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 보자기를 활용한 가변적 패션디자인 연구
A study on transformable fashion design utilizing Korean Bojagi 원문보기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v.24 no.2, 2022년, pp.11 - 26  

윤세나 (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곽태기 (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Hallyu wave based on K-pop and K-culture has increased the global interest in Korean culture. Therefore, to satisfy consumer demand, there is an attempt to develop a variable fashion design using traditional Korean culture. Transformable fashion design causes changes in form and meaning accordin...

주제어

참고문헌 (20)

  1. 강은미. (2020). 전통보자기에 나타난 꼬집기 기법을 응용한 가방디자인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권일현. (2009). 컨버전스 디자인의 한국적 패러다임 연구, 한국 보자기의 기능과 순환성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권일현, 최법진. (2010). 한국민화에 나타난 보자기의 기능과 탈근대적 의미.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2, 15-24. 

  4. 김옥광. (2007). 옛 보자기의 멋. 서울: 진디지털닷컴. 

  5. 김정수. (2008). 조선후기 민화에 나타난 미적특성의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지영, 김문진. (2000). 규방공예. 서울: 컬쳐라인. 

  7. 김현희. (2004). 보자기. 서울: 한국문화보호재단. 

  8. 김혜은, 정성혜. (2019). 전통 보자기를 활용한 스카프 디자인 개발-조각보와 자수보를 중심으로.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9(4), 107-123. 

  9. 박명희, 심상보. (2016). 한복의 형태적 특성 분석에 따른 현대 패션디자인 개발. 한국복식학회, 66(2), 134-147. 

  10. 박진숙. (2020). 날마다 보자기 포장. 서울: 재승출판. 

  11. 변영희, 채금석. (2008). 동양 복식의 현대적 재해석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뷰티학회지, 6(3), 169-180. 

  12. 안별, 금기숙. (2016). K-Fahion의 현황과 전망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7(1), 350-362. 

  13. 이어령. (2015). (이어령의)보자기 인문학. 서울: 마로니에북스. 

  14. 이영미, 이상은. (2003). 한국의 이미지를 이용한 의류상품개발 모델의 연구-청바지와 티셔츠를 중심으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5(3), 49-61. 

  15. 이영재. (2007). 자수문양의 상징성 분석 -19세기 보자기와 병풍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학술발표논문집, 0, 253-256. 

  16. 전영화. (2011). 한국 보자기의 전통미에 관한 고찰 -조선중기 보자기와 조각보를 중심으로. 한국조형교육학회, 39, 211-242. 

  17. 최정연. (2010). 2000년대 섬유 패션에 표현된 오리엔탈리즘에 관한 연구-인도, 중국, 일본의 에스닉 텍스타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6(4), 543-556. 

  18. 테무렝. (2021). 공간 효율성을 위한 가변형 가구제안. 한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허동화, 김미영. (2013). (세상을 감싸는) 우리 보자기. 서울: 마루벌. 

  20. 허동화. (2001). 이렇게 고운 색 The World of Colorful Delight. 서울: 한국자수 박물관 출판부.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