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논증구조 수업설계 프로그램을 통한 예비 지구과학 교사의 과학논증 PCK 발달 모델 제안
Suggestion of the Scientific Argumentation PCK Developmental Model for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 through an Instructional Design Program Using Argumentation Structures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5 no.1, 2022년, pp.76 - 90  

박원미 (성남여자고등학교) ,  곽영순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20명의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논증구조 수업설계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심층 면담을 진행하고 자료를 분석하여 과학논증 PCK 발달 모델을 도출하였다. 과학논증 PCK 발달 모델은 과학논증 PCK, PCK 생태계, 반성적 실천 등 세 가지 차원으로 구성된다. 과학논증 PCK는 논증구조를 교수적 추론 도구로 활용하여 수업을 설계하거나 실행하는 과정에서 발휘된다. PCK 생태계는 과학논증 PCK를 둘러싸고 상호작용하며 발달하는 차원으로, 기존의 통상적인 PCK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반성적 실천은 과학논증 PCK와 PCK 생태계, 두 차원을 매개함으로써 각각의 차원을 조절하고 다양한 양태로 발달시킨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과학교사들은 교수적 추론 도구로 논증구조를 활용하여 수업을 설계하거나 실행하는 과정에서 과학논증 PCK를 발휘할 수 있다. 둘째, 과학논증 PCK를 통해 다양한 PCK 생태계 구성요소들을 개발할 수 있으므로, 과학교사의 PCK 개발을 위해 과학논증 PCK와 같은 교수적 추론 도구와 관련된 PCK 개발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끝으로, 과학논증 PCK는 반성적 실천을 유발하여 PCK 생태계 구성요소의 발달을 촉진하므로, 예비 과학교사의 반성적 실천을 지원하기 위해 과학논증 PCK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fter applying the argument structure class design program for 20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 we conducte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alyzed the data, and derived a scientific argumentation PCK development model. The scientific argumentation PCK development model consist...

Keyword

표/그림 (8)

참고문헌 (37)

  1. 곽기영(2014). 소셜네트워크분석. 서울: 청람. 

  2. 곽영순(2009). 교실 수업에서 초임 과학교사의 교과내용 지식이 내용교수지식에 주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6), 611-625. 

  3. 교육부(2015).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9], 세종: 교육부. 

  4. 김선경, 민희정, 방은정, 백성혜(2011). 중학교 과학영재 담당교사의 PCK 요소의 특징과 관련성. 영재교육연구, 21(4), 801-828. 

  5. 김선아, 이신영, 김희백(2015). 협력적 성찰과 과학 논변수업 실행에서 드러난 교사의 논변특이적 PCK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6), 1019-1030. 

  6. 박원미, 곽영순(2021). 예비 지구과학 교사의 교수학습지 도안에 나타난 논증 수준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4(2), 123-135. 

  7. 박철용, 민희정, 백성혜(2008). 교육실습을 통한 예비과학 교사의 교수내용지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641-648. 

  8. 방은정, 백성혜(2012). 중학교 과학교사의 교수전략을 통한 교수지향 분석.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6(2), 274-289. 

  9. 서경혜(2005). 반성적 교사교육의 허와 실. 한국교원교육연구, 22(3), 307-332. 

  10. 서경혜(2013). 교사 학습에 대한 공동체적 접근. 교육과학연구, 44(3), 161-191. 

  11. 송진웅, 강석진, 곽영순, 김동건, 김수환, 나지연, 도종훈, 민병곤, 박성춘, 배성문, 손연아, 손정우, 오필석, 이준기, 이현정, 임혁, 정대홍, 정종훈, 김진희, 정용재(2019). 미래세대를 위한 '과학교육표준'의 주요 내용과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3), 465-478. 

  12. 신선경(2009). 과학의 언어: 이론 구성과 소통 기능을 중심으로. 사고와표현, 2(1), 35-60. 

  13. 위수민, 윤지영, 임성만(2014). 지구과학 관련 사회적 문제(socio-scientific issue)와 관련된 논증적 글쓰기를 통해 알아본 예비교사들의 논증구조 발달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1), 11-23. 

  14. 윤선미, 김희백(2011). 소집단의 논변활동을 위한 과학탐구 과제의 개발과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5), 694-708. 

  15. 이효녕, 조현준(2012). 학교 과학교육에서의 과학적 논증활동을 위한 탐구학습 지도방법 탐색.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5(2), 175-188. 

  16. 임청환(2003). 초등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발달이 과학 교수 실제와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구과학회지, 24(4), 258-272. 

  17. 정주혜, 김희백(2010). 증거 기반 설명 활동이 고등학생들의 논변 수준과 진화 개념 변화에 미치는 영향. 생물교육(구 생물교육학회지), 38(1), 168-183. 

  18. Abell, S. K. (2007). Research on science teacher knowledge. In S. K. Abell, & N. G. Lederman (Eds.),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pp. 1105-1149).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 Arnaboldi, V., Passarella, A., Conti, M., & Dunbar, R. I. (2015). Online social networks: Human cognitive constraints in Facebook and Twitter personal graphs. New York, NY: Elsevier. 

  20. Beyer, C. J., & Davis, E. A. (2008). Fostering second graders' scientific explanations: A beginning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beliefs, and practice.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17(3), 381-414. 

  21. Carlson, J., Daehler, K. R., Alonzo, A. C., Barendsen, E., Berry, A., Borowski, A., ... Wilson, C. D. (2019). The refined consensus model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education. In A. Hume, R. Cooper, & A. Boroswki (Eds.), Repositio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teachers' knowledge for teaching science (pp. 77-94). Singapore: Springer. 

  22. Chin, C., & Osborne, J. (2010). Student's questions and discursive interaction: Their impact on argumentation during collaborative group discussions in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7(7), 883-908. 

  23. Crippen, C. (2012). Enhancing authentic leadership-followership: Strengthening school relationships. Management in Education, 26(4), 192-198. 

  24. Gess-Newsome, J. (1999).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 introduction and orientation.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p. 3-17). Dordrecht: Kluwer. 

  25. Gess-Newsome, J. (2015). A model of teacher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 including PCK: Results of the thinking from the PCK summit. In A. Berry, P. Friedrichsen, & J. Loughran (Eds.), Re-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education (pp. 28-42). London, UK: Routledge Press. 

  26. Jimenez-Aleixandre, M. P., Bugallo Rodriguez, A., & Duschl, R. A. (2000). "Doing the lesson" or "doing science": Argument in high school genetics. Science Education, 84(6), 757-792. 

  27. Magnusson, S., Krajcik, L., & Borko, H. (1999). Nature, sources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p. 95-132). Dordrecht: Kluwer. 

  28. McNeill, K. L., & Knight, A. M. (2013).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tific argumentation: The impact of professional development on K-12 teachers. Science Education, 97(6), 936-972. 

  29. McNeill, K. L., & Pimentel, D. S. (2010). Scientific discourse in three urban classrooms: The role of the teacher in engaging high school students in argumentation. Science Education, 94(2), 203-229. 

  30. McNeill, K. L., Gonzalez-Howard, M., Katsh-Singer, R., & Loper, S. (2016).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argumentation: Using classroom contexts to assess high-quality PCK rather than pseudoargument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3(2), 261-290. 

  31. Park, S., & Chen, Y. C. (2012). Mapping out the integration of the component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Examples from high school biology classroom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9(7), 922-941. 

  32. Roy, S., & Bairagya, S. (2019). Conceptualis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of science from Shulman's notion to Refined Consensus Model(RCM): A journey. Education India Journal: A Quarterly Refereed Journal of Dialogues on Education, 8(2), 10-53. 

  33. Sampson, V., & Blanchard, M. R. (2012). Science teachers and scientific argumentation: Trends in views and practi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9(9), 1122-1148. 

  34. Schon, D. A. (1983).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New York: Basic Books. 

  35. Simon, S., & Johnson, S. (2008). Professional learning portfolios for argumentation in school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0(5), 669-688. 

  36. Toulmin, S. E. (2006). 논변의 사용(The Uses of Argumentation). 고현범, 임건태 역, 서울: 고려대학교출판부. (원서출판 2003). 

  37. Veal, W. R., & MaKinster, J. G. (1999).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axonomies. Educ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4), 1-14. Retrieved February 24, 2021 from https://ejrsme.icrsme.com/article/view/7615/5382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