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결건조, 상온 건조, 볶음 후 상온 건조가 한라봉(Citrus sphaerocarpa Tanka nom. nud.) 과피차의 향기 성분과 당도 및 플라보노이드,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reeze Drying, Room-temperature Drying, and Room-temperature Drying after Roasting on Volatile Compounds Sugar Content, Flavonoi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allabong (Citrus sphaerocarpa Tanka nom. nud.) Peel Tea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5 no.4, 2022년, pp.455 - 463  

김민경 (전남대학교 원예학과) ,  권민주 (전남대학교 원예생명공학과) ,  구강모 (전남대학교 원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라봉의 부산물인 과피를 차의 재료로 활용하기 위해 동결건조, 상온 건조, 볶음 후 상온 건조의 세 가지 건조방법이 한라봉 과피의 생리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색도는 동결건조한 한라봉 과피의 명도(L*)가 유의하게 높았고 황색도(b*), 색상 각(h°)과 채도(C*)는 볶음 후 상온 건조가 유의하게 낮았다. 가용성 고형분은 세 처리구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향기 성분인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90~97%를 차지하는 d-limonene은 볶음 후 상온 건조에서 유의하게 높게 검출되었다. 동결건조는 다른 건조처리보다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함량이 낮았는데, 이는 동결건조과정에서 향기성분의 손실이 일어났기 때문이며 동결건조기 내부에 응축된 얼음에서 한라봉 과피와 동일한 향기성분이 검출되었다.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항산화능 모두 세 처리구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수용성 일차대사 산물의 대사체 변화를 PCA 분석 결과 건조 처리 별로 95% 수준에서 차별화된 군집화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이를 통해 처리 간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볶음 후 상온 건조 가공처리가 한라봉 과피차 전처리에 적절한 가공 방법이라고 여겨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freeze-drying (FD), room-temperature drying (RD), and room-temperature drying after roasting (RDAR) on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sugar content, flavonoi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allabong peel tea were tested.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llect a basic informa...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24)

  1. Abd Rahman, N.F., R. Shamsudin, A. Ismail, N.N.A.K. Shah and J. Varith. 2018. Effects of drying methods on total 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the pomelo (Citrus grandis (L.) Osbeck) peels. Innov. Food Sci. Emerg. Technol. 50:217-225. 

  2. Ahn, M.S., M.S. Seo and H.J. Kim. 2007. A study on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citrus unshju peel extracts. J. Korean Soc. Food Cult. 22(4):454-461. 

  3. Chen, Y., J. Wu, Y. Xu, M. Fu and G. Xiao. 2014. Effect of second cooling on the chemical components of essential oils from orange peel (Citrus sinensis). J. Agr. Food Chem. 62(35):8786-8790. 

  4. Davis, W. 1947. Determination of flavanones in citrus fruits. Anal. Chem. 19(7):476-478. 

  5. Eun, J.B., Y.M. Jung and G.J. Woo. 1996. Identification and determination of dietary fibers and flavonoids in pulp and peel of korean tangerine (Citrus aurantium var.). Korean J. Food Sci. Technol. 28(2):371-377. 

  6. Falk Filipsson, A., J. Bard, S. Karlsson and W.H. Organization. 1998. Limonene.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Organization. 

  7. Farahmandfar, R., B. Tirgarian, B. Dehghan and A. Nemati. 2020. Comparison of different drying methods on bitter orange (Citrus aurantium L.) peel waste: changes in physical (density and color) and essential oil (yield, composition,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of powders. J. Food Meas. Charact. 14(2):862-875. 

  8. Fisher, K. and C. Phillips. 2008. Potential antimicrobial uses of essential oils in food: is citrus the answer? Trends Food Sci. Technol. 19(3):156-164. 

  9. Jang, M.J., H..J. Ha, S.R. Yoon, J.E. Noh and J.H. Kwon. 2006. Prediction of optimal leaching conditions for green t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6):747-753. 

  10. Kim, H.S., S.H. Lee and J.S. Koh. 2006.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allabong tangor (Citrus kiyomi × ponkan) cultivated with heating. Korean J. Food Preserv. 13(5):611-615. 

  11. Kim, Y.J., M.S. Ahn, S.Y. Lee, P.M. Park, H.R. An and P.H. Park. 2022. Fragrance pattern and volatile components according to floral organs in Cymbidium. Korean J. Plant Res. 35(2):362-371. 

  12. Ko, Y.K. 2021. 2020 Citrus Distribution Analysis Data Collectio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Citrus Marketing and Shipping Association, Jeju, Korea. 

  13. Kolb, B. and L.S. Ettre. 2006. Static Headspace-gas Chromatography: Theory and Practice. John Wiley & Sons, NJ (USA). 

  14. Korea Agro-Fisheries and Food Trade Corporation. 2019. 2018 processed food segmentation market status: Tea market. Korea Agro-Fisheries and Food Trade, Naju, Korea. 

  15. Krokida, M. and Z. Maroulis. 2000. Quality changes during drying of food materials. Drying Technol. Agr. Food Sci. 4(2):61-68. 

  16. Lee, C.W., M.B. Kim, Y.J. Oh and S.B. Lim. 2014.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itrus hallabong granul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4):537-543. 

  17. Lee, G. and S. Yoon. 2003. Monitoring of quality properties with drying of citrus. Korean J. Food Preserv. 10:470-475. 

  18. Lee, J.S. 2015. Korean tea packaging design development research. Asso. Int. Tea Cult. 30:1-20 (in Korean). 

  19. Min, S., H. Park and H. Oh. 2002.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hot water extracts of Korean dried tangerine peel and development of beverage by using it.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1):51-56. 

  20. Park, H.S., H.J. Lee, K.S. Youn, D.S. Kim, H.S. Kim, Y.G. Lee, J.H. Seong and H.S. Chung. 2017. Quality comparison of hot-water leachate from teabags containing Citrus junos peels dried using different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24(8):1088-1093. 

  21. Song, H.J. and K.M. Ku. 2021. Optimization of allylisothiocyanate sanitizing concentration for inactivation of salmonella typhimurium on lettuce based on its phenotypic and metabolome changes. Food Chem. 364:130438. 

  22. Svoboda, K. and R. Greenaway. 2003. Lemon scented plants. Int. J. Aromatherapy 13(1):23-32. 

  23. Yang, D.H., S.H. Choi and S.K. Hyun. 2021. Volatile fragrance ingredient of blended tea with added citrus peel. J. Korea Tea 27:49-59 (in Korean). 

  24. Zhuang, X., Y. Lu and G. Yang. 1992. Extraction and determination of flavonoid in ginkgo. Chinese Herbal Medic. 23:122-12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