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멸종위기종 팔색조 전국 번식울음 분포 및 생물계절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Nationwide Song Distribution and Phenological Characteristics of Fairy Pitta Pitta Nympha, an Endangered Species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6 no.2, 2022년, pp.139 - 149  

최세준 (상지대학교 대학원 응용식물과학과 원예조경학전공) ,  기경석 (상지대학교 환경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국 보호지역을 대상으로 생물음향 녹음기술을 이용하여 팔색조 번식울음을 탐지하고 생물계절 특징을 파악하여 팔색조 서식지 보호와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작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지는 전국 보호지역 36개소였다. 데이터 수집 기간은 2019년 1월부터 12월이며, 분석 기간은 2019년 5월 1일부터 2019년 8월 31일이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36개소의 연구대상지에서 팔색조 번식울음이 탐지된 곳은 22개소였다. 번식울음 빈도 분석 결과 높은 빈도를 나타낸 지역은 제주도를 포함한 남부내륙이었고, 위도가 제일 높은 지역은 설악산국립공원이었다. 두 번째, 팔색조 번식울음 초성은 2019년 5월 14일에 한려해상국립공원 금산에서 나타났고, 종성은 2019년 8월 6일에 고창 운곡습지에서 나타났다. 세 번째, 번식울음 일주기 분석 결과 05시에 울음 빈도수가 급격하게 상승하여 06시에 피크를 나타낸 뒤, 다시 줄어드는 패턴이 나타났다. 네 번째, 번식울음 계절주기 분석 결과 2019년 5월 14일부터 8월 6일까지 나타났고, 번식울음 누적빈도가 가장 높은 날은 6월 3일(Julian date: 154)이었다. 번식울음이 탐지된 날의 평균 기온은 17.4℃, 평균 강수량은 0.02mm, 평균 습도는 82.6%이었다. 다섯 번째, 팔색조 번식울음과 기상요인과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번식울음과 기온과의 관계가 음의 상관관계(p<0.001)를 나타내었고, 강수량(p=0.053), 습도(p=0.077)는 유의한 의미를 나타내지 않았다(df=471). 본 연구는 전국 보호지역을 대상으로 생물음향 녹음기술을 이용하여 팔색조의 번식울음 분포를 확인하고, 울음기간, 기상요인과의 관계를 정밀하게 분석하여 생태적 특성을 밝힌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prepare basic data for protecting the habitat of Fairy Pitta Pitta nympha and coping with climate change by detecting songs with bio-acoustic recording technology and identifying phenological characteristics in protected areas in Korea. The study sites were 36 protected areas nat...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25)

  1. Alquezar, R.D. and R.B. Machado(2015) Comparisons between autonomous acoustic recordings and avian point counts in open woodland savanna. The Wilson Journal of Ornithology 127(4): 712-723. 

  2. Aminuddin, S.F., A.K.S. Putera, N. Zackeisha, T.N. Sulaeman and A. Nasution(2020) The status of Fairy Pitta in Indonesia with new records from Java and Riau Islands. KUKILA 23: 32-36. 

  3. Both, C., J.J. Sanz, A.V. Artemyev, B. Blaauw, R.J. Cowie, A.J. Dekhuijzen, A. Enemar, A. Jarvinen, N.E.I. Nyholm, J. Potti, P.A. Ravussin, B. Silverin, F.M. Slater, L.V. Sokolov, M.E. Visser, W. Winkel, J. Wright and H. Zang(2006) Pied Flycatchers Ficedula hypoleuca travelling from Africa to breed in Europe: Differential effects of winter and migration conditions on breeding date. Ardea 94(3): 511-525. 

  4. Bruni, A., D.J. Mennill and J.R. Foote(2014) Dawn chorus start time variation in a temperate bird community: Relationships with seasonality, weather, and ambient light. Journal of Ornithology 155(4): 877-890. 

  5. Choi, S.J. and K.S. Ki(2019) Nocturnal Birds Detec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through Bioacoustic Monitoring. Korean J. Environ. Ecol. 33(6): 636-64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Collar, N.J., A.V. Andreev, S. Chan, M.J. Crosby, S. Subramanya and J.A. Tobias(2001) Threatened Birds of Asia: The Birdlife International Red Data Book. Bird Life International. Cambridge, UK, 1926pp. 

  7. Cotton, P.A.(2003) Avian migration phenology and global climate chang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0(21): 12219-12222. 

  8. Gim, J.Y., J.Y. Lee and K.S. Ki(2017) Differences in the Soundscape Characteristics of a Natural Park and an Urban Park. Korean J. Environ. Ecol. 31(1): 112-1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Haiyuan, Q., Y. Jianping, S. Xiaoli, D. Ping and L. Sheng(2019) Diversity and composition of birds in the Qianjiangyuan National Park pilot. Biodiversity Science 27(1): 76. 

  10. Hong, G.P., J.H. Kim, S.G. Seo, S.Y. Cho, B.Y. Hwang, J.H. Park, S.Y. Lee, G.Y. Kim, W.H. Nam and H.C. Sung(2021) Distribution of the Fairy Pitta (Pitta nympha) in the South Korea: A focus on protected areas. Kor. J. Orni. 28(2): 88-96. 

  11. Jeon, Y.J. and K.S. Ki(2018) Amphibian Species Identification of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 In case of Jeunggwan-dong wetland in Bukhansan national park.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9(3): 343-35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Johnson, R.R., B.T. Brown, L.T. Haight and J.M. Simpson(1981) Playback recordings as a special avian censusing technique. Studies in Avian Biology 6: 68-75. 

  13. Kim, E.M., Y.S. Jeon, S.J. Kim, C.W. Kang, H.K. Won and G.S. Jeong(2014) The genetic approach on analyzing the habitat characteristics of Fairy pitta Pitta nympha inhabiting Jeju island, The Korean Peninsula and Taiw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7(1): 81-9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E.M., C.R. Park, C.W. Kang and S.J. Kim(2012) The nestling diet of fairy Pitta Pitta nympha on Jeju Island, Korea. Open Journal of Ecology 2: 178-182. 

  15. Kim, E.M., Y.S. Jeon, G.S. Jeong, S.J. Kim, C.W. Kang, M.R. Oh, P.R. Noh and H.K. Won(2014) The Study on the Sexual Difference in the Cause and the Time of Casualty and in the Size of the Fairy Pitta (Pitta nympha) through DNA Analysis in Republic of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3(8): 1447-145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im, Y.H., Y.C. Jang, H.S. Oh and S.S. Choi(2010) Habitat environment and distribution of Fairy Pitta Pitta nympha in Jeju island and hampyung county of Korea. Korean Journal of Ornithology 17(4): 317-3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im, Y.J. and K.S. Ki(2018)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Breeding Call of Cicadas in Urban and Forest Areas. Korean J. Environ. Ecol. 32(6): 698-70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Kwon, Y.S., D.W. Kim, W.S. Lee, I.K. Kwon, W.K. Paek and J.C. Yoo(2007) Birds of Hongdo island used as a breeding or stopover site in Korea. Kor. J. Orni. 14(1): 51-6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Lin, R.S., P.F. Lee, T.S. Ding and Y.T.K. Lin(2007) Effectiveness of playbacks in censusing the Fairy Pitta (Pitta nympha) during the breeding season in Taiwan. Zoological Studies 46(2): 242-248. 

  20.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2000) The 2nd Nature Investigation Report 1997. Incheon. (in Korean) 

  21. Park, H.W., D.Y. Park and S.K. Choi(2018) Changes in Avian Distribution in the Republic of Korea-A Response to Climatic and Environmental Condition Change-. J Energy Climate Change Educ. 8(2): 235-253. 

  22. Park, J.G.(2014) Identification Guide to Birds of Korea, Checklist of Organisms in Korea 12 (series). Nature and Ecology Publication, Seoul. (in Korean) 

  23. Perez-Granados, C. and K.L. Schuchmann(2021) Seasonal Climate Impacts on Vocal Activity in Two Neotropical Nonpasserines. Diversity 13(7): 319. 

  24. Thomas, R.J., T. Szeskely, I.C. Cuthill, D.G. Harper, S.E. Newson, T.D. Frayling and P.D. Wallis(2002) Eye size in birds and the timing of song at dawn.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Series B: Biological Sciences 269(1493): 831-837. 

  25. Yoo, S.H., H.J. Han, D.W. Kim and W.Y. Joo(2015) Evaluation of the Forest Bird Community by using a Sound Recording System-Verification for the Avifauna evaluation in the non-breeding season-. Korean J. Environ. Ecol. 29(2): 174-18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