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하철 역사 내부 상업공간 활성화 방향
Direction for the Revitalization of Commercial Space in the Subway Station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6, 2022년, pp.652 - 665  

조영혜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지역개발경영학과) ,  이명훈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지역개발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역사 내부 상업공간은 역별 활성화 정도 차이가 심화되어져 가고 있다. 본 연구는 역사 내부 상업공간은 공적 관리가 필요하다는 전제하에 역사 내부 상업공간의 활성화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HP 기법을 통해 활성화 지표의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활성화 지표의 중요도를 적용하여 서울 260개 역을 대상으로 역별 활성화 순위와 지역별, 지표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생활권, 자치구별 활성화 정도의 차이가 크며, 활성화에 영향이 큰 요인으로는 유동인구와 승하차 인원임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fference found in the degree of activating commercial space in subway stations is getting bigger and bigger. With an assumption that commercial space in stations demands public management, this study is aimed to figure out factors that influence the activation of commercial space in stations. To a...

주제어

표/그림 (24)

참고문헌 (36)

  1. 김수연, TOD계획 요소를 고려한 역세권의 밀도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2. 조영혜, "지하철역과 연계된 시설이 역사 내부 상업공간 임대료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 22권, 제1호, pp.261-273, 2022. 

  3. 이남규, "지하철역과 쇼핑센터의 연계 공간 구성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3권, 2호, pp,159-167, 2004. 

  4. 신예경, "서울 역사 북부 구내 상업공간의 변형과 수용," 대한건축학회, 제27권, 제11호, pp.11-20, 2011. 

  5.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도시계획론, 보성각, 1992. 

  6. 김혜란, 이혜주, "AHP분석을 통한 공공공간의 공공성 제고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0호, pp.511-522, 2013. 

  7. 이경미, 지속 가능한 도시개발 지표의 중요도 평가 및 사례 비교 연구, 목원대학교, 산업정보언론대학원, 부동산 학과, 석사학위논문, 2013. 

  8. 김선길, 도시철도 상가개발사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9. 정보공개포털(https://www.open.go.kr). 

  10. 장재민, 이경철, 김태형, "지하철 역사 내 임대시설 적정 면적 및 임대료 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관한 연구," 한국철도학회논문집, 제19권, 제3호, pp.380-387, 2016. 

  11. 김용래, 수도권 전철 역세권 상업시설의 매출액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12. 이상민, 소매업 입지요인과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3. 이다예, 구형수, 박정은, "지역밀착형 생활SOC의 전략적 공급.활용방안 연구," 국토정책 Brief, 국토연구원, 제670호, pp.1-8, 2020. 

  14. 조희은, 남지현, "생활SOC의 범위 및 시설의 유형별.지역별 특성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20권, 제5호, pp.33-52, 2019. 

  15. 조진우, "생활 SOC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과제," 한국토지공법학회, 토지공법연구, 제90집, pp.174-198, 2020. 

  16. 유향미, 소매점들의 지하철역 접근성에 대한 경제적 가치,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17. 김용래, 백성준, "철도역 쇼핑센터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입지요인에 관한 연구," 도시정책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pp.1-11, 2016. 

  18. 김진수, 지하 공간내의 지하도 상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부동산.유통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9. 서덕인, 지하도상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0. 홍성효, 임준홍, "지하상가 임대료, 매출액, 고객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 제29권, 제4호, pp.183-198, 2017. 

  21. 이달님, 지하상가 임대료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22. 최열, 김종경, "지하상가 환경이 임대료 수준 평가에 미치는 영향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46권, 제3호, pp.269-279, 2011. 

  23. 형선미, 서울시 지하철역 구내 상가 임대료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24. 김종중, 재래시장 활성화 방안 비교분석,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25. 정철, 대형할인점의 매출액에 미치는 결정요인 분석, 건국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6. 최희만, 이현석, "복합 쇼핑몰 상가 임대료의 영향요인 분석," 국토연구, 제68호, pp.191-205, 2011. 

  27. 진민찬, 상가임대료 가격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8. 김우경, 오피스빌딩 내 상업시설의 임대료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9. W. C. Wedley, "Ambiguous Criteria Weights in AHP: Consequences and Solutions," Decision Sciences, Vol.20, pp.462-475, 1988. 

  30. 송호창, 테크노파크의 기업지원성과 평가지표 개발,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31. 이정석, 정승영, "도시자연공원구역 지정을 위한 정량적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학회, 제47권, 제3호, pp.5-19, 2012 

  32. 통계청, https://kssc.kostat.go.kr 

  33. 코레일 홈페이지, http://info.korail.com 

  34. 한상미, 지속가능한 도시개발 및 관리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35. 서울시 홈페이지, https://www.seoul.go.kr 

  36. 조진우, "도시계획법상 생활권계획 도입을 위한 법적과제," 동국대학교 비교법문화연구원, 제20권, 제2호, pp.253-285, 20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