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의 시각 요소가 MZ세대의 구매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Effect of Visual Elements of Cosmetic Package Design on Purchasing of MZ Genera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20 no.2, 2022년, pp.383 - 388  

이주연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디지털미디어디자인 전공) ,  김승인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디지털미디어디자인 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MZ세대가 선호하는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의 시각 요소와 그것이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를 통해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의 시각 요소를 네이밍, 브랜드 로고, 색채, 타이포그래피, 레이아웃, 일러스트레이션, 소재와 후가공, 의미성, 총 8가지로 분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설문조사와 1:1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MZ세대가 선호하는 구체적인 시각 요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MZ세대는 화려하고 장식적인 스타일보다 깔끔한 구성을 선호하고, 8가지 시각 요소 중 브랜드 로고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다. 또한, 브랜드가 추구하는 가치는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지만, 가성비와 같은 선상에서 비교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향후 MZ세대를 위한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의 방향성 제시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bout the elements of cosmetic's package design which MZ generation prefer and the effect on purchase. Naming, brand logo, color, typography, layout, illustration, matter & finish, and meaningful are classified 8 visual elements through the pilot study. After that this study analyzes s...

주제어

표/그림 (3)

참고문헌 (22)

  1. I. U. Song. (2015). Analysis of Visual Elements of Package Design in Cosmetics - with a focus on Global Cosmetics Brands.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13(2), 169. 

  2. H. Y. Song & J. H. Lee. (2015). Press release 2015-11. Univtomorrow. www.20slab.org/Archives/2559 

  3. J. H. Yoon & A. Y. Jo. (2021). "Sniping the taste of the MZ generation"... Cosmetics industry replacing with 'eco-friendly containers'. https://www.vop.co.kr/A00001602576.html 

  4. Univtomorrow. (2018). Trend MZ 2019 : Millennial-Z generation 5 marketing trends. Seoul : Hanbit Biz. 

  5. Y. S. Kwon. (2019). What is the MZ generation. Chosun Media. http://digitalchosun.dizzo.com/site /data/html_dir/2019/11/01/2019110180254.html 

  6. J. P. Seo. (2020). You can see the digital world if you know MZ generation. Fashion Insight. https://www.fi.co.kr/main/view.asp?idx68279 

  7. H. Y. Jeon. (2021). Meaning and feature of 'MZ generation'. TW News. https://www.jejutwn.com/news/article.html?no80307 

  8. Y. J. Park. (2019). A study on the effect of color cosmetic product package design on purchase intention - Focus on color cosmetic product for teenager. Master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18. 

  9. D. S. Choi. (2006). Package Design. Seoul : Ahngraphics. 12. 

  10. G. H. Kim. (2003). A Study of Package Design and Consumer's Purchasing Habit in the Future. Journal of Package Design Institute of Korea, 13, 13. 

  11. W. S. Lee. (2021). Lotte Kkoggalcone, Design renewal. Bokuennews. http://www.bokuennews.com/news/article.html?no210367 

  12. M. Y. Kim. (2010). Research on visual elements in color cosmetic product package designs affect purchase buying behavior in individual consumer types - Focused on, mid to low priced, color cosmetic product packaging. Master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55-63. 

  13. Y. J. Park. (2019). A study on the effect of color cosmetic product package design on purchase intention - Focus on color cosmetic product for teenager. Master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25. 

  14. M. Y. Kim. (2020). A Study on the Visual Expression of Color Makeup Cosmetics Package Design in Accordance with Market Changes in Health & Beauty Stores - Focusing on Lip Package Design. Hong-Ik University. 165. 

  15. Y. J. Lee. (2009). A Study of the Effect of Package Design's Central and Peripheral Cues on Consumers' Purchase Behavior - Focusing on the package design for organic cosmetics. Master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46-54. 

  16. I. U. Song. (2015). Analysis of Visual Elements of Package Design in Cosmetics - with a focus on Global Cosmetics Brands.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13(2), 173. 

  17. S. H. Mok. (2012). A Study on the Signification of Package Design Signs - Focusing on Cosmetic Brands. Master dissertation. Chung- Ang University. 16-33. 

  18. S. K. Jin. (2013). Analysis Study on the Package Design of Chinese Pien Tze Huang Cosmetics. Master dissertation. Tong-Myong University. 14-29. 

  19. A. R. Go. (2018). Makeup Behavior and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with respect to Adult Women's Consumption.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14(1), 117. 

  20. H. Y. Kim. (2021). Leading 'Meaning out'...79% MZ generation "I am a value consumer". Asia Economy. https://view.asiae.co.kr/article/2021072911035097081 

  21. S. J. Jo. (2021). The distribution industry is attacking the MZ generation who are in 'Meaning out'..."Find the meaning to consume". The Korea Times.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62516020005251?didNA 

  22. S. B. Bae. (2017).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ackage design for Alejandro brand's image : centering around The Brand of 2011 World Barita Champion Alejandro. Master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20-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