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국내에서 소비되는 육류의 부위별 비타민 K 함량 분석 및 비교
Comparison of vitamin K contents in different meats commonly consumed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4 no.1, 2022년, pp.109 - 113  

김대동 (제주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이서경 (제주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강유리 (제주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신재홍 (제주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박진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식생활영양과) ,  김현정 (제주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소비되고 있는 육류인 소고기, 닭고기, 돼지고기의 부위별 비타민 K 함량을 분석, 비교하고, 사용된 분석법의 신뢰성을 확보하여 분석품질관리를 통한 국가표준식품성분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개정을 위한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모든 부위별 육류에서 비타민 K1은 검출되지 않았고, 비타민 K2는 소간과 선지, 천엽 생것(raw)을 제외한 모든 부위에서 검출되었으며, 육류의 종류 및 부위 그리고 조리방법에 따라 함량의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소고기의 부위별 비타민 K2 함량은 0.00-5.87 ㎍/100 g, 닭고기의 부위별 비타민 K2 함량은 16.59-46.64 ㎍/100 g이었으며, 돼지고기는 부위별로 4.33-22.90 ㎍/100 g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삶은 닭고기(meat and skin)의 비타민 K2 함량이 46.64 ㎍/100 g로 모든 부위별 육류 중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비타민 K 분석법에 대해 정확성, 직선성, 검출한계, 정량한계를 검증하였으며, 비타민 K1과 비타민 K2 모두 높은 정확성과 직선성을 확인하여 분석품질관리를 통해 분석을 진행한 기간 동안 모든 육류 시료에 대해 분석이 신뢰성 있게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석된 부위별 육류의 비타민 K 함량은 정확한 영양성분 정보와 국가표준식품성분표 개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itamin K is a group of fat-soluble vitamins that naturally exist in phylloquinone (vitamin K1) and menaquinone (vitamin K2). In this study, the vitamin K content in different meats commonly consumed in Korea was analyzed using HPLC, and the analytical method was validated. Vitamin K1 was not detect...

주제어

표/그림 (3)

참고문헌 (22)

  1.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AOAC. AOAC guidelines for single laboratory validation of chemical methods for dietary supplements and botanicals.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Gaithersburg, MD, USA. pp. 12-27 (2002) 

  2. Booth SL. Vitamin K: food composition and dietary intakes. Food Nutr. Res. 56: 5505 (2012) 

  3. Choi Y, Kim SN, Lee SH, Choe JS, Park SH. Development of 9th revision Korean food composition table and its major changes. Korean J. Comm Nutr. 23: 352-365 (2018) 

  4. Elder SJ, Haytowitz DB, Howe J, Peterson JW, Booth SL. Vitamin K contents of meat, dairy, and fast food in the U.S. Diet. J. Agric. Food Chem. 54: 463-467 (2006) 

  5. Fanali C, D'Orazio G, Fanali S, Gentili A. Advanced analytical techniques for fat-soluble vitamin analysis. TrAC Trends Anal. Chem. 87: 82-97 (2017) 

  6. Ferland G. Vitamin K an emerging nutrient in brain function. BioFactors. 38: 151-157 (2012) 

  7. Greenfield H, Arcot J, Barnes JA, Cunningham J, Adorno P, Tume RK, Beilken SL, Muller WJ. Nutrient composition of Australian retail pork cuts 2005/2006. Food Chem. 117: 721-730 (2009) 

  8. ICH. Validation of analytical procedures: text and methodology Q2 (R1). Complementary guideline on methodology dated on 6 November, 1996 incorporated in November 2005.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rmonization. Geneva, Switzerland. pp. 11-12 (2005) 

  9. Kim HG, Choi YM, Cho YS, Sung JH, Ham HM, Lee JS. Comparison of extraction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vitamin K1 in vegetables. J. Korean Soc. Food. Sci. Ntur. 43: 1791-1795 (2014a) 

  10. Kim HH, Kim MH, Kim SW, Chang HH, Kim HI, Jeong JY, Jin S, Park JW, Jung HJ, Lee JM. Vitamin K-induced anaphylaxis. Allergy Asthma Respir. Dis. 2: 146-149 (2014b) 

  11. Kim HJ, Lee SG, Park JJ, Kim HJ. Analysis of vitamin E and K contents in sea algae and vegetables frequently consumed in Korea for national standard food composition database. Korean J. Food Sci. Technol. 53: 19-28 (2021) 

  12. Koivu-Tikkanen TJ, Ollilainen V, Piironen VI. Determination of phylloquinone and menaquinones in animal products with fluorescence detection after postcolumn reduction with metalliczinc. J. Agric. Food Chem. 48: 6325-6331 (2000) 

  13. Lee AR, Kim JH, Park JH, Kim YH, Hong EY, Kim HR, Choi YM, Lee JS, Eom HJ. A study on contents of vitamin K1 in local agricultural products. Korean J. Food Nutr. 29: 301-306 (2016) 

  14. Lee S, Sung K, Choi Y, Kim, Jeong HS, Lee J. Analysis of vitamin K 1 in commonly consumed foods in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 1194-1199 (2015) 

  15. Lee SG, Choi YM, Jeong HS, Lee JS, Sung JH. Effect of different cooking methods on the content of vitamins and true retention in selected vegetables. Food Sci. Biotechnol. 27: 333-342 (2018) 

  16. Lim SD, Kim KS. Vitamin K and bone health. Korean J. Dairy Sci. Technol. 29: 33-39 (2011) 

  17.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Livestock Statistics 30. National Inst. Anim. Sci., Seoul, Korea. pp. 1-15 (2020) 

  1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20: vitamins. Sejong, Korea. p. 13 (2020) 

  19. Palmer CR, Koch H, Shinde S, Blekkenhorst LC, Lewis JR, Croft KD, Hodgson JM and Sim M, Development of a vitamin K database for commercially available food in Australia. Front. Nutr. 8: 753059 (2021) 

  20. RDA. Korean Food Composition Table. 9th ed.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Jeonju, Korea. pp. 1-609 (2016) 

  21. Sim U, Lee SE, Choi YM, Lee JS. Change in vitamin E and K contents and true retention of cereal and legume by cook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47: 675-681 (2018) 

  22. Tarvainen M, Fbritius M, Yang B. Determination of vitamin K composition of fermented food. Food Chem. 275: 515-522 (201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