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선 관련 인터넷 뉴스의 댓글과 대댓글 간 비교를 통해 살펴본 온라인 토론의 진행 가능성
The Comparison Between the Comments and the Replies on Korean President Election News: using Topic Modeling 원문보기

지능정보연구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v.28 no.2, 2022년, pp.33 - 55  

이정 (한국외국어대학교 GBT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온라인에서 토론이 제대로 이루어지는 지 알아보기 위해 대선 관련 인터넷 뉴스에 달린 댓글과 대댓글을 비교 분석하였다. 하버마스의 공론장 이론에 따르면 토론이란 참여자들이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통해 숙의 과정을 거쳐 사회적 합의를 이루고자 하는 노력이다. 만약 인터넷 공간에서 댓글을 작성하는 행위를 통해 서로 상호작용과 토론이 일어난다면 댓글과 대댓글은 토론의 진행과정에 따라 구조적, 내용적 측면에서 일정한 차이를 보일 것이다. 본 연구는 그 차이를 가설로 설정하고 검증을 위해 다음뉴스 포털에서 4만여개의 댓글을 수집하였다. 관련 뉴스의 주제는 대통령 선거로 하였는데 이는 전국민이 관심을 갖고 있고 따라서 댓글이 활발하게 달리는 주제이기 때문이다. t검정과 토픽모델링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가설은 모두 채택되었으며 댓글을 통해 온라인 토론이 진행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온라인 댓글이 사람들의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서로 연결성 없는 무질서한 발언들이 아니라,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사회적 합의를 향해 나아가는 숙의과정이라는 것을 이론적, 실질적으로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comments and the replies on internet news related to the presidential election in order to verify whether online discussions are properly conducted. According to Habermas' public sphere theory, discussions is an effort among participants to reach a social consensus through th...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48)

  1. 김동윤, 홍하은. (2015). 정치참여 수단으로서 댓글의 역할과 의미, 그리고 한계: 비선거 시기 온라인 및 SNS 뉴스 댓글에 대한 인식과 활동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2(1), 51-86. 

  2. 김소담, 양성병. (2015). 온라인 뉴스 사이트에서의 일반댓글과 소셜댓글의 비교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4), 391-406. 

  3. 김수아, 이예슬. (2017). 온라인 커뮤니티와 남성약자 서사 구축:'여성혐오'및 성차별 사건 관련 게시판 토론의 담론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33(3), 67-107. 

  4. 김지룡, 한은경. (2019). 기업평판과 수익성에 관한 연구 온라인 뉴스와 뉴스댓글을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7(9), 399-406. 

  5. 김진우, 조혜인, 이봉규. (2018). 온라인 뉴스 베스트 댓글의 특성 분석.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19(8), 1489-1497. 

  6. 나은영, 차유리. (2012). 인터넷 집단극화를 결정하는 요인들: 공론장 익명성과 네트워크 군중성 및 개인적, 문화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6(1), 103-121. 

  7. 박근영, 최윤정. (2014). 온라인 공론장에서 토론이 합의와 대립에 이르게 하는 요인 분석: 개방형 공론장과 커뮤니티 공론장의 토론숙의성 비교. 한국언론학보, 58(1), 39-69. 

  8. 박기훈, 김영민. (2019). e-Learning 기반 온라인 토론학습의 학습실재감 차이 분석. e-비즈니스연구, 20(5), 95-109. 

  9. 박원경. (2021). '0.03%가 30% 차지'...포털 뉴스 댓글은 여론인가?, SBS,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153616&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 

  10. 박창호. (2012). 인터넷 댓글과 폭력성. 사회이론, 42, 93-122. 

  11. 양승찬, 이미나, 신지희. (2019). 뉴스미디어 이용과 인터넷토론효능감이 선거 과정 온라인 정치 참여에 미치는 영향: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이론, 15(1), 57-90. 

  12. 엄기홍, 김대식. (2021). 온라인 공간의 정치 양극화는 심화될 것인가?: 선거 기사 댓글에 대한 경험적 분석. 정보화정책, 28(4), 19-35. 

  13. 여등승, 임규건. (2015). 온라인 매체와 댓글에 따른 영화 구전의도 및 관람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 IT 서비스학회지, 14(2), 177-193. 

  14. 연진욱, 부현경, 김남규. (2022). 다이내믹 토픽 모델링의 의미적 시각화 방법론. 지능정보연구, 28(1), 131-154. 

  15. 오은하. (2016). 인터넷 기사문의 댓글에 대한 내용 분석: 독자들의 비판적 읽기 양상 탐색을 중심으로. 독서연구, 39. 123-158. 

  16. 유소연, 임규건. (2022).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COVID-19 학술 연구 기반 연구 주제 분류에 관한 연구. 지능정보연구, 28(1), 155-174. 

  17. 이동훈. (2010). 온라인 개인 미디어 공론장의 구조적 재개념화 연구: 소셜 미디어화 현상을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18(3), 110-145. 

  18. 이란. (2021). 토론식 수업에서 온라인 토론의 참여적 차원과 상호작용 차원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1(9), 63-74. 

  19. 이민철, 김혜진. (2018).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적용한 뉴스 데이터에서의 사건 네트워크 구축. 지능정보연구, 24(1), 183-203. 

  20. 이애리. (2019). 온라인 토론 커뮤니티에서의 익명성과 개인 및 집단 정체성, 토론의 질 간의 영향 연구. Information Systems Review, 21(3), 63-86. 

  21. 이은주. (2011). 지각된 편향인가 편향된 지각인가? 댓글의 내용, 여론에 대한 인식과 이슈 관여도에 따른 기사의 논조 지각. 한국언론학보, 55(3), 179-198. 

  22. 정희준, 김무진. (2013). 스포츠와 온라인 커뮤니티: 온라인 공론장으로서의 가능성 모색.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26(3), 127-147. 

  23. 하버마스, J. (1990). 공론장의 구조변동: 부르조아 사회의 한 범주에 관한 연구. 서울: 나남. 

  24. 한혜경. (2010). 온라인 공론장과 오프라인의 대인/대중매체 공론장의 연계성: 트위터 이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0(3), 618-661. 

  25. Arun, R., Suresh, V., Veni Madhavan, C. E., & Murthy, N. (2010, June). On finding the natural number of topics with latent dirichlet allocation: Some observations. In Pacific-Asia conference on knowledge discovery and data mining (pp. 391-402). Springer, Berlin, Heidelberg. 

  26. Cao, J., Xia, T., Li, J., Zhang, Y., & Tang, S. (2009). A density-based method for adaptive LDA model selection. Neurocomputing, 72(7-9), 1775-1781. 

  27. Dahlberg, L. (2001). The Internet and democratic discourse: Exploring the prospects of online deliberative forums extending the public sphere. Information, communication & society, 4(4), 615-633. 

  28. Dahlberg, L. (2007). Rethinking the fragmentation of the cyberpublic: from consensus to contestation. New media & society, 9(5), 827-847. 

  29. Dahlgren, P. (2005). The Internet, public spheres, and political communication: Dispersion and deliberation. Political communication, 22(2), 147-162. 

  30. Fishkin, J. S. (2011). Deliberative democracy and constitutions. Social philosophy and policy, 28(1), 242-260. 

  31. Griffiths, T., & Steyvers, M. (2004). Finding scientific topic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vol, 101, p9. 

  32. Hsueh, M., Yogeeswaran, K., & Malinen, S. (2015). "Leave your comment below": Can biased online comments influence our own prejudicial attitudes and behaviors?.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41(4), 557-576. 

  33. Lee, S. H., & Kim, H. W. (2015). Why people post benevolent and malicious comments online. Communications of the ACM, 58(11), 74-79. 

  34. Iosifidis, P. (2011). The public sphere, social networks and public service media. Information, Communication & Society, 14(5), 619-637. 

  35. Mihaylov, T., Georgiev, G., & Nakov, P. (2015, July). Finding opinion manipulation trolls in news community forums. In Proceedings of the nineteenth conference on computational natural language learning (pp. 310-314). 

  36. Mohamad, M., & Shaharuddin, S. (2014). Online forum discussion to promote sense of learning community among the group members. International Education Studies, 7(13), 61-74. 

  37. Onyema, E. M., Deborah, E. C., Alsayed, A. O., Noorulhasan, Q., & Sanober, S. (2019). Online discussion forum as a tool for interactive learning and communi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Recent Technology and Engineering, 8(4), 4852-4859. 

  38. Rideout, J. C. (2008). Storytelling, narrative rationality, and legal persuasion. Legal Writing: J. Legal Writing Inst., 14, 53. 

  39. Rosas, O. V., & Serrano-Puche, J. (2018). News media and the emotional public sphere-Introdu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12, 9. 

  40. Ruiz, C., Domingo, D., Mico, J. L., Diaz-Noci, J., Meso, K., & Masip, P. (2011). Public sphere 2.0? The democratic qualities of citizen debates in online newspaper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press/politics, 16(4), 463-487. 

  41. Shao, P., & Wang, Y. (2017). How does social media change Chinese political culture? The formation of fragmentized public sphere. Telematics and Informatics, 34(3), 694-704. 

  42. Smith, A. (2006). Cognitive empathy and emotional empathy in human behavior and evolution. The Psychological Record, 56(1), 3-21. 

  43. Suh, K. S., Lee, S., Suh, E. K., Lee, H., & Lee, J. (2018). Online comment moderation policies for deliberative discussion-seed comments and identifiability.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19(3), 2. 

  44. Tenenboim, O., & Cohen, A. A. (2015). What prompts users to click and comment: A longitudinal study of online news. Journalism, 16(2), 198-217. 

  45. Vayansky, I., & Kumar, S. A. (2020). A review of topic modeling methods. Information Systems, 94, 101582. 

  46. Zamith, R., & Lewis, S. C. (2014). From public spaces to public sphere: Rethinking systems for reader comments on online news sites. Digital journalism, 2(4), 558-574. 

  47. Ziegele, M., Breiner, T., & Quiring, O. (2014). What creates interactivity in online news discussions? An exploratory analysis of discussion factors in user comments on news items. Journal of Communication, 64(6), 1111-1138. 

  48. De Zuniga, H. G. (2015). European public sphere| toward a European public sphere? The promise and perils of modern democracy in the age of digital and social media-Introdu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9, 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