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녹용추출물의 유산균 발효에 의한 플라보노이드 생성과 항산화활성 효과
Flavonoid produc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effect by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of deer antler extract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8 no.2, 2022년, pp.399 - 408  

김현경 (서원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녹용 기능성 소재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녹용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를 수행하였다.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하고 항산화 활성이 강화된 기능성 소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유산균 발효중 증식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 및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녹용 추출물 기질에 이들 4종의 유산균을 첨가한 결과, 측정된 유산균 수는 2.04~5.00×107이었다. 한편, 녹용 추출물에 프로테아제(Baciullus amyloliquefaciens culture: Ma×azyme NNP DS)를 첨가하여 함유된 단백질의 펩타이드 결합을 분해하였다. 그런 다음 이들 4종의 유산균을 첨가하여 배양한 결과 유산균의 수는 2.84107~2.21108로 증가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유산균 발효추출물에서 4.82~6.26g/mL이었으며, 프로테아제 효소와 젖산발효 반응 후 14.27~20.58g/mL로 증가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유산균 발효추출물에서 1.52~2.21 g/ml이었고, 프로테아제 반응 및 발효 후에는 5.59 ~ 8.11 mg/mL로 증가하였다. 유산균 발효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17.03~22.75%였으나, protease 반응과 발효 후에는 32.82~42.90%로 현저히 증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part of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materials for antlers, lactic acid fermentation of antler extract was performed. It was intended to develop a functional material with enhanced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and enhanced antioxidant activity. During the fermentation of la...

주제어

표/그림 (8)

참고문헌 (13)

  1. H. Y, Kim, "The effects of fruit and vegetable bark extract on learning ability and memory improvement,"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Vol. 4, No.3, pp. 261-267, 2018. http://dx.doi.org/10.17703/JCCT.2018.4.3.261. 

  2. D.B. Kim, E.Y. Ahn, and E.J. Kim, "Improvement of insulin resistance by curcumin in high fat diet fed mice",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Vol. 4, No. 1, pp. 315-323, 2018. http://dx.doi.org/10.17703/JCCT.2018.4.1.315. 

  3. H.K. Kim, "The functional effects of antimicrobaial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seaweed polysaccharide extracts," The Jor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Vol. 4, No.2, pp. 155-163, 2018. http://dx.doi.org/10.17703/JCCT.2018.4.2.155. 

  4. P. J. Park, Y. J. Jeon, S. H. Moon, S. M. Lee, C. H. Lee, B. T. Jeon and D. K. Ahn,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nokjoongtang prepared from antler and various oriental medicinal materials," Kor. J. Food Sci. Ani. Resour. Vol. 25, pp. 344-349, 2005. 

  5. H. Y. Chung, B. Sung, K. J. Jung, Y. Zou and B. P. Yu, "The molecular inflammatory process in aging," Antioxid. Redox Sign. Vol. 8, pp. 572-581, March 2006. DOI : http://dx.doi.org/10.5851/kosfa.2010.30.6.989 

  6. S. H. Lee, L. J. Hong, H. G. Park, S. S. Ju and G. T. Kim, "Functional characteristics from the barley leaves and its antioxidant mixture,"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Vol. 46, pp. 333-337, March 2003. DOI: http://dx.doi.org/10.9721/KJFST.20003.46.3.337 

  7. Y. Christen, "Oxidative stress and Alzheimer disease," Am. J. Clin. Nutr. Vol. 71, pp. 621-629, 2000.DOI : http://dx.doi.org/10.14478/ace.2016.1027. 

  8. E. K. Han, E. J. Jung, J. Y. Lee, Y. X. Jin and C. K. Chung,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Taraxacum officinale," J. Korean. Soc. Food.Sci. Nutr. Vol. 40, pp.56-62, January 2011. DOI: http://dx.doi.org/10.14478/ace.2016.1027. 

  9. J. H. Lee and J. W. Jhoo, "Antioxidant activity of different parts of Lespedeza bicolor and isolation of antioxidant compound,"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44, pp. 763-771, September 2012. DOI: https://doi.org/10.9721/KJFST.2012.44.6.763. 

  10. H. I. Kang, J. Y. Kim, S. J. Kwon, K. W. Park, J. S. Kang and K. I. Seo, "Antioxidative effects of peanut sprout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 39, pp. 941-946, March 2010. DOI: https://doi.org/10.3746/jkfn.2010.39.7.941. 

  11. Y. Lu and L. Y. Foo, "Antioxidant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polyphenols from apple pomace," Food Chem. Vol. 68, pp. 81-85, January, 2000. DOI:https://doi.org.10.1016/S0308-8146(99)00167-3. 

  12. J. Y. Cha, H. J. Kim, C. H. Chung and Y. S. Cho,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contents of polyphenolic compound of Cudrania tricuspid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 28, pp.1310-1315, November 1999. 

  13. R. Tsao, "Chemistry and biochemistry of dietary polyphenols," Nutrients. Vol. 2, No. 12. pp. 1231-1246, December, 2010. DOI:https://doi.org.10.3390/nu21212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