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전환 플랫폼으로서의 메이커스페이스 고도화 방안연구
A study on the advancement of makerspace as a digital transformation platform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20 no.5, 2022년, pp.599 - 608  

정원중 (경기도 경제과학진흥원 미래기술진흥팀) ,  최낙혁 (가천대학교 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부주도로 설립된 기존의 메이커스페이스는 현장의 실제 수요를 반영하지 못하여 성과창출에 한계가 있다는 비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메이커스페이스의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하고,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정부의 정책자료를 분석하여 메이커스페이스의 현황을 정리하였고, 해당 시설을 사용하는 ICT 디바이스 관련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D·N·A 기술수요, 경영 애로사항, 정부지원 정책에 대한 의견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는 디지털전환 플랫폼으로서의 메이커스페이스 고도화 방안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D·N·A 기술을 도입하기 위한 기존 산업의 특성상 기업이 자체적으로 시장에 진입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정부차원의 종합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신제품·서비스 개발을 위한 실증 테스트베드를 구축·확대해 다양한 형태의 메타버스 콘텐츠 발굴과 기존 사업의 디지털전환 융합 모델이 도출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메이커스페이스를 정부주도의 창업지원 정책을 구현하는 플랫폼으로서 운영하고자 하는 지원방식을 수정하여, 민간에서 잘 할 수 있는 부분은 과감히 민간에 이관하고 그 안에서 산학연 참여주체가 자유롭게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지원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발견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고려하여, 기존의 메이커스페이스가 현장의 수요에 적합한 디지털전환 플랫폼으로 고도화되길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has been criticism that the government-led makerspace did not reflect the actual demand of makers, so there was a limit to performance creation. In this regard, the study aims to diagnos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makerspace and to suggest the implication to respond to policy demand. ...

주제어

표/그림 (4)

참고문헌 (23)

  1. M. Hatch. (2014). The maker movement manifesto : Rules for innovation in the new world of crafters, hackers, and tinkerers. McGraw Hill Professional DOI : 10.5860/choice.51-3798 

  2. S. M. Lee. (2017).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omestic and foreign manufacturers space trend,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 Issue Report, 2017-2025. 

  3. J. S. Park. (2018). A study on the elements of university library makerspace oper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4. K. Sheridan, E. R. Halverson, B. Litts, L. Brahms, L. Jacobs-Priebe, & T. Owens. (2014). Learning in the making: A comparative case study of three makerspaces. Harvard Educational Review, 84(4), 505-531. DOI : 10.17763/haer.84.4.brr34733723j648u 

  5. K. Koh & J. Abbas. (2015). Competencies for information professionals in learning labs and makerspaces. Journal of Education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6(2), 114-129. DOI : 10.12783/issn.2328-2967/56/2/3 

  6. D. R. Jung, E. Chae, S. M. Kwon, & D. Y. Kim. (2019). A Study on the Direction of Maker Space Planning for Innovative Entrepreneurship in Urban Area - Focused on major makers spaces in the US (Techshop, Fablab, Autodesk Pier 9).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35(2), 23-31. DOI : 10.5659/JAIK_PD.2019.35.2.23. 

  7. M. A. Halbinger. (2018). The role of makerspaces in supporting consumer innovation and diffusion: An empirical analysis. Research Policy, 47(10), 2028-2036. DOI : 10.1016/j.respol.2018.07.008 

  8. R. E. Browder, H. E. Aldrich, & S. W. Bradley. (2019). The emergence of the maker movement: Implications for entrepreneurship research.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34(3), 459-476. DOI : 10.1016/j.jbusvent.2019.01.005 

  9. J. Walter-Herrmann & C. Buching. (2014). FabLab: Of Machines, Makers and Inventors. Bielefeld: transcript Verlag. DOI : 10.1515/transcript.9783839423820 

  10. J. W. Seo & J. I. Choi. (2020). An Exploratory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of Spatial Composition and Innovation in Makerspace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5(4), 263-275. DOI : 10.16972/apjbve.15.4.202008.263 

  11. Korea Institute of Startup &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2020). A Survey of Maker Space Performance, 12-13 

  12. J. M. Go. (2021.7.29.). etoday. https://www.etoday.co.kr 

  13. M. J. Sung. (2020). Impact Factors of Decoupling in Family-Friendly Policies: Observations on Institutional Isomorphism and Organizational Culture.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14. J. H. Chae. (2010). Effects of the structural inertia on institutional decoupling for public enterprise's organization. [Doctoral dissertation, Kookmin University]. 

  15. J. S. Koo. (2009). A Study on the Maternity Protection in Korean Companies : Focusing on the Adoption and Decoupling of Practices. Survey Research, 10(3),107-130. 

  16. H. I. Kwon & J. H. Kim. (2019). Invigorating Makerspaces in Korea: Empirical Analysis on Operating Components of Makerspace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4(2), 105-118. DOI : 10.16972/apjbve.14.2.201904.105 

  17. J. W. Meyer & B. Rowan. (1977). Institutionalized Organizations: Formal Structure as Myth and Ceremony.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3(2), 340-363. DOI : 10.1086/226550 

  18. E. J. Van Holm.. (2014). What are Makerspaces, Hackerspaces, and Fab Labs? Available at SSRN: http://ssrn.com/abstract2548211. DOI : 10.2139/ssrn.2548211 

  19. S. Han. (2016). Promotion of Maker Space for Manufacturing Collaboration Innovation: Focused on China case. Korea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Issue Report. 

  20. K. A. Lee. (2021). A Study on Immersive Media Technology in the Metaverse World.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26(9), 73-79. DOI : 10.9708/JKSCI.2021.26.09.073 

  21. W. Y. Park. (2020). Investigation of makerspace construction and operational performance. Korea Institute of Startup and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22. E. J. Lee & Y. M. Jung. (2019). A Study on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Makerspace in Korean Academ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0(4), 223-247. DOI : 10.16981/KLISS.50.4.201912.223. 

  23. J. W. Seo. (2020). Exploratory Study for the Startup Spatialisation of Makerspace : Focus on the Openness and Expertise. [Doctoral dissertation, Hanbat National University].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