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 개인 보안 인식과 디지털 시민 참여의식이 디지털 개인 정보보호 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자의성과 수평성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effects of digital privacy security awareness and digital civic engagement on digital privacy protection behavior : focusing on volition and horizontality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3 no.4, 2022년, pp.349 - 358  

이려화 (중앙대학교 미래융합원) ,  허성호 (고려대학교 대학정책연구원)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 환경에서 점진적으로 필요하게 된 디지털 정보보호 개선 전략에 관한 연구적 배경에서 비롯되었고, 연구 목적은 개인적 요소 영역의 자의성과 상황적 요소 영역의 수평성이 디지털 개인 정보보호의 주요 요인에 미치는 유효성을 확인하고, 궁극적으로 정보보호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자의성과 수평성의 요인설계 바탕이며, 측정 변수는 디지털 개인 보안 인식, 디지털 시민 참여의식, 디지털 개인 정보보호 행동이다. 연구 결과, 자의성 영역이 디지털 개인 정보보호에 미치는 영향력은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디지털 개인 정보보호 행동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고-자의성 조건의 효과성이 저-자의성 조건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분석결과 수평성 영역이 디지털 개인 정보보호에 미치는 영향력은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디지털 개인 보안 인식, 디지털 시민 참여의식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고-수평성 조건의 효과성이 저-수평성 조건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제까지의 성과들을 중심으로 디지털 개인 정보보호의 적절한 내용들을 기반으로 학술적 활용방안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to analyze the effect of person and situation on digital privacy protection behaviors. The research method design is a factorial design of volition and horizontality. The measurement variables used in the investigation are digital privacy security awareness, digital civic engag...

주제어

표/그림 (10)

참고문헌 (21)

  1. Z. Karanikola & G. Panagiotopoulos. (2018).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challenge of changing human resources skills. European Journal of Training and Development, 5(3), 1-7. 

  2. L. Ayinde & H. Kirkwood. (2020). Rethinking the roles and skills of information professional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usiness Information Review, 37(4), 142-153. 

  3. D. Coldwell. (2019). Negative influenc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n the workplace: Towards a theoretical model of entropic citizen behavior in toxic organiz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6(15), 2670-2686. 

  4. R. H. Fazio, (1990). Multiple processes by which attitudes guide behavior: The MODE model as an integrative framework. Elsevier. 

  5. R. A. Schuette & R. H. Fazio. (1995). Attitude accessibility and motivation as determinants of biased processing: A test of the MODE model.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1(7), 704-710. 

  6. K. Illeris. (2004). Transformative learning in the perspective of a comprehensive learning theory. Journal of Transformative education, 2(2), 79-89. 

  7. T. M. Singelis, H. C. Triandis, D. P. Bhawuk & M. J. Gelfand. (1995). Horizontal and vertical dimensions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A theoretical and measurement refinement. Cross-cultural research, 29(3), 240-275. 

  8. L. Tredinnick. (2008). Digital information culture: the individual and society in the digital age. Amsterdam : Elsevier. 

  9. H. C. Triandis. (2001). Individualism-collectivism and personality. Journal of personality, 69(6), 907-924. DOI : 10.1111/1467-6494.696169 

  10. J. Leach. (2003). Improving user security behaviour. Computers & Security, 22(8), 685-692. 

  11. A. Doolittle & A. C. Faul. (2013). Civic engagement scale: A validation study. Sage Open, 3(3), 2158244013495542. 

  12. T. Buchanan, C. Paine, A. N. Joinson & U. D. Reips. (2007). Development of measures of online privacy concern and protection for use on the Internet.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8(2), 157-165. 

  13. K. Illeris. (2016). How we learn: Learning and non-learning in school and beyond. New York : Routledge. 

  14. R. H. Baayen. (2010). A real experiment is a factorial experiment. The Mental Lexicon, 5(1), 149-157. 

  15. L. M. Jones & K. J. Mitchell. (2016). Defining and measuring youth digital citizenship. New media & society, 18(9), 2063-2079. 

  16. J. P. Kleijnen & C. R. Standridge. (1988). Experimental design and regression analysis in simulation: An FMS case study.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33(3), 257-261. 

  17. S. Hauff, N. F. Richter & T. Tressin. (2015). Situational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The moderating role of national culture. International business review, 24(4), 710-723. 

  18. R.-W. Lee & H.-S. Lee. (2021). An Exploratory Study on the Learing Experiences of Middle-Aged Women: Focusing on the Consumer Cooperative Activities.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17(3), 33-57. 

  19. M. Kim & D. Choi. (2018). Development of youth digital citizenship scale and implication for educational setting.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21(1), 155-171. 

  20. Z. Nyikes. (2018). Contemporary digital competency review. Interdisciplinary Description of Complex Systems, 16(1), 124-131. 

  21. A. Y. Pedersen, R. T. Norgaard & C. Koppe. (2018). Patterns of inclusion: Fostering digital citizenship through hybrid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21(1), 225-23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