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재난안전분야의 제조업 고용 공간패턴 분석
Analyzing Spatial Patterns of Manufacturing Employment of the Disaster Safety Sector in South Korea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8 no.2 = no.56, 2022년, pp.351 - 363  

김근영 (Department of Smart City Planning, Kangnam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본 연구는 우리나라 재난안전분야의 제조업 고용 클러스터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 LISA(Local Indicator of Spatial Association)분석기법이 2019년 한국표준산업분류와 재난안전산업 특수 분류기준에 의해 구축된 229개 지자체의 고용 데이터에 적용되었다. LISA기법은 해당 산업들의 공간 클러스터와 고용의 공간적 종속성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세 가지 분석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우리나라 재난안전산업의 고용은 전체 제조업의 약 6%를 점유하며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둘째, 재난안전 산업의 고용 클러스터는 수도권 서부지역에 입지하고 있다. 셋째, 산업재해 방지 산업안전용품 제조업은 중화학 공업과 산업단지가 있는 부산, 울산, 경남창원, 김해 지역을 중심으로 클러스터를 형성한다. 결론: 해당 지역들을 재난안전산업의 제조업 클러스터로 육성하는 투자와 유성정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는 우리나라 재난안전산업에 형성되어 있는 제조업 클러스터들의 산업발전과 고용육성 정책을 개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manufacturing employment clusters of the disaster safety sector in South Korea. Method: The LISA(Local Indicator of Spatial Association) analysis method is applied to the employment data of 229 local governments categorized by the 2019 Korean Standa...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재난안전산업 중 재난안전분야 제조업을 대상으로 고용의 공간 클러스터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LISA(Local Indicator of Spatial Association)분석기법이 2019년 한국표준산업분류와 재난안전산업 특수 분류기준에 의해 구축된 229개 지자체의 고용 데이터에 적용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재난안전산업 중 제조업 고용의 공간패턴을 분석하였다. 데이터의 공간패턴을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Anselin, L. (1995). "Local indicator of spatial association-LISA." Geographical Analysis, Vol. 27, pp. 93-115. 

  2. Hildebrand, G., Mace, Jr. A. (1950). "The Employment Multiplier in an Expanding Industrial Market: Los Angeles County, 1940-47."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Vol. 32, pp. 241-249. 

  3. Kim, H.J., Kim, G.Y. (2019). "Determinants of employment growth of key industries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Vol. 32, No. 2, pp. 113-128. 

  4. Krugman, P., Venables, A.J. (1995). "Globalization and the inequality of nations."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Vol. 110, No. 4, pp. 857-880. 

  5. Lim, S.J., Park, D.K. (2016).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direction for the Korean standard industrial special classification of disaster and safety indust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6, No. 5, pp. 71-83. 

  6. Lim, S.J., Park, D.K. (2018a). "Weight analysis of the disaster-safety industry in the sections of the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8, No. 5, pp. 63-72. 

  7. Lim, S.J., Park, D.K. (2018b). "Quantitative regional assessments of disaster-safety industry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ir implica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8, No. 3, pp. 137-149. 

  8. Lim, S.J., Park, D.K. (2019). "Status analyses of disaster safety industry and characteristics of enterprises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special industrial classification."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Basic Research Phase, NDMI-ER-2019-03-01. 

  9.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21a). Statistical Yearbook of Administration and Safety 2020. 

  10.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21b). Statistical Information Report of the Disaster Safety Industry Survey 2020. 

  11. Ryu, S.Y., Choi, K.H., Yoon, S.M. (2013). "Effects of industrial diversification on the performance of the regional economy." Journal of Regional Studies, Vol. 21, No. 1, pp. 73-9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