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RDA에 대한 대학도서관 사서의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University Librarians on Resource Description and Access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33 no.1, 2022년, pp.455 - 477  

이성숙 (충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 사서의 RDA에 대한 인지 여부와 감정, 친숙도, 이해, 도입, 장애요인, 교육에 관한 인식 수준을 고찰하고, 인식 개선을 위한 기초적인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이다.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는 4년제 대학도서관 정리 사서 76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확보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첫째 67.1%의 사서가 RDA를 들어본 적이 있었고, 인지 수단은 학교 수업이 51.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서들은 RDA에 대해 부정적인 감정보다는 긍정적인 감정이었고, RDA 관련 원리나 개념에 대해 친숙하지 않다고 인식하였다. 특히 RDA 자체와 FRAD에 대해 더 친숙하지 않다고 인식하였다. 사서는 RDA 관련 원리나 개념에 대해 보통 수준으로 이해한다고 인식하였고, 특히 전거와 인코딩을 더 이해하지 못한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사서들은 RDA 도입에 대해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였지만, 문항 중 'RDA가 AACR2를 대체한다'는 것은 보통 수준으로 인식하였다. 사서는 RDA 도입의 저해요인을 보통보다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였고, 특히 RDA 관련 교육 부족을 높게 인식하였다. 넷째 사서들은 RDA 관련 교육의 필요성을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였고, 특히 RDA Toolkit의 사용, RDA 레코드 변경, RDA와 AACR2의 차이, RDA와 MARC 21 관련 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RDA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RDA by university library librarians and the level of perception of emotions, familiarity, understanding, introduction, obstacles, and education, and to secure basic data to improve awareness. The data needed for the study were obtained throu...

주제어

표/그림 (13)

참고문헌 (25)

  1. Baek, J. W. (2013). Analysis of trends in RDA on-the-job training and its application model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4(3), 379-403. 

  2. Baek, J. W. (2016).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RDA in LIS cataloging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0(3), 403-428. http://dx.doi.org/10.4275/KSLIS.2016.50.3.403 

  3. Lee, K. H. & Kim, J. H. (2016). Introduction to Cataloging. Daegu: Taeilsa. 

  4. Lee, M. H. & Hyun, M. S. (2015). A study on testing the Korean cataloguing rules through analyzing the RDA test.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1), 155-176. http://dx.doi.org/10.16981/kliss.46.201503.155 

  5. Lee, M. H. (2011). A study on application of resource types of RDA to KCR4.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8(3), 103-121. http://dx.doi.org/10.3743/KOSIM.2011.28.3.103 

  6. Lee, M. H. (2017). A study on the plan for the display of RDA resource typ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8(1), 25-44.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7.28.1.025 

  7. Park, J. H. (2009). A study on movements to establish RDA and its contents structur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1), 317-338. 

  8. Yoon, C. O. (2018).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RDA in the international library community. Journal of Humanities, 57, 49-72. 

  9. Aboyade, W. A. & Eluwole, O. A. (2018). Implementation of resource description and access (RDA) in nigeria: awareness, cataloguers' perception and challenges. Journal of Applied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11(2), 79-86. 

  10. Atilgan, D., Ozel, N., & Chakmak, T. (2015). RDA in turkey: perceptions and expectations on implementation. Italian Journa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6(2), 163-179. 

  11. Chong, L., Dandan, Z., & Dongfeng, Q. (2014). China's road to RDA.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52(6/7), 585-599, https://doi.org/10.1080/01639374.2014.917446 

  12. Cronin, C. (2011). From testing to implementation: managing full-scale RDA adoption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49(7/8), 626-646. https://doi.org/10.1080/01639374.2011.616263 

  13. Ducheva D. P. & Pennington D. R. (2019). Resource description and access in europe: implementations and perceptions. Journal of Librarianship and Information Science, 51(2), 387-402. https://doi.org/10.1177/0961000617709060 

  14. Haliru, Z. A., Sokari, V., & Bello, S. O. (2016). Perceptions of resource description and access (rda): a survey of librarians in university libraries in northwestern Nigeria. The Nigerian Cataloguer, 3, 28-41. 

  15. Mansor, Y. & Ramdzan, E. (2014). RDA perceptions among malaysian catalogers. Library Review, 63(3), 176-188. https://doi.org/10.1108/LR-06-2013-0085 

  16. McCutcheon, S. (2011), RDA testing in triplicate: kent state university's experiences with RDA testing.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49(7/8), 607-625. https://doi.org/10.1080/01639374.2011.616262 

  17. Mitchell, E. (2013). Is RDA ready? an analysis of case studies on RDA testing. Technical Services Quarterly, 30(1), 70-82. https://doi.org/10.1080/07317131.2013.735958 

  18. Oliver, C. (2009). FRBR and RDA: Advances in Resource Description for Multiple Format Resources. Available: http://www.collectionscanada.gc.ca/obj/005002/f2/005002-2200-e.pdf 

  19. Oni, O., Oshiotse, J. O., & Abubakar, T. G. (2018). Cataloguers' awareness and perception of resource description and access(RDA) rules for cataloguing practice in some selected libraries in bauchi state of Nigeria. Webology, 15(1), 108-120. 

  20. Pazooki, F., Zeinolabedini, M. H., & Arastoopoor, S. (2014). RDA implementation issues in the iranian national bibliography: an analysis of bibliographic records.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52(6/7), 621-639. https://doi.org/10.1080/01639374.2014.945022 

  21. Primary Research Group (2013). The Survey of Academic Library Cataloging Practices. 2013 Edition. New York: Primary Research Group. 

  22. Sanchez, E. (2010). RDA, AACR2, and you: what cataloguers are thinking? Staff Publications-Library, 25. http://ecommons.txstate.edu/libstaff/25 

  23. USA RDA Test Coordinating Committee (2011). Reports and Recommendations of the U.S. RDA Test Coordinating Committee. Available: http://www.loc.gov/aba/rda/rda_test_archives.html 

  24. Young, J. B. & Bross, V. (2011). Results of the CRCC informal RDA testing task force.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49(7/8), 600-606. https://doi.org/10.1080/01639374.2011.620223 

  25. Yuji, T. & Park, J. R. (2013). RDA: resource description & access: a survey on the current state of the art.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4(4), 651-66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