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누아리(Grateloupia filicina)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능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Grateloupia filicina extract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2 no.1, 2022년, pp.119 - 126  

유미영 (건국대학교 생물공학과) ,  이상현 (건국대학교 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최적의 조건에서 추출된 지누아리 추출물의 항산화능과 항염능을 확인하였다. 다양한 ethanol 수용액으로 지누아리의 유용물질을 추출하여 DPPH, ABTS, nitrite 라디컬 소거능을 측정하고, 폴리페놀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하였다. 20% ethanol 수용액으로 추출한 경우에 라디컬 소거능이 가장 우수하였고,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 또한 가장 높았다. 이로부터 20% ethanol 수용액이 지누아리의 항산화 및 항염 물질을 효율적으로 추출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RAW 264.7 세포주를 이용하여 지누아리 추출물의 세포독성과 항염능을 확인하였다. 지누아리 추출물은 200 ㎍/mL의 농도에서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고, 이 농도에서 50% 이상의 NO 생성 억제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로 지누아리 추출물은 항산화 및 항염 특성을 지니는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 사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 ability, anti-inflammatory ability and whitening effect of the extracted Grateloupia filicina under optimal conditions were confirmed. The useful substances of Grateloupia filicina were extracted with various ethanol aqueous solutions to measure DPPH, ABTS, and nitrite...

주제어

표/그림 (7)

참고문헌 (18)

  1. J. W. Back & K. H. Lee. (2014). The Present of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Maritime Agend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32(4), 397-402. DOI : 10.11626/KJEB.2014.32.4.397 

  2. J. S. Lee. (2008). Chemistry and Utilization of Algae. pp. 16-45. Hyoil, Seoul, Korea. 

  3. S. J. Kim, K. S. Lee, S. H. Mo, J. B. Park, J. G. Oh, Y. J. Jeong, T. G. Kwon & T. G. Lee. (2013). 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ix Edible Seaweed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6), 3081-3088. DOI : 10.5762/KAIS.2013.14.6.3081 

  4. C. Deville, M. Gharbi, G. Dandrifosse & O. Peulen. (2007). Study on the effects of laminarin, a polysaccharide from seaweed, on gut characteristics. Journal of the Science of Food and Agriculture, 87(9), 1717-1725. DOI : 10.1002/jsfa.2901 

  5. Q. Wu, X. P. Fu, L. C. Sun, Q. Zhang, G. M. Liu, M. J. Cao & Q. F. Cai. (2015). Effects of physicochemical factors and in vitro gastrointestinal digestion on antioxidant activity of R-phycoerythrin from red algae Bangia fusco-purpurea.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Science & Technology, 50(6), 1445-1451. DOI : 10.1111/ijfs.12775 

  6. D. Lee, M. Nishizawa, Y. Shimizu & H. Saeki. (2017). Anti-inflammatory effects of dulse (Palmaria palmata) resulting from the simultaneous water-extraction of phycobiliproteins and chlorophyll a. Food Research International, 100, 514-521. DOI : 10.1016/j.foodres.2017.06.040 

  7. S. Afreen & T. Fatma. (2018). Extraction,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hycoerythrin from Michrochaete and its biological activities. Biocatalysis and agricultural biotechnology, 13, 84-89. DOI : 10.1016/j.bcab.2017.11.012 

  8. U. Panich, T. Onkoksoong, K. Kongtaphan, K. Kasetsinsombat, P. Akarasereenont & A. Wongkajornsilp. (2011). Inhibition of UVA-mediated melanogenesis by ascorbic acid through modulation of antioxidant defense and nitric oxide system.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34(5), 811-820. DOI : 10.1007/s12272-011-0515-3 

  9. E. Kohl, J. Steinbauer, M. Landthaler & R. M. Szeimies. (2011). Skin ageing. Journal of the European academy of dermatology and venereology, 25(8), 873-884. DOI : 10.1111/j.1468-3083.2010.03963.x 

  10. Y. Athukorala, K. W. Lee, C. Song, C. B. Ahn, T. S. Shin, Y. J. Cha ... & Y. J. Jeon. (2003). Potential antioxidant activity of marine red alga Grateloupia filicina extracts. Journal of Food Lipids, 10(3), 251-265. DOI : 10.1111/j.1745-4522.2003.tb00019.x 

  11. R. R. Sonani, N. K. Singh, J. Kumar, D. Thakar & D. Madamwar. (2014). Concurrent purific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hycobiliproteins from Lyngbya sp. A09DM: An antioxidant and anti-aging potential of phycoerythrin in Caenorhabditis elegans. Process Biochemistry, 49(10), 1757-1766. DOI : 10.1016/j.procbio.2014.06.022 

  12. B. M. Kim, J. Y. Jeon, Y. B. Park & I. H. Jeong.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s from Seawee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5(8), 1097-1101. 

  13. M. R. Jo, D. J. Lee & S. G. Yu. (2012).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and Solvent Partitioned Fractions from Various Red Seaweeds. Ocean and Polar Research, 34(4), 445-451. DOI : 10.4217/OPR.2012.34.4.445 

  14. S. M. Ahn, Y. K. Hong, G. S. Kwon & H. Y. Sohn. (2011). Evaluation of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seaweed extracts. Journal of Life Science, 21(4), 576-583. DOI : 10.5352/JLS.2011.21.4.576 

  15. C. S. Kwak, S. A. Kim & M. S. Lee. (2005). The Correlation of Antioxidative Effects of 5 Korean Common Edible Seaweeds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4(8), 1143-1150. DOI : 10.3746/jkfn.2005.34.8.1143 

  16. C. Park & H. Yoon. (2019).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Gracilaria textorii Ethanol Extract in LPS-PG-Stimulated Human Gingival Fibroblast-1 Cel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7(4), 61-69. DOI : 10.15268/ksim.2019.7.4.061 

  17. D. Salvemini, Z. Q. Wang, P. S. Wyatt, D. M. Bourdon, M. H. Marino, P. T. Manning & M. G. Currie. (1996). Nitric oxide: a key mediator in the early and late phase of carrageenan-induced rat paw inflammation. British journal of pharmacology, 118(4), 829-838. DOI : 10.1111/j.1476-5381.1996.tb15475.x 

  18. A. S. Michel, M. M. Mestdagh & M. A. V. Axelos. (1997).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arrageenan gels in presence of various c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Biological Macromolecules, 21(1-2), 195-200. DOI : 10.1016/S0141-8130(97)0006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