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속가능성의 관점에서 본 커뮤니티디자인 평가지표 개발
Development of Community Design Evaluation Index from the Perspective of Sustainabilit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5, 2022년, pp.110 - 124  

경리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  윤지영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커뮤니티디자인 평가요소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우수 커뮤니티디자인 사례를 분석하여 지속가능한 커뮤니티디자인을 위한 고려사항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헌조사를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에 대한 개념 및 핵심항목, 커뮤니티디자인의 개념과 구성요소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했다. 또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커뮤니티디자인의 평가요소와의 연계성 분석을 통해 사회·경제적, 물리·환경적, 역사·문화적 차원에서 지속가능한 커뮤니티디자인을 위한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평가지표는 사회적 차원에서의 사회성, 참여성, 경제성, 물리·환경적 차원에서의 환경성, 접근성, 맥락성, 역사·문화적 차원에서의 지역성, 정체성, 예술성 등 3개 평가항목과 9개 평가요소를 포함한다. 개발된 평가지표와 세부내용 설명은 전문가 검증을 통해 신뢰성과 효용성을 확보한다. 설문조사를 통해 탐색적 인자 분석과 전문가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분석 결과 안정도(stability)와 Cronbach'α 계수의 검증을 통과하였고,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고려한 커뮤니티 디자인 평가지표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커뮤니티디자인 향상 및 개선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mmunity design evaluation factors for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and to suggest considerations for sustainable community design by analyzing excellent community design cases. Through literature review, previous studies on the concept and core items of su...

주제어

표/그림 (15)

참고문헌 (19)

  1. 하미경(Ha, Mi-Kyoung),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도심 지하공간의 커뮤니티 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제22권, 제3호, 2013. 

  2. 김상욱, "집단적 소통에 의한 통합형 커뮤니티디자인의 지속가능성," 한국디자인포럼, 제53권, pp.353-362, 2016. 

  3. 임영환, 지속가능한 건축의 계획기준 연구,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박사학위논문, p.14, 2012. 

  4.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도시계획론, 보성각, p.649, 2006. 

  5. 지속가능발전포절, 지속가능발전의 국제적 배경, http://ncsd.go.kr/background?content1 

  6. 김호석, 송영일, 김이진, 임영신, 환경평가와 지속가능발전지표 연계운용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p.87, 2007. 

  7. C. Kettner, P. Radlberger, S. P. Schleicher, and G. Thenius, Potentials for Extending National Income Accounts by Integrating Sustainable Development Indicators, Wegener Center for Climate and Global. University of Graz, 2006. 

  8. 하성균, 김재익, 전명진, 문태훈, 지속가능한 도시론, 보성각, p.72, 2007. 

  9. 이제선, "지속가능한 도심개발을 위한 고찰," 한국토지공사, 제19권, 제2호, p.53, 2006. 

  10. 신동철, 산업유산의 재생을 통한 공공영역 구축방식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1. 페르디난트 퇴니에스(Ferdinand Tonnies, 斐迪南.?尼斯), 공동체 사회: 순수 사회학의 기본 개념(共同??社?:?粹社??的基本?念), 林?? (?), 北京大?出版社, 2010. 

  12. 장헌일, 커뮤니티 행정을 위한 주민자치센터 운영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7, 2004. 

  13. 서애영, 지역커뮤니티를 통한 한.중 문화예술교류의 반전적 방안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19, 2015. 

  14. 김연금, 이영범, "커뮤니티디자인의 전개와 논의의 특징," 한국조경학회지, 제40권, 제3호, p.23, 2002. 

  15. 사토마사루, 김명환 역, 커뮤니티 디자인 어떻게 할것인가, 서울 디자인로커스, p.13, pp.16-17, 2005. 

  16. 김연금, 이영범, "커뮤니티 디자인의 전개와 논의의 특징," 한국조경학회, 제40권, 제3호, p.24, 2012. 

  17. 이진숙, 류지선, 김한나, 이희원, "실내 거주공간의 적용 색채에 따른 감성어휘의 평가분석," 한국색채 학회 논문집, 제28권, 제2호, pp.71-82, 2014 

  18. 이종성, 연구방법 21-파이 방법, 서울: 교육과학사, p.11, 2001. 

  19. 김남걸, Likert 척도 개발을 위한 문항선정 방법 의 비교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5,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