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복숭아 전통발효식초 원료로서의 복숭아즙 유용성 연구
A study on the Usefulness of Peach-juice as a Raw Material for Traditional Fermented Peach Vinegar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3 no.3, 2022년, pp.345 - 352  

성지연 (극동대학교 임상병리학과, 미생물자원연구소) ,  김지윤 (극동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황소윤 (극동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이경현 (극동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김민정 (극동대학교 임상병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복숭아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과잉 생산된 복숭아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로 복숭아 원료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4종류 즙(생과원액, 냉장생즙, 중탕즙, 냉동퓨레)으로 제조한 4종류 전통발효식초의 특성을 비교·분석하여 식초 원료로서 즙의 활용가치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제조한 4종류 발효식초의 당도(6.20~6.50°Brix), 총산도(5.25~5.61%), 산도pH(3.42~3.74) 및 초산 함량(48.81~54.29 mg/mL)은 기존 전통발효식초들과 유사하였다. 그러나 총페놀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냉장생즙 및 중탕즙으로 제조한 식초가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복숭아 전통발효식초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로 중탕즙 및 냉장생즙이 매우 적합하며, 특히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은 중탕즙은 고부가가치 기능성 식품 소재로도 활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고부가가치 복숭아 원료를 개발하는데 중요한 지침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crease the added value of peaches and utilize overproduced peach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peach raw materials in various forms. In this study, usefulness of juice as raw material for vinegar was investigat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fermented vinega...

Keyword

표/그림 (3)

참고문헌 (21)

  1. S. D. Kim, J. S. Lee & M. K. Kim. (1994). Fermentation of Acidic Beverage with Dropped Peach.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4(3), 135-146. 

  2. D. S. Lee, S. K. Wo & C. B. Yang. (1972). Studies on the Chemicalcomposition of Major Fruits in Korea-on Non-volatileorganic Acid and Sugar Contents of Apricot (maesil), Peach, Grape, Apple and Pear and Its Seasonal Variation.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4, 134-139. 

  3. H. B. Lee, C. B. Yang & T. J. Yu. (1972).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ome Fruit Vegetables and Fruits in Korea(I): on the free Amino Acid and Sugar Contents in Tomato, Watermelon, Muskmelon, Peach and Plum.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4, 36-43. 

  4. M. I. Gil, F. A. Tomas-Barberan, B. Hess-Pierce & A. A. Kader. (2002). Antioxidant Capacities, Phenolic Compounds, Carotenoids, and Vitamin C Contents of Nectarine, Peach, and Plum Cultivars from California. Journal of Agricultural Food Chemistry, 50, 4976-4949. DOI : 10.1021/jf020136b 

  5. J. H. Chung, C. K. Mok, S. B. Lim & Y. S. Park. (2003). Changes of Physiochemical Properties during Fermentation of Peach Wine and Quality Improvement by Ultrafiltr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2, 506-512. DOI : 10.3746/jkfn.2003.32.4.506 

  6. W. S. Kim, J. H. Jeong, S. Ryu, S. K. Lee, J. H. Han & J. G. Cho. (2021). Structural Change in Peach Production and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Its Production and Area using Time Series Analysis.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39(2), 263-275. DOI : 10.7235/HORT.20210024 

  7. A. Rasori, B. Ruperti, C. Bonghi, P. Tonutti & A. Ramina. (2002). Characterization of Two Putative Ethylene Receptor Genes Expressed During Peach Fruit Development and Abscission. Journal of Experimental Botany, 53(379), 2333-2339. DOI : 10.1093/jxb/erf097 

  8. S. D. Kim & J. W. Cho. (1999). Processing of Peach and it's Future Prospect. Research Bulletin Catholic University of Taegu Hyosung, 7, 39-48. 

  9. S. Bhat, R. Akhtar & T. Amin. (2014). An Overview on the Biological Production of Vinegar. International Journal of Fermented Foods, 3, 139-155. DOI : 10.5958/2321-712X.2014.01315.5 

  10. E. H. Park, C. Y. Choi, H. J. Kwon & M. D. Kim. (2016). Literature Review on Type and Manufacturing Methods of Korean Traditional Vinegar. Food Science and Industry, 49, 94-99. DOI : 10.23093/FSI.2016.49.4.94 

  11. K. M. Jung, Y. Lee, J. W. Kim, J. Seol, Y. H. Jung & S. R. Kim. (2018). Low-Temperature Alcoholic Fermentation for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Vinegar using Peach.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Journal, 33(2), 95-103. DOI : 10.7841/ksbbj.2018.33.2.95 

  12. S. Jeon, H. Park, S. Kim, S. Yeo & H. Gwon. (2021). Production of High-acidity Peach Vinegar by Improv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Dochobang".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28(1), 117-128. DOI : 10.11002/kjfp.2021.28.1.117 

  13. National Tax Service Technical Service Institute. (2014). Manufacturing Guideline of Takju and Yakju, Seoul : National Tax Service Technical Service Institute Publishing. 

  14. H. Oh, S. Jang, H. Jun, D. Jeong, Y. Kim & G. Song. (2017). Production of Concentrated Blueberry Vinegar using Blueberry Juice and its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46(6), 695-702. DOI : 10.3746/jkfn.2017.46.6.695 

  15. O. Folin & W. Denis. (1912). On Phosphotungstic - 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12, 239-243. DOI : 10.1016/S0021-9258(18)88697-5. 

  16. W. B. Davis. (1947). Determination of Flavanones in Citrus Fruits. Analytical Chemistry, 19, 476-478. DOI : 10.1021/ac60007a016. 

  17. G. D. Lee. (2015). Optimization of Peach Wine Fermentation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44(4), 586-591. DOI : 10.3746/jkfn.2015.44.4.586 

  18. H. S. Na, G. C. Choi, S. I. Yang, J. H. Lee, J. Y. Cho, S. J. Ma & J. Y. Kim. (2013).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in Commercial Fermented Vinegars Made with Different Ingredients.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20, 482-487. DOI : 10.11002/kjfp.2013.20.4.482 

  19. K. I. Jung, H. N. Jung, N. Y. Ha & Y. J. Choi. (2018). Physi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nd Alcohol-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of Nectarine Vinegar. Journal of Life Science, 28(10), 1193-1200. DOI : 10.5352/JLS.2018.28.10.1193 

  20. S. D. Kim, J. S. Lee & M. K. Kim. (1994). Fermentation of Acidic Beverage with Dropped Peach.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4, 135-146. 

  21. S. M. Hong, M. J. Kang, J. H. Lee, J. H. Jeong, S. H. Kwon & K. I. Seo. (2012). Production of Vinegar using Rubus coreanus and Its Antioxidant Activities.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19(4), 594-603. DOI : 10.11002/kjfp.2012.19.4.594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