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 대학생의 죽음인식과 웰다잉이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ception of Death, Well-Dying, on Terminal Care Attitude among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3, 2017년, pp.63 - 71  

김오숙 (수원대학교 간호학과) ,  임소희 (경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최근 아름다운 죽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을 맞추어 간호 대학생의 죽음인식, 웰다잉임종간호태도를 파악하고,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대상자는 S시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 대학생 3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와 ANOVA,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stepwis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호 대학생의 임종간호태도 정도는 호스피스 교육경험(F=2.53, p=.012), 가까운 주변 지인의 죽음경험(F=3.37, p=.001), 주관적 건강상태(F=5.37, p=.005)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죽음인식은 웰다잉과(r=.23, p<.001), 웰다잉은 임종간호태도(r=.22, p<.001)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임종간호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웰다잉(${\beta}=.19$), 가까운 주변 지인의 죽음경험(${\beta}=.16$)이었다. 따라서 양질의 임종간호태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미래의 간호사인 간호 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긍정적인 사고와 태도가 중요함으로 웰다잉과 죽음인식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중재프로그램 개발과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oday's society interest in beautiful death is ris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death and well-dying-terminal care attitude-of nursing students and determin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attitude on terminal care and beautiful death. Data was collected from 319 baccalaurea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죽음인식, 웰다잉 및 임종간호태도 정도를 파악하고, 임종간호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함으로써 간호 대학생의 임종간호태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의 임종간호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최근 아름다운 죽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을 맞추어 간호 대학생의 죽음인식, 웰다잉과 임종간호태도를 파악하고,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 대학생의 죽음인식과 웰다잉이 임종간호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향후 임종과정에서 환자들을 돌보게 될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죽음인식, 웰다잉, 임종간호 태도 정도를 파악하고, 임종간호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간호 대학생의 임종간호태도의 향상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죽음인식은 무엇이며, 어떠한 문제로 발전할 수 있는가? 죽음인식은 사랑하는 사람의 상실, 가치관 및 삶의 의미상실, 그리고 사회에 대한 역할상실 등 다양하며, 이러한 죽음인식은 사회적 문제로 발전할 수 있다. 올바른 죽음인식은 비탄의 마음을 치유하고 이러한 치유는 먼저 죽음인식이 기초가 되어있어야 원활하게 이루어 질수 있다[4].
임종을 간호하는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가? 임종을 간호하는 간호사들은 환자에게 아무것도 해줄 수 없는 상황에서 무력감을 느끼고, 죽음과 관련된 높은 불안으로 임종에 대한 언급을 회피하거나 죽음을 회피하는 방어기제를 사용하여 임종간호에 소극적이고 부정적인 태도를 보인다[11]. 이러한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죽음의 고통을 겪으며 힘들어하는 환자를 보면서 돌보는 의료인으로서의 한계를 경험하고 환자의 욕구를 해결하지 못해 환자의 삶의 질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에 간호사는 죽음을 막연한 두려움이 아닌 생의 자연스러운 한 단계로 삶과 공존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죽음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긍정적 태도를 가질 때 환자와 가족들을 도와줄 수 있다.
죽음은 무엇인가? 인간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죽음을 향해 나아가는 존재로 죽음은 모든 인간이 필연적으로 맞게 되는 자연적이고 정상적인 삶의 한 과정이다[1]. 죽음을 어떻게 인식하느냐 하는 것과 더불어 죽음의 공포 앞에서 이를 외면하거나 도피하지 않고 자신의 일로 받아들이며 그 의미를 이해하고자 노력하는 것이 성숙한 인간의 태도이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E. B. Hyun, "Effect of death education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7, pp. 4220-4228, 2014. DOI: http://doi.org/10.5762/KAIS.2014.15.7.2440 

  2. Y. S. Moon. Well-dying generation beyond well-being", Health & Mission, vol. 20, pp. 26-31, 2010. 

  3. L. Devich, B. E. Field, R. E. Carlson, "Supportive care for the hopelessly ill", Nursing outlook, vol. 38, no. 3, pp. 140-142. 

  4. B. J. Byun, "The impact of understanding death of workers at elderly are facilites and well-dying on work performance during terminal ca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egu Haany University, Gyuongbuk, 2016. 

  5. M. H. Kim, "Research for christian education about well-dying based on logotherap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2013. 

  6. Y. WhoMio, "Dying in the hospital", Itbook, Seoul, 2011. 

  7. S. O. Choi, S. N. Kim, K. I. Shin, J. J. Lee, "Development of meaning in life scale II",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vol. 35, no. 5, pp. 931-842, 2005. 

  8. S. H. Choi, "Nurses' joys and sorrows of caring for dying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2011. 

  9. S. O. Choi, S. N. Kim, "Inquisition of Meaning in Life for Logotherapy Application in Hospice Nursing",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9, no. 2, pp. 329-339, 2003. 

  10. A. E. Stewart, J. H. Lord, D. L. Mercer, "survey of professionals' training experiences in delivering death notifications", Death studies, vol. 24, no. 7, pp. 611-631. DOI: http://doi.org/10.1080/07481180050132811 

  11. H. J. Cho, E. S. Kim, "The effect of the death education program on the death anxiety and attitudes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patients of nursing student",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ol. 8, no. 2, pp. 163-172, 2005. 

  12. J. G. Kim, S. M. Oh, E. Y. Cheon, J. H. Yoo, "Factors influencing the attitude toward death in college nursing stud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1, pp. 676-683. 2016. DOI: http://doi.org/10.5762/KAIS.2016.17.1.676 

  13. M. R. Yu, "Perception of death in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Chonbuk, 2014. 

  14. K. H. Kim, K. D. Kim, H. S. Byun, B. Y. Chung, "Spiritual well-being, self esteem, and attitude to death among nursing students", Asian Oncology Nursing, vol. 10, no. 1, pp. 1-9, 2010. 

  15. S. N. Kim, H. J. Kim, S. O. Choi, "Effects of a hospice and palliative care education program including meaning in life on attitudes toward end-of-life care and meaning in life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7, no. 3, pp. 454-463, 2011. 

  16. J. J. Myong, W. H. Jun, "Effects of end-of-life care education using self-reflection diary on spirituality, death orientation, and attitudes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patient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Contests Association, vol. 15, no. 12, pp. 294-303. DOI: http://doi.org/10.5392/JKCA.2015.15.12.294 

  17. B. Spika, L. Stout, B. Minton, D. Sizemore, "Death personal faith: A psychometric investigation", Journal for the Scientific Study of Religion, vol. 16, pp. 169-178, 1997. DOI: https://doi.org/10.2307/1385748 

  18. C. E. Schwartz, K. Major, K. Rogers, M. A. Yunshen, G. Reed, "Validation of a new measure of concept of a good death",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vol. 6, no. 4, pp. 575-584, 2007. DOI: https://doi.org/10.1089/109662103768253687 

  19. S. H. Le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erception, self acceptance, well-being oriented behavior, and well-dying behaviors of old people participating in physical activit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2016. 

  20. K. H. M. Frommelt, "The effects of death education on nurses' attitudes toward caring for terminally ill persons and their families", Americ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 vol. 8, no. 5, pp. 37-45, 1991. DOI: https://doi.org/10.1177/104990919100800509 

  21. Y. R. Cha, "A study on the nurses; attitude to death in Korea; centering in university hospital in Jellabuckdo provi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Gyuongbuk, 2006. 

  22. S. N. Kim, "Perceptions of deaths and stress of end-of-life care for intensive care uni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Busan, Busan, 2013. 

  23. K. Lynn, A. D. Carole, "A new place for death with dignity the golden room", Journal of Holistic Nursing, vol. 29, no. 4, pp. 287-291, 2011. DOI: https://doi.org/10.1177/0898010111398662 

  24. M. S. An, K. J. Lee, "Awareness of good death and terminal care attitudes in geriatric",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ol. 17, no. 3, pp. 122-133, 2014. DOI: https://doi.org/10.14475/kjhpc.2014.17.3.122 

  25. C. J. Kim, "Factors influencing perception of good death among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ol. 17, no. 3, pp. 151-160, 2014. DOI: https://doi.org/10.14475/kjhpc.2014.17.3.1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