, Green, Red 그리고 NIR 밴드의 반사도 값을 모두 더하고, 천지호 내에서 수체 부분의 반사도 값을 1로, 호수의 얼음 반사도 값을 0으로 가정한다. 이 때 천지의 시계열 영상 중에는 얼음이 전혀 녹지 않은 시기의 영상의 경우에는 수체 대신 그림자가 짙게 진 부분의 값을 활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ek, W.K., 2022. Phase Unwrapping Using Modified U-Net Regression Model: Focusing on Network Structure and Training Data Optimization,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ai, T. and R.R. Draxler, 2014. Root mean square error (RMSE) or mean absolute error (MAE)-Arguments against avoiding RMSE in the literature, Geoscientific Model Development, 7(3): 1247-1250. https://doi.org/ 10.5194/gmd-7-1247-2014 

  3. Chavez, P.S., 1996. Image-based atmospheric corrections revisited and improved, American Society for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62: 1025-1036. 

  4. D'Allestro, P. and C. Parente, 2015. GIS application for NDVI calculation using Landsat 8 OLI images,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ngineering Research, 10(21): 42099-42102. 

  5. Egghe, L. and L. Leydesdorff, 2009. The relation betwee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alton's cosine measure,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0(5): 1027-1036. https://doi.org/10.1002/asi.21009 

  6. Guangming, W.U., C.H.E.N. Qi, R. Shibasaki, G.U.O. Zhiling, S.H.A.O. Xiaowei, and X.U. Yongwei, 2018. High precision building detection from aerial imagery using a U-Net like convolutional architecture, Acta Geodaetica et Cartographica Sinica, 47(6): 864. https://doi.org/10.11947/j.AGCS.2018.20170651 

  7. Han, H. and C.K. Lee, 2018. Analysis of ice velocity variations of Nansen ice shelf, East Antarctica, from 2000 to 2017 using Landsat multispectral image matching,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4(6-2): 1165-1178. http://dx.doi.org/10.7780/kjrs.2018.34.6.2.2 

  8. Han, Y., Y. Gao, Y. Zhang, J. Wang, and S. Yang, 2019. Hyperspectral sea ice image classification based on the spectral-spatial-joint feature with deep learning, Remote Sensing, 11(18): 2170. https://doi.org/10.3390/rs11182170 

  9. Horn, S. and H.U. Schmincke, 2000. Volatile emission during the eruption of Baitoushan volcano (China/North Korea) ca. 969 AD, Bulletin of Volcanology, 61: 537-555. https://doi.org/10.1007/s004450050004 

  10. Hou, B., Q. Liu, H. Wang, and Y. Wang, 2019. From W-Net to CDGAN: Bitemporal change detection via deep learning techniques,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58(3): 1790-1802. https://doi.org/10.1109/TGRS.2019.2948659 

  11.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7. A Study on the Trend Analysis of Surface Temperature Change and System Construction for Monitoring the Distance of Volcanic Activity (III),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eoul, Korea, pp. 78-80 (in Korean). 

  12.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1. Development of Monitoring Technology through Analysis of Changes in Surface Temperature before and after Volcanic eruption,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eoul, Korea, 54pp (in Korean). 

  13. Park, S.H., M.J. Lee, and H.S. Jung, 2012. Analysis on the Snow Cover Variations at Mt. Kilimanjaro Using Landsat Satellite Image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8(4): 409-4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7780/kjrs.2012.28.4.5 

  14. Perez, L. and J. Wang, 2017. The effectiveness of data augmentation in image classification using deep learning, arXiv preprint arXiv:1712.04621. https://doi.org/10.48550/arXiv.1712.04621 

  15. Schmidt, J., M.R. Marques, S. Botti, and M.A. Marques, 2019. Recent advances and applications of machine learning in solid-state materials science, npj Computational Materials, 5(1): 1-36. https://doi.org/10.1038/s41524-019-0221-0 

  16. Simonyan, K. and A. Zisserman, 2014. Very deep convolutional networks for large-scale image recognition, arXiv preprint arXiv:1409.1556. https://doi.org/10.48550/arXiv.1409.1556 

  17. Suh, J., H. Yi, S.M. Kim, and H.D. Park, 2013. Prediction of the Area Inundated by Lake Effluent According to Hypothetical Collapse Scenaros of Cheonji Ground at Mt. Baekdu,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3(4): 409-4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9720/kseg.2013.4.409 

  18. Wei, H.Q., G.M. Liu, and J. Gill, 2013. Review of eruptive activity at Tianchi volcano, Changbaishan, northeast China: implications for possible future eruptions, Bulletin of Volcanology, 75(4): 1-14. https://doi.org/10.1007/s00445-013-0706-5 

  19. Xu, J., G. Liu, J. Wu, Y. Ming, Q. Wang, D. Cui, and J. Liu, 2012. Recent unrest of Changbaishan volcano, northeast China: A precursor of a future eruption?,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9(16). https://doi.org/10.1029/2012GL052600 

  20. Yao, W., Z. Zeng, C. Lian, and H. Tang, 2018. Pixel-wise regression using U-Net and its application on pansharpening, Neurocomputing, 312: 364-371. https://doi.org/10.1016/j.neucom.2018.05.103 

  21. Yu, Z., T. Li, G. Luo, H. Fujita, N. Yu, and Y. Pan, 2018. Convolutional networks with cross-layer neurons for image recognition, Information Sciences, 433: 241-254. https://doi.org/10.1016/j.ins.2017.12.045 

  22. Yun, S.M. and C.H. Oh, 2014. Invited Editor's Note: Impact of Probable Volcanic Eruption of Mt. Baekdusan to Han Peninsula and the Corresponding Actions, International Area Studies, 18(3): 7-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18327/jias.2014.09.18.3.7 

  23. Yun, S.H. and J.H. Lee, 2012. Analysis of Unrest Signs of Activity at the Baegdusan Volcano,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1(1): 1-1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7854/JPSK.2012.21.1.001 

  24. Yun, S.H., 2013. Conceptual Design for the Dispersal and Deposition Modelling of Fallout Ash from Mt. Baekdu Volcano,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2(4): 273-289. https://doi.org/10.7854/JPSK.2013.22.4.2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