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습자중심 소통 강화 스페인어 수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panish Classes on Academic Achievement on Strengthening Learner-centered Communica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20 no.4, 2022년, pp.443 - 447  

강필운 (한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교양 스페인어 과정 속에서 의사소통을 통해 소통 강화 능력을 기르기 위하여 문제기반학습 교수 학습방법으로 학업성취도와 협동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했다. A대학에서 2021년 9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스페인어를 교양으로 수강하는 학습자 70명을 대상으로 학습자중심 문제기반 교수방법으로 수업을 실시한 실험반과 전통적 방식으로 수업을 실시한 통제반으로 나누어 두 집단 간의 학업성취도 및 실험반의 사전사후 협동능력에 관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두 집단 간의 학업성취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하위영역이 의사소통 영역에서로 유의미한 결과, 0.031(*p<.05)로 나타났다. 실험반의 협동능력에 관한 사전 사후 비교 결과 평균은 향상되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문제기반학습에 있어서 협동능력은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로 학습자 중심의 문제기반 학습활동은 분명히 전통적인 수업방식보다 스페인어 학습자들에게 원활한 소통을 할 수 있는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학습자중심 융합교수법으로 스페인어 소통 강화에 적합한 교수법 개발과 교수학습 모델 개발을 위한 지속적인 후속 연구는 21세기가 원하는 인재양성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academic achievement and cooperative ability as problem-based learning to strengthen communication in Spanish courses. 70 learners taking Spanish at A University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21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and a control class ...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15)

  1. I. A. Kang, I. H. Lee & S. H. Hwang. (1999). Learning Environment in the Knowledge - based Society. Journal of Educational Development, 15, 1-44. 

  2. H. J. Yoon, W. J. Yoon & A. J. Woo (2011).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the Science Textbook. Journal of Educational Development, 15(3), 757-776. DOI: 10.24231/rici.2011.15.3.757 

  3. Y. J. Nam & S. J. Lee (2021). A study on the convergence and complex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spaces for creative education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ism and physical space composition. Korea institute of exhibition industry convergence, 39(3), 109-123. DOI: 10.17548/ksaf.2021.06.30.109 

  4. M. H. Shin. (2021). The Effect of Team-based Learning Activity on College Students' Character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2(12). 161-167. DOI: 10.15207/JKCS.2021.12.12.161 

  5. M. H. Shin. (2018). Effects of Project-based Learning on Students' Motivation and Self- efficacy. English Teaching. 73(1), 95-114. DOI: 10.15858/engtea.73.1.201803.95 

  6. S. J. Park. (2020). A Study on the Innovative Methods for Education based on Student Agency.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2), 765-787. DOI: 10.22251/jlcci.2020.20.12.765 

  7. H. S. Barrows. (2000). Problem-based learning applied to medical education. IL: Board of Trustress of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DOI: 10.14400/JDC.2016.14.12.1 

  8. S. M. Park & Y. S. Cho. (2012). The Effect of Problem-Based Learning on Real-life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ies in Elementary English Learning.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16(3), 689-708. DOI: 10.24231/rici.2012.16.3.689 

  9. S. A. Gallagher & J. J. Gallagher (2013). Using Problem-based Learning to Explore Unseen Academic Potential.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Problem-Based Learning. 7(1), 111-131. DOI: 10.7771/1541-5015.1322 

  10. G. Richmond & J. Striley. (1996). Making meaning in classrooms: Social processes in small-group discouse and scientific knowledge build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8), 839-858. DOI: 10.1002/(sici)1098-2736(199610)33:8 3.0.co;2-x 

  11. M. H. Shin. (2019). A Study on the Effect of Conversing Action Learning in a Collaborative EFL Classroom.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7). 71-76. DOI: 10.15207/JKCS.2019.10.7.071 

  12. N Farzaneh, & D Nejadansari (2014). Students' Attitude towards Using Cooperative Learning for Teaching Reading Comprehension. Theory and Practice in Language Studies. 4(2), p. 287-292. DOI: 10.4304/tpls.4.2.287-292 

  13. M. S. Jeon. (2002).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Cooperative Learning. Seoul: Kyoyookbook 

  14. B. R. Cho. (2020). The Effect of Learning Community Program Participation on College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and Cooperative Learning Competenc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8(5), 43-53. DOI: 10.14400/JDC.2020.18.5.043 

  15. E. Y. Koh (2020). The Effects of Design PBL on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Instruction Satisfaction. A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18(4), 75-84. DOI: 10.18852/bdak.2020.18.4.7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