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수원시 자전거 전용차로 도입 방안
Planning Routes of Bicycle Lanes in Suwon City Using Big Data Analysis 원문보기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42 no.1, 2022년, pp.45 - 56  

김숙희 (수원시정연구원) ,  김형준 (수원시정연구원) ,  이남일 (화성시청 버스혁신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수원시 내 공유자전거 도입 및 이용이 활성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자전거 도로 인프라가 확충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못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원시 자전거 전용차로 도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모바이크에서 제공한 2018년 9월 10일~16일 기간 내 공유자전거 이용 데이터와 교통유발시설 현황 데이터를 기반으로 입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수원시 내 자전거 전용차로 도입 적정 구간을 선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수원시 내 자전거 전용차로 우선 도입구간으로 총 2개, 5.6 km 구간을 선정하였다. 해당 구간들은 기존 자전거 도로 인프라 또는 교통유발시설과의 연계가 용이하고, 기운영중인 자전거 도로를 활용하여 설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기존 도로공간 점유로 인한 교통정체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수원시 내 자전거 전용차로 도입 활성화 및 인프라 정비 사업 확대, 공유자전거 및 공유 PM 등 공유형 교통수단 이용 활성화, 관내 지속가능 도시교통체계가 구현되길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bicycle sharing system is introduced and the usage of shared bicycles is increasing in Suwon city. Despite the need to expand the bicycle road infrastructure, this is not the case. Therefore, this research attempts to propose a method for bicycle lane installation in Suwon city. For this, ...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16)

  1. CROW (2007). Design manual for bicycle traffic, CROW, Utrecht, Netherlands. 

  2. Do, M. S. and Noh, Y. S. (2014). "Analysis of the Affecting Factors on the Bike-sharing Demand focused on Daejeon C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34, No. 5, pp. 1517-1524 (in Korean). 

  3. El-Assi, W., Mahmoud, M. S. and Habib, K. N. (2017). "Effects of built environment and weather on bike sharing demand: a station level analysis of commercial bike sharing in Toronto." Transportation, Vol. 44, No. 3, pp. 589-613. 

  4.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FHWA) (2015). Separated bike lane planning and design guide, US Department of Transport, Washington D.C., United States of America. 

  5. French, G., Steer, J. and Richardson, N. (2014). Handbook for cycle-friendly design, Sustrans, London, United Kingdom. 

  6. Guo, Y., Zhou, J., Wu, Y. and Li, Z. (2017). "Identifying the factors affecting bike-sharing usage and degree of satisfaction in Ningbo, China." PLoS ONE, Vol. 12, No. 9, pp. 1-19. 

  7. Gwiasda, P. and Bracher T. (2010). Recommendations for cycling facilities, FGSV, Cologne, Germany. 

  8. Lee, J. H., Jeong, G. O. and Shin, H. C. (2016). "Impact analysis of weather condition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s on the usage of public bike sharing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KST, Vol. 34, No. 5, pp. 394-408 (in Korean). 

  9.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MLIT) (2016). Guidelines for creating a safe and comfortable bicycle usage environmen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Tokyo, Japan (in Korean). 

  10.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MOIS) (2016). Installation and management guidelines for bicycle facilities (in Korean). 

  11. Seoul City Hall (2016). Seoul type bicycle road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manual (in Korean). 

  12. Suwon City Hall (2018). Public transportation basic plan for Suwon city (in Korean). 

  13. Suwon City Hall (2021). Number of operating shared bicycle (TAZO) will be increasing up to 2,000 units in Suwon city, Suwon City Hall, News Report (in Korean). 

  14. Transport for London (2014). London cycling design standards, mayor of london, London, United Kingdom. 

  15. Won, J. M. and Jin, W. Y. (2012). "A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criteria for bicycle's facilities of attending work and school tri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32, No. 5D, pp. 429-435 (in Korean). 

  16. Zhang, Y., Thomas, T., Brussel, M. and Maarseveen, M. V. (2017). "Exploring the impact of built environment factors on the use of public bikes at bike stations: Case study in zhongshan, China."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Vol. 58, pp. 59-7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