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간호사의 최상의 임종간호 및 웰다잉 관계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al End-of-Life Care and Well Dying of Nurs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8, 2022년, pp.628 - 639  

현우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김미영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환자와 환자 가족에게 최상의 임종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간호사가 인식하는 최상의 임종간호와 웰다잉 간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21명을 대상으로 2021년 4월 28일부터 5월 12일까지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SPSS/WIN 27.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대상자의 최상의 임종간호에 대한 인식의 총 평균은 5점 척도상 4.04±0.82점으로 최상의 임종간호에 전반적으로 '동의한다' 수준을 나타냈다. 웰다잉에 대한 인식의 총 평균은 5점 척도상 3.63±1.14점으로 평화롭게 죽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연령에 따른 최상의 임종간호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t=-.97, p=.013) 30대 간호사군이 20대 간호사군에 비해 최상의 임종간호에 더 높은 동의수준을 나타냈다. 최상의 임종간호와 웰다잉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경력이 낮은 젊은 간호사들의 임종간호 인식을 높이기 위한 교육이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ptimal end-of-life care and well-dying perceived by nurses to provide the optimal end-of-life care fo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This subjects of the study were 121 nurses working in the ward or intensive care unit of a g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간호사가 임종 단계의 환자와 환자 가족에게 최상의 임종간호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간호사가 어떤 간호를 최상의 임종간호라고 인식하고 있는지, 웰다잉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웰다잉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최상의 임종간호 및 웰다잉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그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최상의 임종간호와 웰다잉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그 관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최상의 임종간호 및 웰다잉에 대한 인식 및 두 변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간호사는 최상의 임종간호에 대한 인식이 전반적으로 동의하는 수준을 나타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http://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8016 

  2. 하유리, 암환자와 가족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3. J. Chindaprasirt, N. Wongtirawit, P. Limpawattana, V. Srinonprasert, M. Manjavong, V. Chotmongkol, S. Pairojkul and K Sawanyawisuth, "Perception of a "good death" in Thai patients with cancer and their relatives," Heliyon, Vol.5, No.7, e02067, 2019. 

  4. E. Gisquet, S. Julliard, and B. Geoffroy-Perez, "Do social factors affect the place of death? Analysis of home versus institutional death over 20 years," Journal of Public Health, Vol.38, No.4, e472-e479, 2016. 

  5. H. S. Lee, C. SteLLe, and D. MaSon, "Awareness and attitudes toward advance care planning: Do culture and generation matter?," Virginia Social Science Journal, Vol.54, pp.5-19, 2020. 

  6. 최지원, 이용주, "한국과 미국의 생애말기케어 시스템 비교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7권, 제9호, pp.301-310, 2019. 

  7.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 ndex.board?bmoderead&aSeq380865 

  8. A. J. He and V. F. Y. Tang, "Integration of health services for the elderly in Asia: A scoping review of Hong Kong, Singapore, Malaysia, Indonesia," Health Policy, Vol.125, No.3, pp.351-362, 2021. 

  9. A. Waller, R. Sanson-Fisher, B. R. Nair, and T. Evans, "Preferences for end-of-life care and decision making among older and seriously ill inpatients: A cross-sectional study,"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Vol.59, No.2, pp.187-196, 2020. 

  10. D. Min and E. Cho, "Concept analysis of good death in the Korean communit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19, No.1, pp.28-38, 2017. 

  11. P. F. Chuah, M. L. Lim, S. L. Choo, G. Y. Woo, H. K. To, K. Y. Lau, and S. B. Lian, "A qualitative study on oncology nurses' experiences of providing palliative care in the acute care setting," Proceedings of Singapore Healthcare, Vol.26, No.1, pp.17-25, 2017. 

  12. C. Kenneth, "The oldest old: The newest focus in end-of-life care?," Swiss Medical Weekly, Vol.150, w20206, 2020. 

  13. J. H. Hong, J. H. Kwon, I. K. Kim, J. H. Ko, Y. J. Kang, and H. K. Kim, "Adopting advance directives reinforces patient participation in end-of-life care discussion,"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Vol.48, No.2, pp.753-758, 2016. 

  14. A. A. Pratama and S. Wardaningsih, "Nurses' experiences in caring for dying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donesian Journal of Medicine and Health, Vol.11, No.3, pp.284-289, 2020. 

  15. A. Waller, S. Chan, C. W. H. Chan, M. C. M. Chow, M. Kim, S. J. Kang, C. Oldmeadow, and R. Sanson-Fisher, "Perceptions of optimal end-of-life care in hospitals: A cross-sectional study of nurses in three location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76, No.11, pp.3014-3025, 2020. 

  16. 박효진, 강은희, "간호사의 임종간호 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중환자간호학회지, 제13권, 제1호, pp.76-86, 2020. 

  17. C. Karbasi, E. Pacheco, C. Bull, A. Evanson, and W. Chaboyer, "Registered nurses' provision of end-of-life care to hospitalised adults: A mixed studies review," Nurse Education Today, Vol.71, pp.60-74, 2018. 

  18. 강지혜, 이윤미, 이현주. "중환자실 간호사의 좋은 죽음과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인식이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환자간호학회지, 제12권, 제2호, pp.39-49, 2019. 

  19. 황정옥, 김상희, "중환자실 간호사의 죽음 인식, 임종 간호 태도, 정신건강이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임상간호연구, 제25권, 제3호, pp.323-332, 2019. 

  20. A. Carvajal, E. Haraldsdottir, T. Kroll, B. McCormack, B. Errasti-Ibarrondo, and P. Larkin, "Barriers and facilitators perceived by registered nurses to providing person-centred care at the end of life. A scoping review," International Practice Development Journal, Vol.9, No.2, pp.1-22, 2019. 

  21. E. O. D. Hussin, L. P. Wong, M. C. Chong, and P. Subramanian, "Factors associated with nurses' perceptions about quality of end-of-life care,"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Vol.65, No.2, pp.200-208, 2018. 

  22. H. S. Kim, E. K. Choi, T. H. Kim, H. Y. Yun, E. J. Kim, J. J. Hong, J. A. Hong, G. K. Kim, and S. H. Kim, "Difficulties in end-of-life care and educational needs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A mixed methods study,"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ol.22, No.2, pp.87-99, 2019. 

  23. D. Meziane, M. P. Ramirez-Garcia, and M. L. Fortin, "A reflective practice intervention to act on the moral distress of nurses providing end-of-life care on acute care units," International Journal of Palliative Nursing, Vol.24, No.9, pp.444-451, 2018. 

  24. L. Lief, D. A. Berlin, R. C. Maciejewski, L. Westman, A. Su, Z. R. Cooper, D. J. Ouyang, G Epping, H Derry, D Russell, E Gentzler, P. K. Maciejewski, and H. G. Prigerson, "Dying patient and family contributions to nurse distress in the ICU," Annals of the American Thoracic Society, Vol.15, No.12, pp.1459-1464, 2018. 

  25. R. S. Zadeh, P. Eshelman, J. Setla, L. Kennedy, E. Hon and A. Basara, "Environmental design for end-of-life care: An integrative review o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managing symptoms for patients in institutional settings,"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Vol.55, No.3, pp.1018-1034, 2018. 

  26. B. V. Danielsen, A. M. Sand, J. H. Rosland, and O. Forland, "Experiences and challenges of home care nurses and general practitioners in home-based palliative care-a qualitative study," BMC Palliative Care, Vol.17, No.1, pp.1-13, 2018. 

  27. A. King, M. Botti, D. P. McKenzie, J. Barrett and M. J. Bloomer, "End-of-life care and intensive care unit clinician involvement in a private acute care hospital: A retrospective descriptive medical record audit," Australian Critical Care, Vol.34, No.5, pp.452-459, 2020. 

  28. N. Teruya, Y. Sunagawa, H. Sunagawa and T. Toyosato, "Visiting nurses' perspectives on practices to achieve end-of-life cancer patients' wishes for death at home: A qualitative study," Asia-Pacific Journal of Oncology Nursing, Vol.6, No.4, pp.389-396, 2019. 

  29. M. J. Kim, M. S. Lee, C. H. Lee, H. J. Hwang, M. S. Shim, S. H. Lee, and K. H. Kim, "A study on health care providers' awareness of well-dying by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Pure and Applied Mathematics, Vol.118, No.19, pp.899-915, 2018. 

  30. C. E. Schwartz, K. Mazor, J. Rogers, Y. Ma, and G. Reed, "Validation of a new measure of concept of a good death,"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Vol.6, No.4, pp.575-584, 2003. 

  31. 변비조, 노인요양종사자의 죽음과 웰다잉 인식이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32. R. J. Anderson, S. Bloch, M. Armstrong, P. C. Stone, and J. T. S. Low, "Communication between healthcare professionals and relatives of patients approaching the end-of-life: A systematic review of qualitative evidence," Palliative Medicine, Vol.33, No.8, pp.926-941, 2019. 

  33. A. M. N. Adams, T. Mannix, and A. Harrington, "Nurses' communication with families in the intensive care unit - A literature review," Nursing in Critical Care, Vol.22, No.2, pp.70-80, 2017. 

  34. C. W. H. Chan, M. C. M. Chow, S. Chan, R. Sanson-Fisher, A. Waller, T. T. K. Lai, and C. W. M. Kwan, "Nurses' perceptions of and barriers to the optimal end-of-life care in hospitals: A cross-sectional stud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29, No.7-8, pp.1209-1219, 2020. 

  35. 김선희, 요양병원 간호사가 인식한 좋은 죽음과 임종 간호태도 및 수행,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36. Z. Demjen, E. Semino, and V. Koller, "Metaphors for 'good' and 'bad' deaths. A health professional view," Metaphor and the Social World, Vol.6, No.1, pp.1-19, 2016. 

  37. S. S. Noh, C. K. Lee, and Y. H. Sung, "Predictors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for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ol.9, No.2, pp.61-70, 2016. 

  38. J. Nilsson, C. Blomberg, G. Holgersson, T. Carlsson, M. Bergqvist, and S. Bergstrom, "Endof- life care: Where do cancer patients want to die? A systematic review," Asia-Pacific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13, No.6, pp.356-364, 2017. 

  39. L. Kastbom, A. Milberg, and M. Karlsson, "A good death from the perspective of palliative cancer patients," Supportive Care in Cancer, Vol.25, No.3, pp.933-939, 2017. 

  40. M. Lam, H. R. Lam, A. Agarwal, H. Lam, R. Chow, S. Chow, S. Chan, P. Zaki, and E. Chow, "Barriers to home death for Canadian canc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Pain Management, Vol.10, No.1, pp.107-115, 2017. 

  41. C. Kjellstadli, L. Han, H. G. Allore, E. Flo, B. S. Husebo, and S. Hunskaar, "Associations between home deaths and end-of-life nursing care trajectories for community-dwelling people: A population-based registry study,"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Vol.19, No.1, pp.1-9, 2019. 

  42. M. Noome, B. Dijkstra, E. van Leeuwen, and L. C. M. Vloet, "The perspectives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about the current and ideal nursing end-of-life care," Journal of Hospice & Palliative Nursing, Vol.18, No.3, pp.212-218, 2016. 

  43. https://khna.or.kr/home/notice/news.php?bo_tablenews&wr_id11964&page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