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합 재해지도 작성 기법 개발(II) : 리스크 분석을 적용한 재해지도 작성
Development of integrated disaster mapping method (II) : disaster mapping with risk analysi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5 no.1, 2022년, pp.85 - 97  

박준형 (행정안전부 국가민방위재난안전교육원) ,  김병현 (경북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위험도를 나타내는 침수예상도와 취약도를 나타내는 재해취약지수를 동시에 고려한 통합 리스크 지도 작성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한 장의 지도에 다양하고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대피계획을 동반한 실제 상황에서 활용 가능한 새로운 재해지도를 작성하였다. 재해지도에 인문·사회·경제적인 요소를 고려하기 위해, 연구유역을 노출성, 취약성, 대응성, 복구성 인자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인자들에 대한 7가지 지표를 GIS 도구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각 지표별로 추출된 자료를 1~5등급으로 등급화 하였으며, 각 등급화된 자료를 재해취약지수로 선정하여 통합 리스크 분석 및 인자별 리스크 지도 작성에 활용하였다. 침수예상도와 재해취약지수 인자를 중첩한 인자별 리스크 지도는 인구, 자산, 건물 등을 포함한 지역별 상황을 반영하여 대피계획 수립에 활용하였다. 또한, 서로 다른 단위와 성질을 가진 재해취약지수 인자들의 표준화를 통해 하나의 취약도로 환산하고, 위험도를 동시에 고려한 통합 리스크 분석 방안도 제안하였다. 이는 재해지도 작성시 침수 위험도와 사회·인문·경제적인 요인을 동시에 고려한 구체적이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재해에 대한 대비·대응·복구 계획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 method for an integrated flood risk mapping was proposed that simultaneously considers the flood inundation map indicating the degree of risk and the disaster vulnerability index. This method creates a new disaster map that can be used in actual situations by providing various and s...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15)

  1. Biz-Gis (2006). Korea, accessed 10 November, . 

  2. Cho, W.H., Han, K.Y., and Ahn, K.H. (2010). "Flood risk mapping with FLUMEN model applic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0, No. 2b, pp. 169-177. 

  3. Kim, T.H. (2013). Flood risk mapping based on the fuzzy MCDM by combining inland and river inundations with basin runoff. Ph.D.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4. Kwon, J.S., Yoon, D.H., and Koh, J.H. (2015). "Analysis of shelters acceptable range according to evacuation speed during flood disaster by severe rain stor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5, No. 3, pp. 115-123. 

  5. Lee, G.M., Choi, J.W., and Jun, K.S. (2016a). "An approach of social vulnerability assessment to urban flo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6, No. 4, pp. 43-51. 

  6. Lee, J.S., Nam, Y.K., Choi, H.I., and Cho, G.T. (2016b). "Flood risk assessment by integrating results from average index method and PROMETHE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6, No. 1, pp. 275-280. 

  7. Lim, H.T., Kim, J.M., Park, S.Y., Sim, G.S., Kim, J.S., and Kim, Y.S. (2015). "A fundament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tandard visualization model for disaster information ma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5, No. 2, pp. 179-188. 

  8. Lim, K.S., Choi, S.J., Lee, D.R., and Moon, J.W. (2010). "Development of flood risk index using causal relationships of flood indicat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0, No. b1, pp. 61-70. 

  9.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MOIS) (2020). Guidelines for drawing up disaster maps, Etc. 

  10. Nardo, M., Saisana, M., Saltelli, A., and Taranta, S. (2005). Tools for composite indicators building. European Communities, European Communities, Italy, pp.44-51. 

  11. Office federal de l'economie des eaux (OFEE), Office federal de l'amenagement du territoire (OFAT), and Office federal de l'environnement, des forets et du paysage (OFEFP) (1997). Prise en compte des dangers dus aux crues dans le cadre des activites de l'amenagement du territoire, Bienne, Switzerland. 

  12. Pappenberger, F., Frodsham, K., Beven, K., Romanowicz, R., and Matgen, P. (2006). "Fuzzy set approach to calibrating distributed flood inundation models using remote sensing observations. Journal of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Vol. 3, pp. 2243-2277. 

  13. Park, Y.K., Yang, J.S., and Kim, S.D. (2016). "Social and economic disaster vulnerability assessment considering urban characteristics of Seou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6, No. 1, pp. 337-345. 

  14. Priest, S., Wilson,, T., Tapsell, S., Penning-Rowsell, E., Viavattene, C., and Fernandez-Bilbao, A. (2007). Building a model to estimate risk to life for European flood events. Report NO. T10-07-10, FLOODsite, UK. 

  15. Statistics Korea (1996). Korea, accessed 10 November, .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