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생주도형 수업전략을 활용한 과학 교수 학습이 초등학생의 과학과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Using Student-led Instructional Strategie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Core Competencies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9 no.2, 2020년, pp.228 - 242  

강헌태 (중동초등학교) ,  노석구 (경인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tudent-led instructional strategy that is central to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s. For this study, we analyzed the learner-centered learning types (discovery learning, problem-based learning, inquiry learning) and extracted e...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설명에는 기존지식을 수정하거나 분화하는 등의 정련된 지식의 과정이 필요하며, 형식적 조작기 이상의 학생에게 적합한 모형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본 연구 역시,학생 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초등 고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새로운 교수 학습전략을 구안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김인숙(2003)이 공통적으로 학습자 중심 학습 유형으로 제시한 발견 학습, 문제 해결 학습, 탐구 학습을 대상으로 각 학습 유형이 가지는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학생주도형 수업전략에 활용이 가능한 요소를 추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육에서 강조하고 있는 학습자 중심의 교수 학습을 구성하기 위하여 학생주도형 수업전략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수업전략이 학생들의 과학 교과 역량 발달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초등 6학년 2개 학급 55명 학생을 대상으로 학생 주도형 수업전략을 활용한 실험집단과 기존의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을 진행한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과학 교과 역량 5가지 요소를 비교하는 연구로 진행하였으며,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이 교수 학습의 주인이 되어 문제 인식, 탐구 계획, 실행, 평가, 피드백 등 학습의 전 과정을 주도하는 학생주도형 수업전략을 개발하였다. 학생주도형 수업전략은 수업 과정에서 학생에게 보다 많은 권한과 선택권을 주어,수업의 주인이 되도록 하기 위한 수업전략으로 교수 학습 과정의 탐구 계획, 탐색, 결과, 정리, 피드백 등을 학생이 주도적으로 진행하는 수업이다.
  • 이와 함께 발표 과정에서 동료 평가도 진행하였다. 수업이 마무리된 후, 본인이 판단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2개의 모둠을 스티커에 붙이도록 하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우수 동료 평가 모둠에게 보상을 진행하였다.
  • 학생주도형 수업을 위해 교사가 직접 학습 과정에 참여하면서 지속적인 피드백과 과정 중심 평가가 이루어지는 학습 방향을 모색하였다. 개발된 교수 학습 과정에서 교사는 소그룹별로 진행되는 학습 과정(미션 해결 과정)에 동료로서 의사소통 과정에 참가하여 학생들과 함께 의견을 교환하고 상호작용을 통해 그들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는 동시에 개별적인 피드백을 진행할 수 있다.

가설 설정

  • 탐구 학습은 현재의 지식으로 설명이 부족하거나, 적절치 않은 현상을 발견되거나 예상될 때 새로운 설명 체계를 가정한다. 이러한 설명에는 기존지식을 수정하거나 분화하는 등의 정련된 지식의 과정이 필요하며, 형식적 조작기 이상의 학생에게 적합한 모형으로 인식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핵심역량을 어떻게 제시하였는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핵심역량을 자기 관리 역량, 지식 정보 처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심미적 감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으로 제시하고, 이를 학교 교육을 통해 실현함으로써 미래 사회를 주도할 수 있는 미래 지향적 학생을 길러내고자 하고 있다. 이러한 핵심역량을 구현하기 위해 과학교육에서는 다섯 가지의 과학과 교과 역량인 과학적 사고력, 과학 탐구 능력, 과학적 문제해결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과학적 참여와 평생학습능력을 새로운 과학교육의 방향으로 제시하였다(교육부, 2015b).
핵심역량은 무엇인가? 2015 개정 교육과정은 급속히 진화하는 과학 기술에 따라 급변하는 세계에 적응하고, 사회 변화를 주도해 나갈 수 있는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사고를 갖춘 학생을 길러야 함을 명시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핵심역량이라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제시하였다. 핵심역량은 초․중등 교육을 통해 누구나 길러야 할 기본적이고 보편적이며 공통적인 능력을 말하는 것으로,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것이 아닌 학습을 통해 향상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교육부, 2015a).
학생이주도하는 수업인 학생주도형 수업의 첫 단계 활동은? 학생주도형 수업은 교수 학습 전 과정을 학생이주도하는 수업으로 학습 과정에서 나타난 실험 결과에 대한 해석 및 결론을 주어진 데이터를 바탕으로 스스로 도출하고, 이에 대한 책임도 함께 주어지는 형태이다. 학생주도형 수업의 첫 단계인 사전학습을 통해 학생들은 학습 내용과 관련된 배경 지식을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습 결과를 예상하면서 탐구 계획을 세우고 탐구를 진행한다. 학생들은 탐구를 통해 얻은 여러 자료를 활용하여 결과를 해석하고, 산출물을 제시하는 과정에서 모둠원이나 다른 모둠의 학생들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자료를 가공하고 변환하는 과정을 여러 번 경험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APA (1997). Learner-centered psychological principles: A framework for school reform and redesig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 Choi, H. (2000). Learning content and constructivism. Edezone 21, Ministry of Education. 

  3. Dalgarno, B. (1998). Choosing learner activities for specific learning outcomes: A tool for constructivist computer assisted learning design. In C. McBeath & R. Atkinson (Eds.), Planning for progress, partnership and profit: Proceedings Ed Tech'98. Perth: Australian Society for Educational Technology. 

  4. Duffy, T., Lowyck, J., Jonassen, D. & Welsh, T. (Eds.). (1993). Designing environments for constructivist learning. Midtown Manhattan, NY: Springer-Verlag. 

  5. Duit, R. & Treagust, D. F. (1995). Students' conceptions and constructivist teaching approaches. Improving science education.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 Eggen, P. & Kauchak, D. (1999). Educational psychology: Window on classrooms. Columbus, OH: Merrill. 

  7. Fosnot (1996). Constructivism. Theory, perspectives, and practice. NY: (S.N). 

  8. Grow, G.O. (1991). Teaching learners to be self-directed. Adult Education Quarterly, 41(3), 125-149. 

  9. Ha, H. & Kim, H. (2019). A Theoretical investigation on agency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student- centered learning communities in science classrooms.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9(1), 101-113. 

  10. Ha, J. (2017). Development of the ALP model for efficient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Doctoral dissert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1. Ha, M., Park, H., Kim, Y., Kang, N., Oh, P., Kim, M., Min, J., Lee, Y., Han, H., Kim, M., Ko, S. & Son, M.(2018). Developing and applying the questionnaire to measure science core competencies ba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8(4), 495-504. 

  12. Hanze, M. & Berger, R. (2007). Cooperative learning, motivational effects, and student characteristics: An experimental study comparing cooperative learning and direct instruction in 12th grade physics classes. Learning and Instruction, 17(1), 29-41. 

  13. Herrington, J., Oliver, R. & Herrington, A. (2007). Authentic learning on the web: Guidelines for course design, Retrieved May, 5, 2009, from http://ro.uow.edu.au/edupapers/48 

  14. Huh, K. (2010). Exploring the intrinsic value of activitybased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50, 235-256. 

  15. Jacobs, G.M., Power, M. A. & Loh, W. I. (2011). Aha! Cooperative learning. Seoul: Sigma Press. 

  16. Jo, H. (2018). An analysis of elements of scientific inquiry presented in 2015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Focusing on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22(3), 208-218. 

  17. Johnson, R. T. & Johnson, D. W. (1989). Cooperation and competition: Theory and research. Edina, MN: Interaction Book. 

  18. Jonassen, D. H. (1991). Objectivism versus constructivism: Do we need a new philosophical paradigm?. ETR&D, 39(3), 5-14. 

  19. Jun, S. (2013). Development of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tes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 Kang, I & Joo, H. (2009). Re-conceptualization of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The status quo of the inservice teachers.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9(2), 1-34. 

  21. Keller, J. M. (1983). Development and use of the ARCS model of instructional design. Journal of Instructional Development, 10(3), 2-10. 

  22. Kim, C. & Lee, H. (2017). The effects of science classes applying round robin strategy on scientific communicative competence,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tudent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6(4), 394-404. 

  23. Kil. H. (2001). A study on instructional principles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2), 1-30. 

  24. Kim, H., Jeong, S. & Lee, H. (2018). The effects of learner activity-centered science class on elementary students' attitude towards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and concept sustainability. Scienc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42(2), 106-119. 

  25. Kim, H. & Jung, E. (2018). How to apply 2015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t the general high school. Korea Curriculum Evaluation Research, 21(1), 61-77. 

  26. Kim, H., Jung, W. & Jung, J. (1998). Development of evaluation system of definition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science at the national level.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8(2), 158-163. 

  27. Kim, I. (2003).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implementation of learner-centered instruction.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Elementary Education, 17(2), 125-151. 

  28. Kim, J. & Kim, Y. (2018). The comparative study of questioning type on the grade 3 and 4 science textbook in elementary school between the 2009 curriculum and the revised 2015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11(2). 116-124. 

  29.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5). Curriculum development policy joint workshop fo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4th). Seou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30. Kwon, N. (2001). Learner-centered education character and theory.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1), 29-40. 

  31. Kwon, N. (2003). Learner-centered psychology and its significance.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3(1), 67-82. 

  32. Lea, S. T., Stephenson, D. & Troy, J. (2003). Higher education students' attitudes to student centered learning: Beyond' educational bulimia'. Studies in Higher Education. 28(3), 321-334. 

  33. Lee, J. Choi, A. (2017). An analysis of 8 science practices included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cusing on the integrated science.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17), 85-111. 

  34. Lee, J., Kim, E. & Kim, D. (2017). Relationship between Key competences and subject competences, and subject competences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revised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of science in 2015. Journal of Curriculum Integration, 11(2), 1-25. 

  35. Lee, S., Jang, Y., Lee, H. & Park, G. (200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fe-skills: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Research Report, RR2003-15-03. 

  36. Lim, Y. & Jang, S. (2015). A study on the redu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Focusing on the common curriculum.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5(12), 437-460. 

  37. McComb, B. L. & Whisler, J. S. (1997). The learnercetered classroom and school. SF: Jossey-Bass Publishers. 

  38.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Elementary science 6-1 teacher's guide. Seoul: Kumsung. 

  39. Ministry of Education (2015a). Science and curriculum.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40. Ministry of Education (2015b). Elementary school 5-6 grade science 6-1 teacher's guide. Seoul: Bisang. 

  41. Park, J. (2017). An analysis on the changes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inquiry activities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The Korean Society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6(1), 43-60. 

  42. Park, S. (2017). Learning of new biomimetic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Science education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Korean Society for School Science, 11(3), 408-419. 

  43. Putnam, J. (1997). Cooperative learning in diverse classrooms. Upper Saddle River, NJ: Merrill, Prentice-Hall. 

  44. Roseth, C. J., Johnson, D. W. & Johnson, R. T. (2008). Promoting early adolescents' achievement and peer relationships: The effects of cooperative, competitive, and individualistic goal structures. Psychological Bulletin, 134(2), 223-246. 

  45. Shin, S., Ha, M. & Lee, J. (2018). A comparative study of teacher and student's perception on 'interesting science class'.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22), 451-476. 

  46. Sonh, J. & Na, J. (2015). Directions and issues of 2015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nd their implications to science classroom culture. The Korean Society for School Science, 9(2), 72-84. 

  47. Slavin, R. (1995). Cooperative learning: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48. Yoon, D., Ko, E. & Choi, A. (2018). Identifying and applying components of five scientific core competencies in the 2015 science curriculum.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24), 1301-131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