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이동형 교통수단(PM) 유형별 사고특성 및 위험도 비교연구
A Comparison Study on the Risk and Accident Characteristics of Personal Mobility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2 no.3, 2017년, pp.151 - 159  

이수일 (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연구소) ,  김승현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도시공학과) ,  김태호 (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als with characteristics and risk of a PM based on user survey result, road driving test and data analysis of PM accident. Text mining method is applied to extract PM accident data from Big Data, which are claim data of private insurance company. Road driving test and survey on safet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보험사의 보상관련 Big Data(자동차, 장기보험)를 대상으로 Text Mining을 도입하여 사고분석 DB를 구축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한다. ② 국외 연구에서 유사수단으로 정의된 자전거와 PM사고특성을 비교하여 실제 국내여건 상 PM이 가지는 미시적 사고특성(심각도, 연령, 상해부위 등)을 분석하고자 한다. ③국외의 실제 실험중심의 정량적인 접근 방법에 실제 이용자의 탑승 전과 후에 대한 정성적인 만족도 조사(RP), PM 사용 시 필요한 지원방안에 대한 선호도(SP)조사를 추가하여 정량적 측면의 사고특성과 정성적인 이용자 위험 및 실제요구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② 국외 연구에서 유사수단으로 정의된 자전거와 PM사고특성을 비교하여 실제 국내여건 상 PM이 가지는 미시적 사고특성(심각도, 연령, 상해부위 등)을 분석하고자 한다. ③국외의 실제 실험중심의 정량적인 접근 방법에 실제 이용자의 탑승 전과 후에 대한 정성적인 만족도 조사(RP), PM 사용 시 필요한 지원방안에 대한 선호도(SP)조사를 추가하여 정량적 측면의 사고특성과 정성적인 이용자 위험 및 실제요구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이는 향후 보도, 이면도로, 자전거도로 통행이 허용될 경우 선행 수단과 보행자가 PM을 인식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보행자 충돌 예방을 위한 인공소음발생 필요성 판단을 위해 소음측정 실험을 실시하였다.
  • 대표적인 문제점은 국가관점의 법제도 정비, 물리적 환경 시설 기준 마련과 이용자관점의 안전성, 편의성 확보로 구분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국가차원의 거시적 관점 (법제도, 물리적 환경) 보다는 현재 운행 중인 PM관련 사고특성과 이용자 관점의 잠재적 위험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사고특성 연구를 위해서는 국가차원에서 수집체계가 미흡한 사고 DB 구축이 선행되어야 한다.
  • 본 연구는 최근 국내에 급속도로 유입되고 있는 PM의 사고 특성분석과 이용자 주행실험 및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안전대책의 근거 마련을 시도하였다. 특히, 국내 도로교통법 상 법적지위가 정비되지 않은 시점에 PM관련 안전정책 추진 시 참고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현재 국내에서도 PM관련 상품이 약 45,000대 이상 판매되어 운행 중인 점을 감안한다면, 실제 발생하고 있는 국내사고특성 분석 및 유사교통수단과 비교를 통한 이용자의 잠재적 위험도를 측정할 수 있는 실험연구가 시급히 필요하다.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PM관련 사고통계 구축 필요, 다수의 국외 연구에서 PM과 유사한 수단으로 정의된 자전거와 직접비교를 위한 분석범위 확장, 정량적인 주행실험 항목 외 실제 이용자가 느낄 수 있는 정성적인 위험도에 대한 실태분석을 본 연구의 착안점으로 정립하였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① PM에 관한 명확한 법적정의가 마련되지 않아 국가 차원의 사고통계 구축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 또한, PM 이용자가 탑승 중 실제 느끼는 위험도를 측정할 수 있는 유사수단 실험과 설문조사를 병행하는 접근이 필요하다. 이를 토대로 PM 이용자의 안전도를 개선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 등판능력 실험을 위해서 구배 약 6% 수준을 전제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자전거도로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일반도로와 자전거도로 접속부에 다수의 경사로를 통과해야 하므로 이에 대한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세그웨이는 무리 없이 모든 실험 참가자가 등판을 한 반면, 전기삼륜은 앞바퀴가 들리거나 경사로 중간에 멈춰서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 본 연구의 진행과정은 다섯 단계로 구분하였으며, 첫째, PM관련 법적 정의 및 국내외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본 연구의 착안점을 정립한다. 특히, 국내에서 법적으로 정의되지 않은 PM관련사고 DB 구축 가능성을 제시한다. 둘째, 미시적 관점의 보험사 Big Data를 추출하는 과정 및 사고위험 및 심각도에 대한 기초통계 분석을 진행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M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 유형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무엇인가? 5배 이상의 사고 심각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 유형의 79.8%가 운전미숙으로 인해 발생하는 차량단독사고이며, 60대 이상 고령자의 진단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60대 이상의 경우 낙상으로 인해 하지(Lower Limb), 발(Foot), 늑골(Rib), 척추(Spine)의 상해발생률이 가장 높아 건강한 고령자들을 위한 대체 이동수단 개발도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새로운 교통수단이 기존 교통 환경과 공존하기 위해 수용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새로운 교통수단이 기존 교통 환경과 공존하기 위해서는 수용과정에서 발생하는 많은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대표적인 문제점은 국가관점의 법제도 정비, 물리적 환경 시설 기준 마련과 이용자관점의 안전성, 편의성 확보로 구분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국가차원의 거시적 관점 (법제도, 물리적 환경) 보다는 현재 운행 중인 PM관련 사고특성과 이용자 관점의 잠재적 위험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안전 확인 대상 생활용품의 안전기준'에서 언급한 PM의 종류는 무엇인가? 현재 PM관련 정의는 명확하지 않으나, 전기를 동력으로 1인 또는 2인이 이용하기 위한 교통수단을 총칭한다. PM의 종류를 분류한 기준도 2017년 2월에 ‘안전확인 대상 생활용품의 안전기준’에서 최초로 전동킥보드, 전동 이륜평형차, 전동보드류가 언급되었다. 마지막으로 실제 운행과 관련된 도로교통법의 정의를 살펴보면, PM은 이륜차에 해당되는 제품으로 차도에서만 운행이 가능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M.H. Myung and S.Y. Song, "Study on Safety Measures for New Transportation(Focus on Personal Mobility)",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2016. 

  2. Centre for Electric Vehicle Experimentation in Quebec, "Pilot Project for Evaluating Motorized Personal Transportation Devices : Segways and Electric Scooters", 2004. 

  3. Centre for Electric Vehicle Experimentation in Quebec, "Pilot Project for Evaluating the Segway Motorized Personal Transportation Device in Real Conditions", 2006. 

  4. B. W. Landis et al., "Characteristics of Emerging Road and Trail Users and Their Safety", 2004. 

  5. Bundesanstalt fur Strassenwesen, "Segway in Public Spaces", 2006. 

  6. Unfallforschung der Versicherer, "Assessing the Safety Characteristics of the Segway",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