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좋은 죽음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about Good Death in Korea 원문보기

산업융합연구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v.20 no.6, 2022년, pp.105 - 115  

김현심 (경운대학교 간호학과) ,  이순영 (경운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좋은 죽음에 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종합하여 향후 좋은 죽음에 관한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2011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학술지에 발표된 좋은 죽음 관련 66편의 논문을 분석준거틀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좋은 죽음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년도는 2019년(18.2%)이었다. 연구설계별 분석에서는 양적 연구가 52편(78.8%)으로 가장 많았고, 그 중 조사연구가 36편(54.5%)으로 나타났다. 연구분야에서는 간호학 논문이 47편(71.2%)으로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다학제간 연구는 3편(4.5%)이었다. 좋은 죽음 연구대상자는 주로 지역사회 노인과 간호대학생으로 이 각각 13편(19.7%)으로 나타났고, 환자 대상연구는 4편(6.1%)으로 나타났다. 연구도구는 좋은 죽음 인식도구가 38편(73.1%)에서 사용되었다. 주요 연구 변인은 좋은 죽음 인식과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간호였고, 가족지지는 매개변인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좋은 죽음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다학제 연구와 다양하게 좋은 죽음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 개발을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ttempted to suggest a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on good death by analyzing and synthesizing research trends on good death. For this purpose, 66 articles related to good death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in Korea from 2011 to 2021 were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frame of re...

주제어

참고문헌 (25)

  1. S. Y. Kim. (2021). Death Causes Statistics in 2020. Statistics Korea, Retrived from : https://kostat.go.kr/portal/korea/kor_nw/1/6/2/index.board 

  2. D. H. Byeon & M. H. Park. (2017). Effects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on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about the meaning of life, death and well-dying and hospic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5), 169-176. DOI : 10.5762/KAIS.2017.18.5.169 

  3. G. Kim & Y. H. Park. (2020). Concept analysis of well-dying in Korean society. Journal of Joint Health, 27(3), 229-237. DOI : 10.5953/JMJH.2020.27.3.229 

  4. H. Song. (2018). The change of Korean death culture and its meaning: A focus on the post-2000s period. Journal of Religion and Culture, 31, 161-185. 

  5. S. J. Kim et al. (2018). Guide to a good death. Seoul: Life and History Research Institute. 

  6. K. H. Chung, K. R. Kim, J. H. Seo, J. E. Yoo, S. H. Yoo & H. J. Kim. (2018). Ensuring dignity in old age with improved quality of death.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7. C. E. Schwartz, K. M. Mazor, H. J. Rogers, Y. Ma & G. W. Reed. (2003). Validation of a new measure of concept of a good death. Preventive and Behavioral Publications, 6(4), 575-584. 

  8. K. Jo. (2011).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dignified dying instrument for Korean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3), 313-324. 

  9. E. A. Meier, J. V. Gallegos, L. P. M, Thomas, C. A. Depp, S. A. Irwin & D. V. Jeste. (2016). Defining a good death (successful dying): Literature review and a call for research and public dialogue.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4(4), 261-271. DOI : 10.1016/j.jagp.2016.01.135 

  10. D. Min & E. Cho. (2017). Concept analysis of good death in the Korean community.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19(1), 28-38. DOI : 10.17079/jkgn.2017.19.1.28 

  11. Y. Han. (2016). Confucian understanding of death in th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the concept of life and death, the ghost, sacrifice.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87, 131-159. DOI : 10.17299/tsep.00.87.201608.131 

  12. M. Kim. (2015). Thanatonic perspective on 'good death'. Journal of Humanities Studies, 100, 103-122. 

  13. A. Krikorian, C. Maldonado & T. Pastrana. (2020). Patient's perspectives on the notion of a good death: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59(1), 152-164. DOI : 10.1016/j.jpainsymman.2019.07.033 

  14. G. Y. Kim, S. J. Kim & Y. A. Yang. (2020). A study on the trends of welldying in Korea: Based on research for the last five years. Journal of Korea Aging Friendly Industry Asociation, 12(1), 29-36. DOI : 10.34264/jkafa.2020.12.1.29 

  15. B. Cho. (2021).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domestic research trends: from 2010 to 2020.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1(12), 539-549. DOI : 10.22251/jlcci.2021.21.12.539 

  16. Y. Seongok, K. Min & Y. L. (2016). Multicultural efficacy: A systematic review of literature on multicultral educa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2), 847-876. 

  17. Y. E. Lee & E. J. Choi. (2011). Trends in research on hospice care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4(3), 152-162. 

  18. J. W. Park et al. (2015). Nursing Research. Paju : Soomoonsa. 

  19. Y. Kim. (2011). The relationship among participation in exercise and sports, health oriented behavior and well-dying of the elderly in the home. The Korean of Physical Education, 50(3), 87-106. 

  20. J. W. Back, S. N. Kim, S. O. Choi & J. S. Ryu. (2016).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and what constitutes a good death of the citizenry of Busa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10(3), 85-97. DOI : 10.12811.kshsm.2016.10.3.085 

  21. H. N. Lim, S. H. Lee & K. H. Kim. (2019). Correlation between the components of dying with dignity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5), 137-144. DOI : 10.5762/KAIS.2019.20.5.137 

  22. S. H. Lee & K. Chung. (2019). A study of perceptions among middle-aged and older Koreans about dying well: focusing on typolog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9(2), 305-323. DOI : 10.31888/JKGS.2019.39.2.305 

  23. C. H. Lee, S. Y. Ahn, Y. H. Kim & K. H. Kim, (2019). Convergence research on relationships among inhibiting factors of dying well.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8), 37-44. DOI : 10.15207/JKCS.2019.10.8.037 

  24. M. Myashita, T. Morita, K. Hirai, Y. Shima & Y. Uchitomi. (2008). Good death inventory: a measure for evaluating good death from the breaved family member's perspective.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35(5), 468-498. DOI : 10.1016/j.painsymman.2007.07.009 

  25. J. C. Munn et al. (2007). Measuring the quality of dying in long-term care,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5(9), 1371-1379. DOI : 10.1111/j.1532-5415.2007.01293.x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