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상현실(VR) 지질자료 개발을 통한 원격수업의 효과 분석: 지오빅데이터 오픈플랫폼 활용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the Online Learning Using Virtual Reality (VR) Geological Data: Focused on the Geo-Big Data Open Platform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5 no.1, 2022년, pp.47 - 61  

한도윤 (청계초등학교) ,  김형범 (충북대학교) ,  김흥태 (서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제공하는 빅데이터 플랫폼의 지오빅데이터를 토대로 가상현실 지질자료를 개발하고 이 자료를 중심으로 학생들이 직접 주제를 선정하고, 이에 대한 가상현실 자료를 개발하는 원격수업을 운영하였으며, 이에 대한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따라서 지오빅데이터에서 제공하는 지질 주제도는 실제 한국의 지질노두를 가상현실을 바탕으로 재구성하여 수업자료를 제작하였고, 지형정보 데이터는 원격수업을 위한 자료 제작을 위해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으로 무선표집에 의해 20명의 학생들을 선정하였고 가상현실 지질자료 개발의 원격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의 변화 및 수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인터뷰를 포함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귀납적 범주화를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상현실 지질자료 개발 원격수업에 대한 흥미도, 활용도 및 지식활용도에서 학생들은 긍정적인 수업반응을 나타내었다. 이는 가상현실을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의사소통을 위한 협력을 유발하여 고정된 틀에서 벗어나 다양하고 융통성 있는 학습의 적응성을 나타낸 결과이다. 둘째, 가상현실 지질자료 개발의 원격수업에 대해 학생들은 '현실감 있는 체험 학습 과정', '동기유발에 의한 몰입감 있는 학습 과정', '지구과학 분야 지식 습득의 학습 과정'으로 인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developed VR (Virtual Reality) geological resources based on the Geo Big Data of the Big Data platform that provided by the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Material (KIGAM). So students selected the theme of lessons by using these resources and we operated Remote classes ...

주제어

표/그림 (12)

참고문헌 (30)

  1. 권영옥(2013). 빅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교육 서비스 활성화 방안연구.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지, 19(2), 87-100. 

  2. 김우겸, 최동열, 곽승철, 김희수(2019).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학습이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소, 43(3), 271-283. 

  3. 김정아, 김민규, 유혜진, 김용민, 김종훈(2019). 파이썬을 활용한 데이터 시각화 교육이 초등학교 6 학년 학생의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3(3), 197-206. 

  4. 김태현, 고장완(2019). 몰입형 가상현실 학습이 중학생의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지, 25(1), 99-120. 

  5. 김효정(2020). 가상현실 체험에 기초한 디자인 수업이 중학생의 창의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학회지, 33(3), 177-188. 

  6. 김희수(2014). 3D 파노라마 가상 현실 기술을 이용한 지질 답사 학습 자료의 개발과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35(3), 180-191. 

  7. 남충모, 김종우(2018). 학습자에 따른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 교육의 비교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지, 22(5), 585-592. 

  8. 미래창조과학부(2016).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지능정보사회 중장기 종합대책. 세종: 미래창조과학부. 

  9. 박지수(2019). 사회과 학습자료로서 데이터 시각화기법의 효과 연구: 초등학교 3, 4학년을 대상으로. 사회과교육, 58(3), 57-73. 

  10. 박현린, 손은남(2020).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기술을 기반으로 한 매체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국내 동향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지, 20(5), 725-741. 

  11. 손미현(2020). 지식정보처리역량 함양을 위한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 모형 개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유상미, 김형범, 김용기, 김흥태(2021). WWT 빅데이터를 활용한 중학교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4(1), 33-47. 

  13. 윤마병(2019). 3D 파노라마 가상현실 만들기를 통한 학성리 맨삽지 야외학습장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현장과학교육, 13(3), 339-358. 

  14. 이경순, 한정선(2001). 교수-학습 과정에서 가상현실의 구현을 위한 이론적 고찰. 교육공학연구, 17(3), 133-163. 

  15. 최섭, 김희백(2020). 가상현실 특성을 반영한 VR 프로그램 기반 수업 적용 및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0(2), 203-216. 

  16. 한도윤(2018). 초등학교 지층관련 학습을 위한 가상현실 자료 개발. 석사학위논문, 23-50. 

  17. 한신, 김형범, 김용기, 송하명(2020). 비유를 활용한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중학교 '태양계' 단원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3(1), 15-28. 

  18. 홍석영, 한신, 김형범(2020). 데이터 기반 STEAM 교육을 통한 문제 해결 과정 분석_대기대순환과 표층 해류 내용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3(3), 330-343. 

  19. Ault, C. R. (1998). Criteria of excellence for geological inquiry: The necessity of ambiguit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2), 189-212. 

  20. Fouh, E., Akbar, M., & Shaffer, C. A. (2012). The role of visualization in computer science education. Computers in the Schools, 29, 95-117. 

  21. Hsieh, Y. J., & Cifuentes, L. (2006). Student-generated visualization as a study strategy for science concept learning. Educational Technology and Society, 9(3), 137-148. 

  22. Jeong, Y., Kim, H., & Lee, C. (2021). Effects of science journaling on elementary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Korea. Sustainability, 13(17), 9691. 

  23. Krueger, M. W. (1991). Artificial reality (2nd ed.). Reading, MA: Addison-Wesley. 

  24. Laudan, R. (1987). From mineralogy to geology: The foundations of a science, 1650-1830. Chicago, Illinoi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5. Lincoln, Y. S., & Guba, E. G. (2000). Paradigmatic controversies, contradictions, and emerging confluences. In N. K. Denzin, & Y. S. Lincoln (Ed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2nd ed., pp. 163-188). Thousand Oaks, CA: Sage. 

  26. McLellan, H. (1994). Virtual reality and multiple intelligences: Potentials for higher education. Computing in Higher Education, 5(2), 33-66. 

  27. Michael, H. (1997). 가상현실의 철학적 의미. 서울: 책세상. 

  28. Orion, N. (1993). A modelfor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field trips as an integral part of the science curriculum.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3(6), 325-331. 

  29. Orion, N., & Hofstein, A. (1994). Factorsthat influence learning during a scientific field trip in a natural environ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10), 1097-1119. 

  30. Pantelidis, V. S. (1993). Virtual reality in the classroom. Educational Technology, 33(2), 23-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