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 IT기업의 건축에 내포된 지역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ocality Implied in the Architecture of Jeju IT Companies 원문보기

산업융합연구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v.20 no.7, 2022년, pp.73 - 78  

김형준 (제주대학교 건축학부)

초록

본 논문은 건축의 지역성을 주제로 제주지역 건축에서 나타나는 지역성에 대한 연구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일련의 연구 중 마지막 단계의 연구논문으로서 '해석'과 '현상'의 범주에서 드러나는 지역성 외에 다른 것이 없는가를 검증하는 논문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다섯 개의 제주 IT기업의 건축물을 대상으로 지역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제주의 지역성이라는 측면에서 건축에 반영된 요소는 상당히 미흡했다. 이는 IT기업의 건축이라는 점에서 기업이미지가 중요하다는 점이 크게 작용한 결과로 볼 수 있다. 그럼에도 IT 건축에서 보이는 제주 특성을 반영한 요소를 정리하면, 건축개념으로 사용된 바람, 오름이며, 외부마감으로 사용된 제주석이다. 결론적으로 바람, 오름, 제주석이라는 지역적 특성이 IT건축에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 특성들은 해석적 지역성과 현상적 지역성의 범주 안에 있음도 알 수 있었다. 곧 제주건축의 지역성은 해석적, 현상적 범주 내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is a study on locality in architecture in Jeju with the theme of locality of architecture. This paper, as the last research paper in this series of studies, is a paper that verifies whether there is anything other than the locality revealed in the categories of 'hermeneutic' and 'phenomen...

주제어

참고문헌 (10)

  1. H. J. Kim. (2016). A Study on the Realization of Locality about Itami Jun's Architecture in Jeju.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etute of Korea, 18(2), 29-36. 

  2. H. J. Kim. (2016). A Study on the Realization of Locality about Ando Tadao Architecture in Jeju.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8(6), 13-20. 

  3. H. J. Kim. (2018). A Study on the Realization Method of Locality about Jeju Contemporary Architectur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3), 46-51. DOI : 10.5762/KAIS.2018.19.3.46 

  4. J. I. Kim & H. J. Kim. (2021). A Study on the Cafe Architectur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Jeju.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11(6), 107-112. DOI : 10.22156/CS4SMB.2021.11.06.107 

  5. S. Y. Yoo. (2006). Report for Daum Global Media Center Project. Architect, 8, 64-65. 

  6. Y. K. Kim. (2012). Daum Space dot One: an Office Space with a Horizontal Organizational Culture with Jeju. Monthly Design, 11, 121-128. 

  7. G. Yang. (2014). The Essence of Jeju Architecture DNA flowing in My Body. Jigan, Autumn(3), 28. 

  8. H. J. Kim. (2014). The existence and difference of Hermeneutics. Jigan, Spring(1), 64-65. 

  9. H. J. Kim & S. H. Lee. (2020). A Study on the Locality of Jeju Cultural Architecture.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etute of Korea, 22(3), 55-61. 

  10. S. Y. Yoo. (2012). A Study on Transformation of Office Space.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etute of Korea, 28(8), 3-10.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