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형 이동장치의 안전 주요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Major Safety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Personal Mobility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8 no.1 = no.55, 2022년, pp.202 - 217  

강승식 (Smart Factory Consulting Division, CreoT Co., Ltd.) ,  강성경 (Department of Research, Safety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최근 개인형 이동장치(PM : Personal Mobility) 이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사고 또한 매년 폭발적으로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PM 이용에 대한 안전 요구가 강화되고 있으나 여전히 안전한 환경을 위한 법/제도, 인프라, 관리체계 등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M 관련 선행연구 검토를 토대로 주요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종합적으로 모색하고, 델파이조사를 통해 개선방안의 중요성에 따른 우선순위를 제시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크게 문헌연구와 전문가 설문조사(델파이조사)로 구성된다. 기존의 선행연구와 개선사례(지방자치단체, 정부부처, 업체 등)를 검토하여 문제점, 개선사항을 도출하고 키워드를 기반으로 문제점/개선사항 분류표를 작성한다. 분류 내용을 토대로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우선순위 개선방안을 도출한다. 연구결과: PM 관련 문제점은 인적요인과 관련하여 '교통법규 미준수, 지식 부족, 조작 미숙, 안전의식 부재'가, 물리적요인과 관련하여 '기기 특성, 도로-주행 가능 공간, 도로시설물, 주차시설'이, 관리적요인으로 '관리/감독, 제품관리, 이용자관리, 교육/훈련'이, 그 외 이 모든 요인들과 관련한 법률적요인을 '법률 부재/미흡, 혼선/중복, 실효성 저하' 측면으로 나눠볼 수 있었다. 이와 관련한 개선과제로 'PM 교육·홍보, 주차·반납, 도로개선, PM 등록·관리, 보험, 안전기준, 통행기준, PM 기기안전, PM 부대시설, 단속/관리, 전담조직, 서비스제공업체, 관리체계, 이와 관련한 법/제도 개선'의 14개 핵심 부문에 대해 42개 세부과제를 도출하였다. 세부 과제에 대한 중요도 평가결과 비용, 시간, 효과, 시급성, 실현가능성 평가항목에 대해 평균이 종합적으로 높은 과제는 '단속/계도활동 강화, 교육홍보/캠페인, 무단방치 PM관리, 통행규정 명확화'로 나타났다. 결론: PM 시장은 공유 서비스를 기반으로 점차 시장 규모가 커지고 있으며, 산업 활성화와 더불어 PM 이용의 안전환경이 보장되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PM 관련 주요 문제점, 개선방안을 종합적인 관점에서 모색하고 우선적으로 필요한 개선대책의 순위를 알아본데 있어 그 의미가 있으며 향후 정책수립 자료의 기초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있다. 향후에는 실질적인 정책 적용을 위해 개선 핵심 분야별로 심층적인 자료 보완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recent increased use of Personal Mobility (PM) has been accompanied by a rise in the annual number of accidents. Accordingly, the safety requirements for PM use are being strengthened, but the laws/systems, infrastructure, and management systems remain insufficient for fostering a safe ...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인형 이동장치와 관련한 주요 이슈와 개선방안을 선행연구 전반에 걸쳐 조사하고 전문가 설문 및 의견수렴을 통해 향후 개선방안의 중요성에 따른 우선순위와 방향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PM과 관련한 이슈와 개선방안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지난 몇 년간 진행되어온 다양한 연구사례들을 분석하였으며, PM 문제점, 개선대책의 종합 요약표를 제시하였다. PM 관련 문제점은 인적요인과 관련하여 ‘교통법규 미준수, 지식 부족, 조작 미숙, 안전의식 부재’가, 물리적요인과 관련하여 ‘기기 특성, 도로-주행 가능 공간, 도로시설물, 주차시설’이, 관리적요인으로 ‘관리/감독, 제품관리, 이용자관리, 교육/훈련’이, 그 외 이 모든 요인들과 관련한 법률적요인을 ‘법률 부재/미흡, 혼선/중복, 실효성 저하’ 측면으로 나눠볼 수 있었다.
  •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PM과 관련된 주요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종합적인 관점에서 모색하고, 현 실정에 우선적으로 필요한 개선방안의 우선순위를 알아본 것에 있어 의미가 있으며,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 부처의 정책수립 자료의 기초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있다. 다만, 분류된 문제점이나 개선과제는 선행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하고, 전문가의 의견조사 또한 분야별 소수 인원에 의해 진행되었기 때문에 향후 실질적인 정책 적용에 있어서는 개선 핵심 분야별로 좀 더 심층적인 자료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Choi, N., Kim, J. (2021). "A comparative study on the perceptions towards personal mobilityvehicle between adults and minors."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Vol. 41, No. 5, pp. 543-550. 

  2. Han, D., Kim, E., Ji, M. (2020). "Analysis of severity factors in Personal Mobility (PM) traffic acci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38, No. 3, pp. 232-247. 

  3. Jung, Y.-H., Lee, S.-J., Kang, H. (2021). "The effects of PM driving direction and alert sound typeon risk perception and awareness of PM driver of pedestrian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9, No. 7, pp. 217-226. 

  4. Kang, S.K., Lee, Y.J., Jo, I., Kim, J.W., Hong, S.Y. (2021). Investigation of Causes of Accident and Policy Status of Personal Mobility,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5. Kim, G. (2020). "The analysis of injury risk for the type of accident by personal mobility." Journal of Auto-vehicle Safety Association, Vol. 12, No. 1, pp. 6-14. 

  6. Kim, S., Kim, S., Kim, J. (2020). "A study on the road environment design for the use of personal mobility on bicycle road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Vol. 15, No. 3, pp. 149-159. 

  7. Lee, D.M. (2018). "Concepts and main issues of personal mobility." Journal of the Urban Affairs, Vol. 53, No. 591, pp. 28-31. 

  8. Myeong, M.-H.,Song, S., Choi, M. (2016). A Study on Safety Measures for the Use of New Means of Transportation, KoROAD, 2016-0105-068. 

  9. Na, Y., Lee, S.Y., Lee, D.Y., Kim, S.H. (2021). "A plan to improve the use of personal mobility by reflecting playground design elem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Vol. 20, No. 3, pp. 47-58. 

  10. Park, J., Lee, J. (2021). "Study on improvement of transportation environment for safety of PM in public transportation linkage fun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ol. 24, No. 3, pp. 2021.3, 264-273. 

  11. So, B.S., Kim, J.W. (2021). "A review of effectiveness of the personal mobility regulation." Wonkwang Legal, Vol. 37, No. 1, pp. 3-22. 

  12. Yoon, T.-Y. (2020). "A study on the effective management of the safety and health diagnosis system in construction industry."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16, No. 4, pp. 723-73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