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기요양 필요 발생의 고위험 대상자 발굴을 위한 예측모형 개발
Development of prediction model identifying high-risk older persons in need of long-term care 원문보기

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35 no.4, 2022년, pp.457 - 468  

송미경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 ,  박영우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 ,  한은정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령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국가차원에서 노인의 건강노화 실현을 위한 장기요양 필요 발생의 예방 방안을 마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정책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대상자의 선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국민건강정보를 활용하여, 장기요양 필요를 야기하는 기능장애 발생 가능성이 높은 대상자를 발굴하기 위한 예측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의 과거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는 후향적 연구로,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만 65세 이상 의료보장등록인구이다(총 7,724,101명). 예측모형 개발을 위해 고유 방법인 로지스틱 회귀모형, 머신러닝 방법인 의사결정나무와 랜덤포레스트, 딥러닝 방법인 다층퍼셉트론 신경망을 분석하였다. 체계적 분석절차를 통해 각 분석방법별 모형을 적합하였고, 내적 타당성외적 타당성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최종 예측모형을 랜덤포레스트로 선정하였다. 랜덤포레스트는 모집단에서의 4.50%밖에 되지 않는 장기요양 필요 대상자의 약 90%를 장기요양 필요 발생 고위험 대상자로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예측모형 및 고위험군 기준은 노인의 욕구 중심에서 예방 서비스가 필요한 대상자를 선제적으로 발굴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aged society, it is important to prevent older people from being disability needing long-term c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ediction model to discover high-risk groups who are likely to be beneficiaries of Long-Term Care Insurance. This study is a retrospective study using dat...

주제어

표/그림 (7)

참고문헌 (22)

  1. Chung KH (2015). Characteristic changes and living status of older Korean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 Freedman VA (2009). Adopting the ICF language for studying late-life disability: A field of dreams?, Journals of Gerontoloty: Medical Sciences, 64, 1172-1174. 

  3. Han EJ, Kwak MJ, and Kan IO (2011). A determining system for the category of need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using decision treem model,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24, 145-159. 

  4. Han E, Kwon J, Song MK, Lee Y, Jang H, Kim M, Lee HS, and Kim JH (2018). Establishing a Prospective Cohort Study of Oder People with Long-Term Care Needs II,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Wonju. 

  5. Han ST, Kang HC, Choi BS, and Lee SK (2011). A study on the judgement rating for level of need for long-term care insurance using a decision tree,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18, 137-146. 

  6. Kim Y (2020). A Study on the Role Allocation of Private Insurance for Enhancing the Sustainability of Long-Term Care Insurance, Korea Insurance Research Institute, Seoul. 

  7. Lim JG (2008). A Study on the projection of long-term care for the disabled in Korea,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5 185-208. 

  8. Lionis C and Midlov P (2017). Prevention in the elderly: A necessary priority for general practitioners, European Journal of General Practice, 23, 202-207. 

  9. Nagi SZ (1991). Disability concept revisited: implications for prevention, Disability in America. Toward a national agenda for prevention, 309-327. 

  10. National Council on Disability (2008). National Disability Policy: Progress Report, Chapter 5: Long-term Services and Supports, National Council on Disability, Washington, DC. 

  11. OECD (2021). OECD health statistics 2021. https://www.oecd.org/els/health-systems/health-data.htm. 

  12. Rowe JW and Kahn RL (1987). Human aging: usual and successful. Science, 237, 143-149. 

  13. Seo DM and Jang BW (2005). A study on estimating the cost of long-term care for the elderly by social insurance model in Korea, Korean Social Security Studies, 21, 161-198. 

  14. Statistics Korea (2021). 2021 Elderly statistics. 

  15. Statistics Korea (2021). Life table. https://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4234 

  16. Thomas MG, Heather GA, and Theodore RH (2004). Zhenchao G. Hospitalization, Restricted Activity, and the Development of Disability among Older Persons, JAMA, 292, 2115-2124. 

  17. Verbrugge LM and Jette AM (1994). The disablement process. Social Science & Medicine, 38, 1-14. 

  18. WHO (1991). Disability prevention and rehabilitation. Executive board. Eighty-ninth session: provisional agenda item 8. World Health Organization. 

  19. WHO (2015). World Report On Ageing and Health. World Health Organization. World Health Organization. 

  20. WHO (2017). Global strategy and action plan on ageing and health.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World Health Organization. 

  21. Won JW (2014).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in the older adults, J Korean Med Assoc, 57, 756-762. 

  22. Yun E and Jo Y (2014). Factors for environment affecting the social activity disability of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Care Management, 12, 21-5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