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친환경 소재 잣나무 목재와 케나프 줄기 혼합물의 항산화 및 미백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and Whitening Effects of a Mixture of the Eco-friendly Materials Pinus koraiensis and Hibiscus cannabinus L.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31 no.3, 2021년, pp.305 - 313  

오민정 (호서대학교 화장품생명공학부) ,  염현지 (호서대학교 화장품생명공학부) ,  채정우 (경기도산림환경연구소) ,  이진영 (호서대학교 화장품생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친환경 소재인 잣나무 목재 추출물과 케나프 줄기 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 효능을 검증하고, 잣나무 목재 추출물과 케나프 줄기 추출물을 동일 비율로 혼합하였을 때 유효성분들의 상호작용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각각의 추출물을 1:1의 비율로 혼합한 추출물의 전자공여능ABTS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1,000 ㎍/ml에서 추출물 성분들의 상승작용을 통해 혼합 추출물이 93.7%, 94%로 가장 높은 효능을 나타내었다. 잣나무 목재, 케나프 줄기 및 혼합 추출물의 tyrosinase 억제활성을 측정한 결과 1,000 ㎍/ml 농도에서 40%, 27.5%, 43%의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 성분들의 상승효과로 혼합 추출물의 높은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잣나무 목재, 케나프 줄기 및 혼합 추출물의 melanoma cell에 대한 세포 독성 측정 결과 1,000 ㎍/ml 농도에서 각각 87.4%, 80.2%, 98%의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며, 결과적으로 혼합 추출물은 길항작용을 통해 같은 농도에서도 100%에 가까운 세포 생존율을 보였다. 잣나무 목재와 케나프 줄기 혼합 추출물의 Western blot에 의한 MITF, TRP-1, TRP-2 및 tyrosinase의 단백질 발현 효과를 측정한 결과, 100 ㎍/ml 농도에서 53.9%, 64.8%, 67.3%, 56.1%로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를 보였다. 또한 RT-PCR을 통해 혼합 추출물이 미백관련 인자들의 mRNA 발현에 미치는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100 ㎍/ml 농도에서 각각 54.4%, 64.9%, 66.6%, 63.1%로 발현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잣나무 목재와 케나프 줄기를 1:1 비율로 혼합한 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 효능을 검증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잣나무 목재와 케나프 줄기를 혼합한 추출물이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verified the antioxidant and whitening activities of a Pinus koraiensis extract (PK) and a Hibiscus cannabinus L. extract (HC), and further evaluated the interaction of the extract ingredients when mixed at a 1:1 ratio (PKHC). The electron-donating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또한 잣나무 목재와 케나프 줄기는 국내 재배가 가능한 친환경 소재로 2가지 모두 외피가 거칠고 뻣뻣한 단점이 있으나, flavonoid와 polyphenol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 효능이 우수하다. 본 연구에서는 활용 가능한 친환경 소재인 잣나무 목재 추출물과 케나프 줄기 추출물을 이용하여 생리활성 및 미백 활성을 검증하고, 두 가지 추출물을 1:1의 비율로 혼합하였을 때 유효 성분들의 항산화 및 미백 효능에 대한 상승 및 길항 작용을 확인함으로써 이를 이용하여 추후 피부 연마제의 재료로서 활용과 기능성 화장품의 천연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 Kor. J. Oriental Physiol. 26, 1199-1120. 

  2. Carmichael, J., DeGraff, W. G., Gazdar, A. F., Minna, J. D. and Mitchell, H. B. 1987. Evaluation of a tetrazolium 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chemosensitivity testing. Cancer Res. 47, 936-942. 

  3. Choi, B. W., Lee, B. H., Kang, K. J., Lee, E. S. and Lee, N. H. 1998. Screening of the tyrosinase inhibitors from marine algae and medicinal plants. Kor. J. Pharmacogn. 29, 237-242. 

  4. Go, Y. J., Kim, Y. E., Kim, H. N., Lee, E. H., Cho, E. B., Sultanov, A., Kwon, S. L. and Cho, Y. J. 2020. Inhibition effect against elastase, collagenase, hyaluronidase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inning Green ball apple. J. Appl. Biol. Chem. 63, 43-50. 

  5. Imokawa, G. and Mishima, Y. 1981.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tyrosinase inhibitors using tyrosinase binding affinity chromatography. Br. J. Dermatol. 104, 513-540. 

  6. Iwata, M., Com, T., Iwata, S., Everett, M. A. and Fuller, B. B. 1990. The relationship between tyrosinase activity and skin color in human foreskins. J. Investig. Dermatol. 95, 9-15. 

  7. Jang, T. W. and Park, J. H. 2017.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whitening effects of ethyl acetate fractions from the immature seeds of Abeliophyllum distichum. J. Life Sci. 27, 536-544. 

  8. Jee, S. O. 2009. Antioxidant activities and whitening effect of the Mulberry (Morus alba L.) root bark extracts. Kor. J. Plant Res. 22, 145-151. 

  9. Kim, B. Y., Park, S. H., Park, B. J. and Kim, J. J. 2015. Whitening effect of Androsace umbellata extract.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41, 21-26. 

  10. Kim, D. H., Moon, Y. S. and Son, J. H. 2015. Verification of anti-oxidative activity of Aruncusdioicus, a native plant of Ulleungdo. J. Plant Biol. 42, 55-59. 

  11. Kim, J. H., Seo, I. G. and Park, S. J. 2016. An analysis on the situation of collection and utilization of the trees damaged by Pine Wilt Disease. J. Environ. Sci. Int. 25, 127-134. 

  12. Kim, Y. E., Yang, J. W., Lee, C. H. and Kwon, E. K. 2009. ABTS radical scavenging and anti-tumor effects of Tricholoma matsutake sing. (Pine Mushroom). J. Kor. Soc. Food Sci. Nutr. 38, 555-560. 

  13. Lee, H. J., Choi, Y. J., Choi, D. H. and Hong, I. P. 2003. Extractives of Pinus koraiensis wood. J. Kor. Wood Sci. Technol. 31, 49-55. 

  14. Lee, J. Y., Velusamy, V., Koo, J. Y., Ha, B. K., Kim, D. S., Kim, J. B., Kim, S. H. and Kang, S. Y. 2012.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Kenaf (Hibiscus cannabinus L.) varieties as a potential forage crop. Kor. J. Crop Sci. 57, 132-136. 

  15. Lee, K. H., Cho, Y. L., Joo, C. G., Joo, Y. J., Kwon, S. S. and Park, C. 2011. Study on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Kaempferol and Kaempferol Rhamnosides isolated from Hibiscus cannabinus L. Kor. J. Medicinal Crop Sci. 19, 426-434. 

  16. Lin, C. B., Babiarz, L., Liebel, F., Roydon-Price, E., Kizoulis, M., Gendimenico, G. J., Fisher, D. E. and Seiberg, M. 2002. Modulation of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gene expression alters skin pigmentation. J. Invest. Dermatol. 119, 1330-1340. 

  17. Park, W. H., Ko, D. W., Kwon, T. S., Nam, Y. W. and Kwon, Y. D. 2018. Analysis of pinewood nematode damage expansion in Gyeonggi Province based on monitoring data from 2008 to 2015. J. Kor. Soc. For. Sci. 107, 486-496. 

  18. Seo, E. J., Hong, E. S., Choi, M. H., Kim, K. S. and Lee, S. J. 2010. Antioxidant and skin whitening effects of Rhamnus yoshinoi extracts. Kor. J. Food Sci. Tech. 42, 750-754. 

  19. Ukeda, H., Maeda, S., Ishii, T. and Sawamura, M. 1997. Spectrophotometric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based on tetrazolium salt 3'-{1-[(phenylamino)-carbonyl]-3,4-tetrazolium}-bis(4-methoxy-6-nitro) benzenesulfonic acid hydrate reduction by xanthine-xanthine oxidase. Anal. Biochem. 251, 206- 209. 

  20. Yagi, A., Kanbara, T. and Morinobu, N. 1987. Inhibition of mushroom-tyrosinase by aloe extract. Planta Med. 53, 515-5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