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영유아기 자녀가 있는 아버지의 전통적인 성역할태도와 아버지가 인식한 어머니 문지기 역할의 관계: 아버지 우울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s of Fathers with Young Children on Perceived Maternal Gatekeeping Roles: The Mediating Effect of Paternal Depression 원문보기

한국심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문화 및 사회문제, v.28 no.1, 2022년, pp.23 - 41  

이슬기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유성경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방지원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기 자녀가 있는 아버지의 전통적인 성역할태도와 아버지가 인식한 어머니 문지기 역할의 관계에서 아버지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만 7세 이하 자녀가 있는 기혼 남성 36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Mplus 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한 결과, 아버지의 성역할태도가 전통적일수록 아버지의 우울이 증가하였고, 어머니 문닫기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였으며, 어머니 문열기에 대한 인식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버지의 우울 수준이 높을수록 어머니 문닫기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였고, 어머니 문열기에 대한 인식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스트래핑으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한 결과, 아버지의 전통적인 성역할태도와 아버지가 인식한 어머니 문지기 역할의 관계를 아버지의 우울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공동양육 관계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아버지의 심리적 특성을 확인함으로써 어머니 문지기 역할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aternal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s and the perceived maternal gatekeeping roles of fathers with young children.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by 366 married fathers who raises at least one c...

Keyword

표/그림 (5)

참고문헌 (62)

  1. 강수경, 김해미, 정미라 (2019). 아버지가 인식한 어머니 문지기 역할이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동양육과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유아교육연구, 39(4), 175-194. 

  2. 권정혜, 임승락 (1998). 우울증상이 부부간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7(2), 17-31. 

  3. 김수영 (2016). 구조방정식 모형의 기본과 확장: MPLUS 예제와 함께. 서울: 학지사. 

  4. 김수진, 김수현 (1997). 우울한 대학생의 대인 관계 패턴과 내적갈등.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9(1), 409-441. 

  5. 김은정, 권정혜 (1998). 우울증상과 관련된 대인관계 특성: 성인기 애착관계형성을 중심으로.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7(1), 139-153. 

  6. 김지현, 최희철 (2007). 남성 성역할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존중감의 매개효과: 도구성과 성역할 갈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2), 145-160. 

  7. 박선주, 강민주 (2017). 맞벌이 가정 아버지의 성역할태도와 어머니 문지기 역할이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육아정책연구, 11(3), 87-111. 

  8. 박수애, 조은경 (2002). 남성 성역할이 우리나라 남성들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8(2), 77-103. 

  9. 서울대학교 국제이주와 포용사회센터 (2021). 코로나19와 돌봄경제: 지속가능한 돌봄사회로의 전환. https://ctms.or.kr/activities/2021-care-policy-conference 에서 2021, 10, 23 인출. 

  10. 송리라, 이민아 (2012). 성역할 태도와 우울: 성별.연령집단별 비교분석. 한국인구학, 35(3), 87-116. 

  11. 양선희 (2018). 어머니의 문지기역할과 아버지의 양육참여 및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2. 여종일 (2015). 아버지의 우울증상 및 가족관계가 유아의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연구, 31(3), 333-351. 

  13. 우성범 (2017). 한국 남성규범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유승현, 권혁주, 김선희, 이정아, 선우성, 김영식, 김병수, 오한진, 김철민, 최희정, 황희진, 옥선화. (2016). 배우자의 우울증이 가족기능과 가족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6(1), 11-19. 

  15. 유희숙, 이유미 (2017).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과 결혼만족도 및 완벽성향 간의 관계.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1(3), 283-307. 

  16. 이방실, 강수경, 정미라 (2017). 아버지의 공감능력, 어머니 문지기역할, 부부갈등과 아버지의 양육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21(6), 437-457. 

  17. 이슬기, 유성경 (2021). 남성적 규범과 아버지 신념에 따른 30, 40 대 아버지의 잠재 프로파일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3(1), 561-580. 

  18. 이주리, 송지원 (2020). 아버지의 성역할가치감과 우울이 일-양육 갈등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41(3), 1-12. 

  19. 장진영, 김진희, 김영희 (2011). 아버지의 우울과 부부관계 및 자녀양육방식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42(2), 79-107. 

  20. 제연화, 심은정 (2015). 2/30 대 남성의 성역할 갈등과 우울의 관계: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7(4), 931-952. 

  21. 조설애, 정영숙 (2020). 워킹맘의 일-가족 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남편의 민주적 자녀 양육으로 조절된 결혼 만족도의 매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6(4), 435-456. 

  22. 조숙인 (2010). 어머니의 취업 및 문지기 역할이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3. 조윤진 (2017).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부의 부모역할신념과 어머니 문지기역할, 부부 공동양육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4. 조윤진, 임인혜 (2016). 한국판 어머니 문지기 역할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육아지원연구, 11(2), 33-57. 

  25. 최진영 (2020). 성역할갈등이 20 대 남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총, 23, 67-111. 

  26. 통계청 (2020). 2019년 생활시간조사 결과. https://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bmoderead&aSeq384161에서 2021, 10, 21 인출. 

  27. 통계청 (2020). 2019년 육아휴직통계 결과. https://www.kostat.go.kr/portal/korea/kor_nw/1/3/6/index.board?bmoderead&bSeq&aSeq386975&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earchInfo&sTargettitle&sTxt 에서 2021, 10, 23 인출. 

  28. 하문선, & 김지현. (2016). 남성 성역할갈등의 잠재집단과 남성성, 여성성, 우울, 자아존중감의 관계. 상담학연구, 17(5), 47-64. 

  29. Addis, M. E. (2008). Gender and depression in men.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15(3), 153-168. 

  30. Addis, M. E., Reigeluth, C. S., & Schwab, J. R. (2016). Social norms, social construction, and the psychology of men and masculinity. In Y. J. Wong & S. R. Wester (Eds.), APA handbook of men and masculinities (pp. 81-104). Washington, DC, U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1. Good, G. E., & Wood, P. K. (1995). Male gender role conflict, depression, and help seeking: Do college men face double jeopardy?.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74(1), 70-75. 

  32. Allen, S. M., & Hawkins, A. J. (1999). Maternal gatekeeping: Mothers' beliefs and behaviors that inhibit greater father involvement in family work.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1(1), 199-212. 

  33. Austin, W. G., Pruett, M. K., Kirkpatrick, H. D., Flens, J. R., & Gould, J. W. (2013). Parental gatekeeping and child custody/child access evaluation: Part I: Conceptual framework, research, and application. Family Court Review, 51(3), 485-501. 

  34. Barnett, R. C., & Hyde, J. S. (2001). Women, men, work, and family: An expansionist theory. American psychologist, 56(10), 781-796. 

  35. Beck, A. T., & Bredemeier, K. (2016). A unified model of depression: Integrating clinical, cognitive, biological, and evolutionary perspectives. Clinical Psychological Science, 4(4), 596-619. 

  36. Bronte-Tinkew, J., Moore, K. A., Matthews, G., & Carrano, J. (2007). Symptoms of major depression in a sample of fathers of infants: Sociodemographic correlates and links to father involvement. Journal of family Issues, 28(1), 61-99. 

  37. Cabrera, N. J., Scott, M., Fagan, J., Steward Streng, N., & Chien, N. (2012). Coparenting and children's school readiness: A mediational model. Family process, 51(3), 307-324. 

  38. Eisler, R. M., & Skidmore, J. R. (1987). Masculine gender role stress: Scale development and component factors in the appraisal of stressful situations. Behavior modification, 11(2), 123-136. 

  39. Feinberg, M. E. (2003). The internal structure and ecological context of coparenting: A framework for research and intervention. Parenting: Science and Practice, 3(2), 95-131. 

  40. Feng, H., Xiu, L., & Ren, Y. (2019). The Effect of Sex and Gender Role Orientation on Coping among Americans and Chinese: Does" Secure" Matter?. China Media Research, 15(3), 18-32. 

  41. Fincham, F. D., Beach, S. R., Harold, G. T., & Osborne, L. N. (1997). Marital satisfaction and depression: Different causal relationships for men and women?. Psychological Science, 8(5), 351-356. 

  42. Isacco, A., Garfield, C. F., & Rogers, T. E. (2010). Correlates of coparental support among married and nonmarried fathers. Psychology of Men & Masculinity, 11(4), 262-278. 

  43. Ju, J., Liang, L., & Bian, Y. (2021). The coparenting relationship in Chinese families: The role of parental neuroticism and depressive symptoms.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38(9), 2587-2608. 

  44. Kane, P., & Garber, J. (2004). The relations among depression in fathers, children's psychopathology, and father-child conflict: A meta-analysis. Clinical psychology review, 24(3), 339-360. 

  45. Kulik, L., & Tsoref, H. (2010). The entrance to the maternal garden: Environmental and personal variables that explain maternal gatekeeping. Journal of Gender Studies, 19(3), 263-277. 

  46. Kuo, P. X., Volling, B. L., & Gonzalez, R. (2017). His, hers, or theirs? Coparenting after the birth of a second child.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31(6), 710-720. 

  47. Mahalik, J. R., & Rochlen, A. B. (2006). Men's likely responses to clinical depression: What are they and do masculinity norms predict them?. Sex Roles, 55, 659-667. 

  48. Olsavsky, A. L., Yan, J., Schoppe Sullivan, S. J., & Kamp Dush, C. M. (2020). New fathers' perceptions of dyadic adjustment: The roles of maternal gatekeeping and coparenting closeness. Family process, 59(2), 571-585. 

  49. O'Neil, J. M. (1981). Patterns of gender role conflict and strain: Sexism and fear of femininity in men's lives. The personnel and guidance journal, 60(4), 203-210. 

  50. Petts, R. J., Shafer, K. M., & Essig, L. (2018). Does Adherence to Masculine Norms Shape Fathering Behavior?.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80(3), 704-720. 

  51. Pleck, J. H. (1995). The gender role strain paradigm: An update. In R. F. Levant & W. S. Pollack (Eds.), A new psychology of men (pp. 11-32). New York, NY, US: Basic Books. 

  52. Pleck, J. H. (1998). American fathering in historical perspective. In K. V. Hansen & A. I. Garey (Eds), Families in the US: Kinship and domestic politics, (pp. 351-361). Philadelphia: Temple University Press. 

  53. Price, E. C., Gregg, J. J., Smith, M. D., & Fiske, A. (2018). Masculine traits and depressive symptoms in older and younger men and women. American journal of men's health, 12(1), 19-29. 

  54. Pruett, M. K., Pruett, K. D., Cowan, C. P., & Cowan, P. A. (2017). Enhancing paternal engagement in a coparenting paradigm. Child Development Perspectives, 11(4), 245-250. 

  55. Schoppe-Sullivan, S. J., Altenburger, L. E., Lee, M. A., Bower, D. J., & Kamp Dush, C. M. (2015). Who are the gatekeepers? Predictors of maternal gatekeeping. Parenting, 15(3), 166-186. 

  56. Schoppe-Sullivan, S. J., & Fagan, J. (2020). The evolution of fathering research in the 21st century: Persistent challenges, new direction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82(1), 175-197. 

  57. Shafer, K., Fielding, B., & Holmes, E. K. (2019). Depression, masculine norm adherence, and fathering behavior. Journal of family issues, 40(1), 48-84. 

  58. Thomas, C. R., & Holmes, E. K. (2020). Are father depression and masculinity associated with father perceptions of maternal gatekeeping?.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34(4), 490-495. 

  59. Trahan, M. H., & Shafer, K. (2019). Paternal self-efficacy: A parenting resilience factor for fathers with depression. Social Work Research, 43(2), 101-114. 

  60. Williams, D. T. (2018). Parental depression and cooperative coparenting: A longitudinal and dyadic approach. Family relations, 67(2), 253-269. 

  61. Wong, Y. J., Ho, M. H. R., Wang, S. Y., & Miller, I. S. (2017). Meta-analys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ormity to masculine norms and mental health-related outcom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64(1), 80-93. 

  62. Zvara, B. J., Roger Mills Koonce, W., Cox, M., & Family Life Project Key Contributors. (2016). Intimate partner violence, maternal gatekeeping, and child conduct problems. Family relations, 65(5), 647-660.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