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튜브 정치동영상이 태도극화에 미치는 효과: 선택적 노출과 정치성향, 정치관심도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YouTube Political Videos on Attitude Polarization: Focusing on the Interaction Effect of Selective Exposure, Political Orientation, and Political Interes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8, 2022년, pp.1 - 13  

이민규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  이유민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튜브 정치동영상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선택적 노출과 정치적 성향, 정치적 관심도의 태도극화에 대한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보았다.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문제 1, 연구문제 2와 관련하여 유튜브 정치동영상 이용자들의 선택적 노출과 정치적 성향에 대한 태도극화, 선택적 노출과 정치적 관심도에 대한 태도극화를 살펴본 결과, 선택적 노출에서 동일하게 태도극화 '나'에 대한 주 효과가 발견되었다. 그러므로 유튜브 이용자들의 정치동영상에 대한 선택적 노출이 높아질수록 유튜브 이용자 자신의 태도극화가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3과 관련하여 유튜브 정치동영상 이용자들의 정치적 성향과 정치적 관심도에 대한 태도극화를 살펴본 결과, 정치적 성향과 정치적 관심도의 태도극화 '나' 에 대한 상호작용효과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진보적 성향이나 보수적 성향 모두 정치적 관심이 높을 때, 유튜브 이용자 자신의 태도극화도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interactive effects of selective exposure, political orientation, and political interest on YouTube political video users' attitude polarization. The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In relation to research question 1 and 2, attitude polarization toward selective exposure an...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상의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유튜브 정치동영상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선택적 노출과 정치적 성 향, 정치적 관심도가 태도극화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유튜브 온라인 미디어 환경에서 정치적 다양성을 보장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0)

  1. N. Jun, "Contribution of Internet News Use to Reducing the Influence of Selective Online Exposure on Political Diversit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8, pp.1450-1457, 2012. 

  2. C. Sunstein, Republic Com 2.0.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7. 

  3. 강명현, "유튜브는 확증편향을 강화하는가?: 유튜브의 정치적 이용과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소통학보, 제20권, 제4호, pp.261-288, 2021. 

  4. S. Knobloch-Westerwick and J. Meng, "Looking the Other Way: Selective Exposure to Attitude-consistent and Counter-attitudinal Political Information," Communication Research, Vol.36, No.3, pp.426-448, 2009. 

  5. M. Wojcieszak and D. Mutz, "Online Group and Political Deliberation: Does the Internet Facilitate Exposure to Disagreement?," Journal of Communication, Vol.59, pp.40-56, 2009. 

  6. C. M. Condie, J. Vince, and K. A. Alexander, "Increasing Polarisation in Attitudes to Aquaculture: Evidence from Sequential Government Inquiries," Marine Policy, Vol.136, 104867, 2022. 

  7. Y. Kim and Y. Kim, "Incivility on Facebook and Political Polarization: The Mediating Role of Seeking further Comments and Negative Emotio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99, pp.219-227, 2019. 

  8. 박지현, 나은영, "정치적 동영상 콘텐츠의 선택적 이용이 태도극화에 미치는 영향: 집단에 대한 편향의 매개 효과와 비판적 사고 성향.공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35권, 제5호, pp.112-154, 2021. 

  9. 함민정, 이상우, "유튜브 정치동영상의 선택적 노출과 정치적 태도극화: 정치성향별 내집단 의식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5호, pp.57-169, 2021. 

  10. 오연주, "중등 사회과 예비교사의 정치적 관심도에 따른 공공쟁점 중심 토론학습 실천에 대한 인식과 회피 지향성 분석," 사회과교육연구, 제22권, 제4호, pp.79-89, 2015. 

  11. V. L. Hutchings, "Political Context, Issue Salience, and Selective Attentiveness: Constituent Knowledge of the Clarence Thomas confirmation Vote," The Journal of Politics, Vol.63, pp.846-868, 2001. 

  12. J. Stromback and A. Shehata, "Media Malaise or a Virtuous Circle? Exploring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News Media Exposure, Political News Attention and Political Interest," European Journal of Political Research, Vol.49, pp.575-597, 2010. 

  13. 전창영, 김춘식, "유권자의 개인적 특성이 선택적 미디어 노출에 미치는 영향 탐색: 정치적 선유경향, 미디어 이용동기, 숙의적 성향을 중심으로," 정치정보연구, 제21권, 제2호, pp.149-183, 2018. 

  14. S. Iyengar and J. McGrady, Media and Politics: A Citizen's Guide, W. W. Norton Publications, 2007. 

  15. T. J. Johnson, S. L. Bichard, and W. Zhang, "Communication Communities or Cyberghettos?: A Path Analysis Model Examining Factors That Explain Selective Exposure to Blogs,"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15, No.1, pp.60-82, 2009. 

  16. N. J. Stroud, "Polarization and Partisan Selective Exposure," Journal of Communication, Vol.60, No.3, pp.556-576, 2010. 

  17. Y. Tsfati and A. Chotiner, "Testing the Selective Exposure-polarization Hypothesis in Israel using Three Indicators of Ideological News Exposure and Testing for Mediating Mechanisms,"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Opinion Research, Vol.28, No.1, pp.1-24, 2016. 

  18. N. J. Stroud, Niche News: The Politics of News Choic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19. C. Leone, "Thought, Objectivism, and Opinion Extremity: Individual Differences in Attitude Polarization and Attenuat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21, No.3, pp.383-390, 1996. 

  20. C. S. Taber and M. Lodge, "Motivated Skepticism in the Evaluation of Political Beliefs,"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Vol.50, pp.755-769, 2006. 

  21. Y. Kim, S. H. Hsu, and H. Gil de Zuniga, "Influence of Social Media Use on Discussion Network Heterogeneity and Civic Engagement: The Moderating Role of Personality Traits," Journal of Communication, Vol.63, pp.498-516, 2013. 

  22. J. Buder, L. Rabl, M. Feiks, M. Badermann, and G. Zurstiege, "Does Negatively toned Language Use on Social Medial lead to Attitude Polarizatio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116, 106663, 2021. 

  23. E. Ferrara, O. Varol, C. Davis, F. Menczer, and A. Flammini, "The Rise of Social Bots,"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59, No.7, pp.96-104, 2016. 

  24. G. Pennycook, T. D. Cannon, and D. G. Rand, "Prior Exposure Increases Perceived Accuracy of Fake New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Vol.147, No.12, pp.1865-1880, 2018. 

  25. A. Tesser, L. Martin, and M. Mendolia, "The Impact of Thought on Attitude Extremity and Attitude-behavior Consistency," In R. E. Petty and J. A. Krosnick (Eds.), Attitude Strength: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pp. 73-92), Hillsdale, NJ: Erlbaum, 1995. 

  26. A. Tesser and C. L. Cowan, "Some Attitudinal and Cognitive Consequences of Thought,"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Vol.11, pp.216-226, 1977. 

  27. C. Leone, "Opportunity for Thought and Differences in the Need for Cognition: A Person by Situation Analysis of Self-generated Attitude Chang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17, pp.571-574, 1994. 

  28. C. Leone, L. W. Taylor, and K. C. Adams, "Self-generated Attitude Change: Some Effects of Thought, Dogmatism, and Reality Constrain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12, pp.233-240, 1991. 

  29. Z. P. Neal, "A Sign of the Times? Weak and Strong Polarization in the US Congress, 1973-2016," Social Network, Vol.60, pp.103-112, 2020. 

  30. G. Ertan, A. Carkoglu, and E. Aytac, "Cognitive Political Networks: A Structural Approach to Measure Political Polarization in Multiparty Systems," Social Networks, Vol.68, pp.118-126, 2022. 

  31. A. L. Kavanaugh, S. D. Sheetz, R. Sandoval-Almazan, J. C. Tedesco, and E. A. Fox, "Media Use During Conflicts: Information Seeking and Political Efficacy during the 2012 Mexican Elections,"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Vol.33, pp.595-602, 2016. 

  32. R. Fox and J. Ramos, iPolitics: Citizens, Elections and Governing in the New Media Era,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33. P. Maarek, Campaign Communication and Political Marketing, Hoboken, NJ: Wiley Blackwell, 2011. 

  34. D. Shah et al., "Information and Expression in a Digital Age," Communication Research, Vol.32, No.5, pp.531-565, 2005. 

  35. K. Kenski and N. J. Stroud, "Connections between Internet Political Efficacy, Knowledge, and Participation,"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50, No.2, pp.173-192, 2006. 

  36. 이정훈, "비판적 뉴스 이용 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뉴스 피로감, 정치적 세련도, 뉴스에 대한 지식 체계, 뉴스관의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1호, pp.578-592, 2019. 

  37. R. K. Garrett, S. D. Gvirsman, B. K. Johnson, Y. Tsfati, R. Neo, and A. Dal, "Implications of Pro- and Counter attitudinal Information Exposure for Affective Polarization,"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40, No.3, pp.309-332, 2014. 

  38. L. Feldman, T. A. Myers, J. Hmielowski, and A. Leiserowitz, "The Mutual Reinforcement of Media Selectivity and Effects: Testing the Reinforcing Spirals Framework in the Context of Global Warming," Journal of Communication, Vol.64, No.4, pp.590-611, 2014. 

  39. L. Bennett and S. Iyengar, "The Shifting Foundations of Political Communication: Responding to a Defense of the Media Effects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Vol.60, No.1, pp.35-39, 2010. 

  40. S. Iyengar and K. S. Hahn, "Red Media, Blue Media: Evidence of Ideological Selectivity in Media Use," Journal of Communication, Vol.59, No.1, pp.19-39, 2009. 

  41. N. J. Stroud, "Media Effects, Selective Exposure, and Fahrenheit 9/11," Political Communication, Vol.24, pp.415-432, 2007. 

  42. 이세희, 한국 정치 정서적 양극화의 원인과 결과: 미디어, 투표참여, 입법교착,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2. 

  43. 김지호, 신은지, "온라인 뉴스 환경에서 태도강도와 과제 유무에 따른 선택적 노출이 태도극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제18권, 제2호, pp.221-250, 2017. 

  44. 정일권, "SNS를 통한 정치참여," 한국언론학회 (편), 정치적 소통과 SNS, 파주: 나남, 2012. 

  45. P. Enns and P. Kellstedt, "Policy Mood and Political Sophistication: Why Everybody Moves Mood," British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Vol.38, No.3, pp.433-454, 2008. 

  46. C. Smidt, "Polarization and the Decline of the American Floating Voter,"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Vol.61, No.2, pp.365-381, 2017. 

  47. J. N. Zingher, "Polarization, Demographic Change, and White Flight from the Democratic Party," The Journal of Politics, Vol.80, No.3, pp.860-872, 2018. 

  48. 이나연, 조윤정, "지식 습득인가 정파적 해석인가: 정파적 미디어 이용이 정파적 이슈에 대한 태도극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61권, 제5호, pp.204-240, 2017. 

  49. 이소영, "정당, 미디어, 그리고 정치적 선호: 6.4 서울시장 선거 유권자의 선택적 미디어 노출과 정치적태도," 21세기정치학회보, 제24권, 제3호, pp.217-246, 2014. 

  50. 송근원, "16대 대통령 선서에서의 정치적 관심도," 사회과학연구, 여름 특집호, pp.51-75, 2003. 

  51. M. A. Stefanone, M. Vollmer, and J. M. Covert, "In News We Trust? Examining Credibility and Sharing Behaviors of Fake News," In Proceedings of the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cial Media and Society, pp.136-147, 2019. 

  52. K. Thorson, K. Cotter, M. Medeiros, and C. Pak, "Algorithmic Inference, Political Interest, and Exposure to News and Politics on Facebook,"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Society, Vol.24, No.2, pp.183-200, 2019. 

  53. S. Russo and H. Stattin,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Role of Political Interest in Adolescents' Sociopolitical Development,"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Vol.50, pp.71-78, 2017. 

  54. S. W. Lee, A. Nanz, and R. Heiss, "Platform-dependent Effects of Incidental Exposure to Political News on Political Knowledge and Political Participatio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127, 107048, 2022. 

  55. J. Kerr, C. Panagopoulos, and S. van der Linden, "Political Polarization on COVID-19 Pandemic Response in the United State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179, 110892, 2021. 

  56. S. Ahmed and T. Gil-Lopez, "Incidental News Exposure on Social Media and Political Participation Gaps: Unraveling the Role of Education and Social Networks," Telematics and Informatics, Vol.68, 101764, 2022. 

  57. 김하늬, 정치적 태도극화 및 적대화 요인과 그 결과에 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58. 이학식, 임지훈,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24, 서울: 집현재, 2017. 

  59. 최정화, "SNS이용이 대학생들의 정치효능감과 정치 참여에 미치는 영향,"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제27호, pp.369-408, 2012. 

  60. 정낙원, 김성욱, "소셜미디어에서 의견일치/불일치 대상과의 정치토론이 가지는 정치적 효과 연구: 시각다양성 인식, 정보 습득감, 정치적 참여, 관심도, 지식, 효능감 변인을 중심으로,"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제38호, pp.73-112,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