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아교사의 능동적 직업선택동기가 영아와의 상호작용 질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곤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Active Motivation for Choosing a Profession on the Quality of Interaction with Infants and Toddlers: Focusing on the Moderating Role of Emotional Dysregulation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8 no.5, 2022년, pp.1 - 17  

양수진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  신나리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active motivation for choosing a profession on the quality of their interaction with infants and toddlers, an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ir emotional dysregulation.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58)

  1. 곽희경 (2011).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자아정체성과 교사효능감, 교사-유아상호작용의 관계.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구영휴 (2020). 보육교사의 교직선택 동기와 직무태도와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기철, 신애선 (2016). 영아교사의 전문성, 민감성, 행복감과 영아-교사 상호작용의 관계 및 영향력. 한국보육학회지, 16(2), 57-82. https://dx.doi.org/10.21213/kjcec.2016.16.2.57 

  4. 김승훈 (2021.8.25). 한국보육진흥원, 보육교직원 위한 '온라인 힐링 프로그램' 운영. 부산제일경제, http://www.busan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255402에서 2021년 10월 7일 인출 

  5. 김영숙, 신나리 (2013). 영아의 어머니 및 교사에 대한 애착 안정성이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5), 229-249. https://doi.org/10.14698/jkcce.2013.9.5.229 

  6. 김영은, 이희선 (2016). 아동학대예방을 위한 예비유아교사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육아정책연구, 10(1), 49-72. 

  7. 김지연 (2017). 만 2세반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질이 영아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김지은 (2006). 교직몰입과 교사의 효과성.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김춘경, 조민규 (2017). 예비영유아교사의 정서조절곤란이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인애착과 공감능력의 조절효과. 아동교육, 26(2), 23-40. https://doi.org/10.17643/kjce.2017.26.2.02 

  10. 나미경 (2012).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인관계능력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남궁미경 (2011). 유아교사의 교직 선택 동기가 교직 몰입 및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박은희, 김정화 (2020). 어린이집 교사의 공감 능력, 정서조절 능력이 교사-영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1), 523-540. https://doi.org/10.22251/jlcci.2020.20.21.523 

  13. 변예지, 안선희 (2018). 유치원 교사의 교직헌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구: 원장의 감성리더십, 동료교사의 정서적지지, 교직선택동기를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5(4), 263-284. http://dx.doi.org/10.22155/JFECE.25.4.263.284 

  14. 보건복지부 (2017. 12). 제3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2018-2022). http://www.mohw.go.kr/react/gm/sgm0701vw.jsp?PAR_MENU_ID13&MENU_ID1304081001&CONT_SEQ358238에서 2021년 8월 10일 인출 

  15. 서미정, 이경님 (2017). 영아교사의 정서지능, 교직선택동기, 셀프리더십 및 보육헌신간의 관계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2(4), 145-166. https://doi.org/10.20437/KOAECE22-4-07 

  16. 신나리, 오정순 (2015). 위계적 선형모형을 이용한 유아 인성 발달 영향 요인 연구: 교사 정서적 지원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2), 59-85.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2.059 

  17. 안경자, 장선경, 박영신, 손윤희, 김진희 (2013). 교사와 영.유아 상호작용 현장이야기. 공동체. 

  18. 안문실 (2013). 영아의 사회, 정서적 행동과 교사-영아 상호작용행동과의 관계. 열린부모교육연구, 5(1), 55-72. 

  19. 양소영 (2014). 교사-영아 상호작용과 어머니-영아 상호작용의 질이 영아-교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오수진, 장영숙 (2011). 공립유치원 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직무만족도 및 직무능력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3), 1-24. 

  21. 오숙자, 박은주 (2015).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직선택동기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복지연구, 13(2), 79-97. 

  22. 유지연, 황혜정 (2015). 영아교사의 민감성, 효능감, 영아와의 상호작용이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3), 1-23.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3.001 

  23. 윤경혜 (2001). 초등학교 여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직무수행 수준의 실태 분석.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윤혜성 (2008). 교사의 역할수행에 있어서 인격적 상호작용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교육의 이론과 실천, 13(2), 149-175. 

  25. 이경례, 문혁준 (2016). 영아교사의 성인애착, 정서조절능력,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100, 1-23. 

  26. 이선미, 이승미 (2013). 영아교사의 정서노동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8(6), 153-180. 

  27. 이선영(2006). 교사의 상호작용 행동과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 간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이순아, 박은영 (2020). 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교직헌신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교육문화연구, 26(5), 1001-1019. https://doi.org/10.24159/joec.2020.26.5.1001 

  29. 이승미, 이승연 (2009). 만 2세 영아반 교사로서 맺는 다양한 관계에서 경험하는 정서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6(2), 297-322. 

  30. 이지영, 성지현 (2020). 영아반 보육교사의 애착히스토리가 상호작용 질에 미치는 영향: 직업선택 동기의 조절효과. 아동학회지, 41(2), 57-71. https://doi.org/10.572 3/kjcs.2020.41.2.57 

  31. 이현주 (2015). 보육교사효능감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5(4), 93-112. 

  32. 정미라, 김세경, 김민정 (2016). 유치원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과 교직전문성 인식의 순차적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3), 137-157. https://doi.org/10.14698/jkcce.2016.12.03.137 

  33. 정미애, 유경훈 (2021). 보육교사의 정서조절능력이 교사효능감 및 영아-교사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2(9), 324-332. https://doi.org/10.5762/KAIS.2021.22.9.324 

  34. 조용래 (2007). 정서조절곤란의 평가: 한국판 척도의 심리측정적 속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4), 1015-1038. https://doi.org/10.15842/kjcp.2007.26.4.012 

  35. 조해연 (2014). 어린이집 2세 학급의 물리적 환경, 보육과정, 교사 상호작용의 질이 영아의 놀이 행동과 사회정서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6. 조혜진, 김수연 (2012). 영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7(5), 189-208. 

  37. 주현정, 신혜원 (2018). 교사의 전문성 인식, 교수 의도 행동에 따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한국보육학회지, 18(2), 1-15. https://doi.org/10.21213/kjcec.2018.18.2.1 

  38. 최주연 (2006). 초등교사의 교직 선택 동기와 교직 헌신도의 관계. 춘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 한국보육진흥원 (2020. 12). 보육교사 2급 자격 취득 교과목 표준교과개요. https://chrd.childcare.go.kr/ctis/community/data/DataSl.jsp?flagSl&BBSGB641&BID82135&offset0&programIdT0001PG00001620&BVIEWGB2에서 2021년 9월 20일 인출 

  40. Arnett, J. (1989). Caregivers in day-care centers: Does training matter?.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0(4), 541-552. https://doi.org/10.1016/0193-3973(89)90026-9 

  41. Barnow, S., Stopsack, M., Grabe, H. J., Meinke, C., Spitzer, C., Kronmul er, K., & Sieswerda, S. (2009). Interpersonal evaluation bias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7(5), 359-365. https://doi.org/10.1016 /j.brat.2009.02.003 

  42. Cassibba, R., Van Ijzendoorn, M. H., & D'Odorico, L. (2000). Attachment and play in child care centre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ttachment Q-sort for mothers and professional caregivers in Italy.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4(2), 241-255. https://doi.org/10.1080/016502500383377 

  43. Colwell, N., Gordon, R. A., Fujimoto, K., Kaestner, R., & Korenman, S. (2013). New evidence on the validity of the Arnett Caregiver Interaction Scale: Results from the early childhood longitudinal study-birth cohort.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8(2), 218-233. https://doi.org/10.1016/j.ecresq.2012.12.004 

  44. Deci, E. L., & Ryan, R. M. (1985).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Plenum Press. 

  45. Gratz, K. L., & Roemer, L. (2004).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Development, factor structure,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26(1), 41-54. https://doi.org/10.1023/B:JOBA.0000007455.08539.94 

  46. Greenberg, L. S. (2002). Emotion-focused therapy: Coaching clients to work through their feeling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7. Hargreaves, A. (1998). The emotional practice of teach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4(8), 835-854. https://doi.org/10.1016/S0742-051X(98)00025-0 

  48. Hayes, A. F. (2018). Partial, conditional, and moderated moderated mediation: Quantification, inference, and interpretation. Communication monographs, 85(1), 4-40. https://doi.org/10.1080/03637751.2017.1352100 

  49. Howes, C., Matheson, C. C., & Hamilton, C. E. (1994). Maternal, teacher, and child care history correlates of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peers. Child Development, 65(1), 264-273. https://doi.org/10.1111/j.1467-8624.1994.tb00749.x 

  50. Howes, C., Phillips, D. A., & Whitebook, M. (1992). Threshold of quality: Implications for the 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in center-based child care. Child Development, 63(2), 449-460. https://doi.org/10.1111/j.1467-8624.1992.tb01639.x 

  51. Howes, C., & Smith, E. W. (1995). Relations among child care quality, teacher behavior, children's play activities, emotional security, and cognitive activity in child car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0(4), 381-404. https://doi.org/10.1016/0885-2006(95)90013-6 

  52. Huberman, M. (1993). The lives of teachers. Teachers College Press. 

  53. Intrator, S. M. (2006). Beginning teachers and the emotional drama of the classroom.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7(3), 232-239. https://doi.org/10.1177/0022487105285890 

  54. Jamison, K. R., Cabell, S. Q., LoCasale-Crouch, J., Hamre, B. K., & Pianta, R. C. (2014). CLASS-Infant: An observational measure for assessing teacher-infant interactions in center-based child care.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25(4), 553-572. https://doi.org/10.1080/10409289.2013.822239 

  55. Kostelnik, M. J., Soderman, A. K., Whiren, A., & Rupiper, M. L. (2017). 영유아의 사회정서발달과 교육(박경자, 김송이, 신나리, 권연희, 김지현 옮김). 교문사. (원판 2009) 

  56. Mitchell-Copeland, J. , Denham, S. A., & DeMulder, E. K. (1997). Q-sort assessment of child-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s and social competence in the preschool.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8(1), 27-39. https://doi.org/10.1207/s15566935eed0801_3 

  57. Pianta, R. C., La Paro, K. M., & Hamre, B. K. (2008). Classroom assessment scoring system manual, Pre-K. Paul H. Brookes 

  58. Zembylas, M. (2003). Interrogating "teacher identity": Emotion, resistance, and self formation. Educational Theory, 53(1), 107-127. https://doi.org/10.1111/j.1741-5446.2003.00107.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