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왜 뉴트로 콘텐츠에 열광하는가? : 미디어 콘텐츠의 차별화 전략
Why are We Enthusiastic about New-Tro Contents? : Differentiation Strategy for Media Conten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4, 2022년, pp.47 - 57  

박유란 (경기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송원숙 (숙명여자대학교 미디어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거의 익숙함을 활용한 뉴트로가 미디어 콘텐츠 장르의 하나로 최근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뉴트로 콘텐츠는 복고에서 머무는 것이 아니라 현재 시대 상황에 맞게 변용하여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 창작물로써, 과거에 대한 향수를 느끼는 노스탤지어 감성을 소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사람들의 뉴트로 콘텐츠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해, 2020년 12월에 25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이용자들은 아주 새롭거나 너무 익숙한 콘텐츠보다 적당한 새로움이 가미된 콘텐츠를 좋아할수록 뉴트로 콘텐츠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낯설지만 공감이 가는 뉴트로 콘텐츠의 인기를 '중간 불일치 효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과거의 직접 경험에서 비롯한 '체험적 노스탤지어'와 간접 경험에 의한 '대리적 노스탤지어' 모두 뉴트로 콘텐츠 선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뉴트로 콘텐츠에 대한 이미지는 뉴트로 콘텐츠 구매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뉴트로 콘텐츠에 대한 태도는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뉴트로 콘텐츠의 차별화 전략에 대한 함의를 제안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ewtro is gaining popularity recently as one of the media content genres. Newtro contents are not just a restoration, but are the creations that create new values by adapting to the current situation and appealing to the nostalgia for the past. A total of 254 people participated the online survey. R...

주제어

표/그림 (7)

참고문헌 (37)

  1. 레이놀즈, 사이먼, 레트로 마니아: 과거에 중독된 대중문화, 작업실 유령, 2017. 

  2. 김낙현, 한승우, "레트로 및 뉴트로 현상에 관한 연구동향과 인터넷 신문 기사의 의미 분석," 문화와 융합, 제42권, 제8호, pp.393-414, 2020. 

  3. CEO 인포메이션, "디지털 시대에 더욱 빛나는 아날로그 경쟁력," 삼성경제연구소, 제796호, 2011. 

  4. 통계청, 2019년 연간 지출 가계 동향 조사 결과, 통계청, 2020. 

  5. 서울인포그래픽스, 코로나19가 바꾼 서울시민의 소비, 서울연구원, 2020. 

  6. 김고운, "대리적 노스탤지어 관점에서의 뉴트로 패션디자인 개발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제20권, 제3호, pp.167-186, 2020. 

  7. 이주영, 패션이 된 레코드-바이닐 레코드, 뉴트로를 견인하다, 매일경제 Citylife, 2019. 

  8. 장재웅, "과거에 없던 새로운 과거, 뉴트로 마케팅," 대한상의 브리프, 제97호, 2019. 

  9. G. Mandler, Affect and Cognition: The 17th annual Carnegie Symposium on Cognition, Laurence Erlbaum Associates, 1982. 

  10. S. Packard, "Aesthetics and Psychobiology by D. E. Berlyne (review)," Leonardo, Vol.8, No.3, pp.258-259, 2017. 

  11. J. M. Levy and A. M. Tybout, "Schema congruity as a basis for product evaluation," Journal Consumer Research, Vol.16, No.1, pp.39-54, 1989. 

  12. 신병철, 인터랙티브 마케팅, (주)살림출판사, 2007. 

  13. 전성률, 박혜경, "자아해석과 노스탤지어 큐가 확장제품 선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27권, 제1호, pp.85-106, 2016. 

  14. 장순규, "북한 그래픽 디자인의 뉴트로 가능성 활용 가능성 연구,"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pp.1055-1058, 2019. 

  15. Y. Zhao, "노스탤지어적 공간과 집단기억의 재구성 - 한국 드라마 을 중심으로," 언어 사실과 관점, 제40권, pp.187-209, 2017. 

  16. 박경서, "위험사회 속에서 유동하는 현대인의 불안의식과 노스탤지어," 신영어영문학회, 제67권, pp.99-120, 2017. 

  17. 김민오, "블루벨벳 재방문 하기," 인문과학연구, 제59권, pp.207-229, 2018. 

  18. S. L. Holak, "Feelings, fantasies, and memories: An examination of the emotional components of nostalgia," Jounal of Business Research, Vol.42, No.3, pp.217-226, 1998. 

  19. B. Stern, "Psychological Dimensions of Global Environmental Change,"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21, No.4, pp.11-22, 1992. 

  20. 차문경, 이유재, "노스탤지어의 유형이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연구, 제29권, 제5호, pp.23-49, 2014. 

  21. 김신엽, 백지희,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소비자 경험이 브랜드 자산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pp.677-684, 2014. 

  22. 오두범, 광고 커뮤니케이션 원론, 박영사, 1984. 

  23. P. Herbig and J. Milewicz, "The relationship of reputation and credibility to brand success,"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Vol.10, No.3, pp.18-24, 1993. 

  24. 곽동성, 강기두, 서비스마케팅, 동성사, 1999. 

  25. T. J. Reynolds and J. Gutman, "Advertising is image management,"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24, pp.27-36, 1984. 

  26. K. L. Keller, Strategic brand management: building, measuring, and managing brand equity, Prentice-Hall, 1998. 

  27. 기명옥, 이동일, "브랜드 커피 전문점의 지각된 품질과 브랜드 이미지가 지각된 가치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외식경영연구, 제11권, 제3호, pp.49-72, 2008. 

  28. 김태희, 이보라, 손은영, "브랜드 이미지와 자아 이미지 일치성이 브랜드 태도와 선택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스타벅스를 중심으로," 호텔경영학연구, 제18권, 제1호, pp.171-185, 2009. 

  29. 배일현, 김장현, "엔터테인먼트 상품의 성공으로 인한 한류열풍이 한국제품의 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국제지역연구, 제12권, 제2호, pp.175-201, 2008. 

  30. M. C. Burke and J. A. Edell, "The impact of feelings on ad-based affect and cognition. Journal of marketing elicit consumer inferences of manipulative intent: The importance of balancing benefits and investments,"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Vol.4, No.3, pp.225-254, 1989. 

  31. 전종우, "브랜드 웹툰의 감성 설득모델(affective persuasion model)에서 공감과 전송의 매개효과,"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20권, 제2호, pp.171-197, 2019. 

  32. 황용철, "노스탤지어의 전략적 활용: 중간 불일치 효과를 중심으로," 상품학연구, 제38권, 제3호, pp.9-13, 2020. 

  33. 서상희, "브랜드 스토리텔링 유형이 브랜드 의식, 브랜드 동일시, 이미지 정교화,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태도의 구조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광고연구, 제108권, pp.31-63, 2016. 

  34. M. C. Campbell and R. C. Goodstein,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risk on comsumers' evaluations of product incongruity: Preference for the norm,"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28, No.3, pp.439-449, 2001. 

  35. T. J. Noseworthy and R. Trudel, "Looks interesting, but what does it do? Evaluation of incongruent product form depends on positioning,"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48, No.6, pp.1008-1019, 2011. 

  36. J. M. Suls, The Psychology of Humor: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empirical issues, Academic Press, 1972. 

  37. 김성철, 곽규태, 김영규, 류민호, 박주연, 안정민, 이문행, 이상우, 장병희, 정윤혁, 최세정, 홍성철, 미디어경영론, 도서출판 한울, 2015.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