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폐 범주성 학생을 위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동향 및 중재 특성 고찰
Review of Research Trends on Virtual Reality-Based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Intervention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2, 2017년, pp.623 - 636  

양일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학과) ,  이숙향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학과) ,  서민경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자폐 범주성 장애(ASD) 학생을 위한 증거기반의 실제로서 가상현실 기술의 가능성, 유용성, 적합성이 여러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ASD 학생을 위한 가상현실 기반 중재 관련 연구가 아직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ASD 학생을 위한 가상현실 기반 중재의 활성화를 위해 국외 가상현실 중재 관련 연구를 고찰하고자 1990년부터 2016년까지 ASD 학생(18세 이하)을 대상으로 가상현실 중재를 적용한 국외 실험연구 총 13편을 선정하였다. ASD 학생의 핵심 특징을 고려한 가상현실 기반 중재의 적합성을 논의함과 아울러 선정된 논문의 연구동향(발표연도, 연구 참여자, 실험설계, 독립변인, 종속변인, 연구 결과)과 중재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ASD 학생에 적합한 전략으로 가상현실 중재는 주로 학교에서 다양한 연령대의 학생을 대상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폭넓은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표정 이해, 공감, 공동관심, 사회 맥락 이해 등) 증진에 적용되었으며 아울러 인지적인 능력의 부족으로 인한 문제를 극복하는데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중재 및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방향과 후속 연구 과제를 위해 가상현실 중재의 간학문적 접근, ASD의 특성 및 지원요구를 고려한 지원, 습득된 기술의 일반화 및 유지 방안, 참여자의 문화적 배경을 고려한 접근 필요성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use of virtual reality(VR)-based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has received special attention as evidence-based practices for its feasiblity, practicality, and appropriateness. However, there is little research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R-based intervention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VR 중재를 적용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 따라서 ASD 학생 개인 간의 강점, 약점이 매우 다양하며 각각의 능력에도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대상 학생들 개개인의 특별한 지원 요구를 고려한 개별화된 중재 개발이 필요하다. 선행연구에서 중재는 주로 가상 학교(교실, 운동장, 카페) 환경에서 이루어졌으나 앞으로는 ASD 학생의 개별적인 요구에 따라 가상환경을 가정, 지역사회, 회사로 확장하여 사회성 기술뿐만 아니라 적응기술, 여가 기술, 직업 교육 등 폭넓은 분야로 확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절반 이상의 연구(8편)는 고기능 ASD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VR이란 무엇인가? VR은 컴퓨터를 통해 실제 또는 상상의 환경을 3D 시뮬레이션으로 산출하는 것으로[19] 가상환경(Virtual environment), 가상세계(virtual world), 인공현실 (artificial reality)이라는 용어로 지칭되기도 한다[20]. 즉 VR은 현실 세계처럼 보이고 느껴지는 가공된 환경 이며 사용자의 의식 속에 있는 세계이다.
ASD의 효과적인 중재전략들은 무엇이 있는가? 이와 같이 교육현장에서 ASD 학생이 증가함에 따라 연구에 의해 그 효과가 입증된 증거기반실제의 적용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증거기반실제들은 ASD 의 독특한 특성을 잘 반영한 중재전략들로 ASD의 사회적 의사소통 결함을 고려한 중심축 반응 훈련 (Pivotal response training, PRT) 중재, 사회적 담화(Social narratives, SN) 중재, 반복적 패턴의 행동과 제한적인 흥미를 고려한 대체행동/상반행동/타행동 차별강화 (Differential reinforcement of alternative, incompatible, or other behavior, DRA/I/O), 소거 (Extinction)등이 ASD의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 및 학업, 문제행동 중재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통계자료, 2015. 2016 

  2. C. Wong, S. L. Odom, K. A. Hume, A. W. Cox, A. Fettig, S. Kuncharczyk, M. E. Brock, J. B. Plavnick, V. P. Fleury, and T. R. Schultz, "Evidence-based practices for children, youth, and young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Journal of Autismand Developmental Disorder, Vol.3, No.2, pp.1951-1966, 2015. 

  3. S. L. Odom, B. Boyd, L. Hall, and K. Hume, (2014a). Handbook of Autism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Wiley, 2014. 

  4. J. A. Keintz, M. S. Goodwin, G. R. Hayes, and G. D. Abowd, Interactive technologies for autism, Morgan & Claypool, 2013 

  5. S. Barreto and S. K. Adams, "Digital technology and youth: a developmental approach," The Brown University Child and Adolescent Behavior Letter, Vol.27, No.6, pp.1058-1073, 2011. 

  6. D. Strickland, L. M. Marcus, G. B. Mesibow, and K. Hogan, "Brief report: two case studies using virtual reality as a learning tool for autistic children,"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Vol.26, No.6, pp.651-659, 1996. 

  7. S. Parsons, P. Mitchell, and A. Leonard, "Do adolescents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s adhere to social Conventions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 Autism, Vol.9, No.1, pp.95-117, 2005. 

  8. G. Lorenzo, J. Pomares, and A. Lledo, "Inclusion of immersive virtual learning environments and visual control systems to support the learning of students with Asperger Syndrome," Computer & Education, Vol.62, pp.88-101, 2012. 

  9. S. Wallace, S. Parsons, A. Westbury, K. White, and A. Bailey, "Sense of presence and atypical social judgments in immersive virtual Environments," Autism, Vol.14, No.3, pp.199-213, 2010. 

  10. 조우련, 박은혜, "가상현실 기반 게임 중재가 지체장애 학생의 보치아 던지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지체.중복.건강 장애 연구, 제56권, 제1호, pp.121-140, 2013 

  11. 강민수, 백삼현, "가상현실 댄스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청소년의 신체적응행동과 효과성에 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제26권, 제1호, pp.253-262, 2015. 

  12. 조무신, "가상현실게임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의 눈-손 협응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제5권, 제1호, pp.63-69, 2015. 

  13. 손지영, 염명숙, "자폐성장애 학생을 위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대한 고찰,"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제16권, 제4호, pp.433-458, 2015. 

  14. F. R. Volkmar, B. Reichow, A. Westphal, and D. S. Mandell, Handbook of Autism and Pervasive Development Disorders, Hoboken, 2014. 

  15. 이소현, "자폐 장애의 일탈적 특성 고찰을 통한 특수 교육적 접근의 방향성 정립: 사회성 발달 장애를 중심으로," 특수교육학연구, 제34호, 제2호, pp.227-256, 1999. 

  16. M. Sigman and P. Mundy, "Social attachments in autistic children,"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Vol.28, pp.74-81, 1989. 

  17. P. Szatmari, "The validity of autistic spectrum Disorders: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utismand Developmental Disorders, Vol.22, No.4, pp.583-600, 1992. 

  18. J. S. DeLoache, G. Simcock, and S. Macari, "Planes, trains, automobiles - and tea sets: extremely intense interests in very young children," Development Psychology, Vol.43, No.6, pp.1579-1586, 2007. 

  19. S. Cobb, S. Kerr, and T. Glover, The AS interactive project: developing virtual environments for social skills training in users with Asperger's Syndrome, Robotic and Virtual Interactive Systems in AutismTherapy, Communications of the Adaptive Systems Research Group, University of Hertfordshire (Report no 364), 2001 

  20. 최세홍, "자폐아동 재활에 있어 가상현실 기술활용에 관한 서설적 연구," 정서.행동장애연구, 제18권, 제1호, pp.107-125, 2002. 

  21. J. M. Zheng, K. W. Chan, and I. Gibson, "Virtual reality: a real world review on a somewhat touchy subject," IEEE Potentials, April/May, pp.20-23, 1998. 

  22. M. Gerhard, D. J. Moore, and D. Hobbs, "Embodiment and copresence in collaborative interface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Vol.61, No.4, pp.453-480, 2004. 

  23. Y. F. Cheng, H. C. Chiang, J. Ye, and L. H. Cheng, "Enhancing empathy instruction using a collaborative virtual learning environment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conditions," Computer & Education, Vol.55, pp1449-1458, 2010. 

  24. S. Cobb, L. Beardon, R. Eastgate, T. Glover, S. Kerr, H. Neale, "Applied virtual environments to support learning of social intervention skills in users with Asperger's Syndrome," Digital Creativity, Vol.13, pp.11-22, 2002. 

  25. D. Tantam, "Psychological disorder in adolescents and adults with Asperger Syndrome," Autism, Vol.4, pp.47-62, 2002. 

  26. D. Moor, Y. F. Cheng, P. McGrath, and N. J. Powell, "Collaborative virtual environment technology for people with Autism," Focus on Autism and Other Development Disabilities, Vol.20, No.4, pp.231-243, 2005. 

  27. 정은혜, 임경원, 전병원, "자폐성 장애아동의 비디오 모델링 연구 동향," 정서.행동장애연구, 제28권, 제4호, pp.109-141, 2012. 

  28. 이지연, 이소현, 장지은, "자폐 범주성 장애인을 위한 시각적 지원 중재 연구의 동향 및 질적평가지표에 의한 분석-국내외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자폐성장애연구 제16권, 제1호, pp.53-75, 2016. 

  29. P. Mitchell, S. Parsons, and A. Leonard, "A using virtual evironments for teaching social understanding to 6 adolescents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s," Journal of Autismand Developmental Disorders, Vol.37, pp.589-600, 2007. 

  30. Y. F. Cheng and R. W. Huang, "Using virtual reality environment to improve joint attention associated with Pervasive Pevelopmental Disorder," Computer & Education, Vol.54, pp1068-1077, 2012. 

  31. G. Herrera, F. Alcantud, R. Jordan, A. Blanquer, G. Labajo, and C. D. Pablo, "Development of symbolic play through the use of virtual reality tools in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s," Autism, Vol.12, No.2, pp.143-157, 2008. 

  32. S. Parsons, A. Leonard, and P. Mitchell, "Virtual environments for social skills training: comments form two adolescents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 Computer & Education, Vol.47, pp.186-206, 2006. 

  33. Y. F. Cheng and J. Ye, "Exploring the social competence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Conditions in a collaborative virtual learning environment - the pilot study," Computer & Education, Vol.33, pp.2141-2152, 2012. 

  34. F. Ke and T. Im, "Virtual-reality-based social interaction training for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106, pp.441-461, 2013. 

  35. J. P. Stichter, J. Laffey, K. Galyen, and M. Herzog, "iSocial: delivering the social competence intervention for adolescents (SCI-A) in 3D virtual learning environment for youth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Vol.44, pp.417-430, 2014. 

  36. T. Self, R. R. Scudder, G. Webeba, and D. C. Ma, "A virtual approach the teaching safety skills to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opics in Language Disorders, Vol.27, No.3, pp.242-253, 2007. 

  37. 권정민, "자폐성 장애 아동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사용성 연구," 자폐성장애연구, 제12권, 제1호, pp.73-92, 2012. 

  38. B. F. Pennington and S. Ozonoff, "Executive functions and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Vol.37, pp.51-87, 1996. 

  39. S. L. Odom, J. L. Thompson, S. Hedges, B. A. Boyd, J. R. Dykstra, M. A. Duda, K. L. Szidon, L. E. Smith, and A. Bord, "Technology-aided intervention and instruction for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Vol.45, pp.3805-3819, 2014. 

  40. 이소현, 박은혜, 특수아동교육, 학지사, 2011. 

  41. C. G. Trepagnier, "Virtual environments for the investigation and rehabilitation of cognitive and perceptual impairments," Neuron Rehabilitation, Vol.12, No.1, pp.63-97, 1999. 

  42. Yang Yi, 이소현, "중국의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 가족의 양육 경험과 지원 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 자폐성장애연구, 제16권, 제2호, pp.29-55, 2016.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