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점기반 미술치료 코칭 프로그램이 느린학습자의 심리·사회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rength-based Art Coaching Programs on Psychosocial Maturity of Slow Learners 원문보기

한국심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oaching psychology / 코칭, v.6 no.1, 2022년, pp.1 - 32  

윤수진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탁진국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 다니는 느린학습자를 대상으로 심리·사회성숙도 향상을 위한 강점기반 미술치료 코칭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여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생 느린학습자 32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16명, 통제집단 16명을 구성하였다. 실험집단 16명을 대상으로 강점기반 미술치료 코칭프로그램을 주 1회 60분씩 총 10회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주 내용은 긍정심리기반 강점을 인식하고 일상생활에서 강점을 활용하는 것, 나의 감정과 타인의 감정을 인식하고 공감하는 것, 구체적인 의사표현 방법을 터득하고 표현해보도록 하는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졌다.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심리·사회성숙도 검사(정서적안정감, 사회적유능감, 의사소통능력, 학교생활적응력, 대인관계친화력)를 사전, 사후, 추후1(4주 후), 추후2(12주 후)로 실시한 결과, 사전-사후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프로그램 지속성도 검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한 연구의 시사점, 연구의 제한점,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 등으로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developing and applying a strength-based art coaching program to improve psychological and social maturity for slow learners attending elementary school. To this end, 32 slow elementary school learners living in the Seoul area were selected...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102)

  1. 강옥려 (2016). 경계선급 지능 아동의 교육: 과제와 해결 방안. 한국초등교육, 27(1), 361-378. 

  2. 강애니 (2003). 우울경향이 있는 20대의 미술치료활동 체험연구.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권석만 (2008).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학지사. 

  4. 권석만 (2011). 인간의 긍정적 성품: 긍정심리학의 관점. 학지사. 

  5. 권은정 (2016). 긍정심리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낙관성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기년 (2013). 청소년용 강점검사 개발과 타당화.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기년 (2017). 청소년의 삶의 만족증진을 위한 강점코칭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광운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미희, 김정일 (2015).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취업을 앞둔 고등학생의 정서지능과 의사소통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인지정서행동치료 이론을 중심으로. 예술교육연구, 14(1), 131-150. 

  9. 김반야 (2015). 관계적 인간의 형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김배운, 공마리아 (2017). 발달지체 유아의 자기표현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임상미술심리연구, 7(2), 1-21. 

  11. 김보령 (2019). 설명문 텍스트구조학습이 경계선 지능 학습부진 중학생의 읽기이해 능력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선경 (2013).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상호동료 멘토링 활동의 상호작용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김성길 (2016). 경계선 지능 청소년의 자기인식 및 자기표현 향상 상담사례의 배움학적 함의. 한국미래교육학회지: 미래교육연 구, 6-2. 

  14. 김용례 (2010). 청소년의 기질 및 성격특성과 비행성향간의 관계. 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은숙 (2004). 가정환경과 양육 스트레스가 시각장애 영유아의 사회적 성숙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김지영 (2011). 성격강점이 긍정적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김지현 (2014). 이혼가정 아동의 자아 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효과.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김향지 (2011). 지적장애청소년의 사회적응을 위한 지원 요구 특성에 대한 논의. 한국청소년학회 학술대회, 49-56. 

  19. 김혜정 (2016). 통합적 독서치료프로그램을 활용한 사회적 기술 증진 효과. 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김혜정, 김도연 (2017). 통합적 독서치료프로그램을 활용한 사회적 기술 증진 효과 -경계선지적기능 아동을 중심으로. 발달지원 연구, 6(1), 21-38. 

  21. 김희정 (2018). 긍정심리 집단미술치료가 중년여성의 회복탄력성 및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 대구사이버대학교 휴먼케어대학석사학위논문. 

  22. 김희정, 임지향, 정재원 (2018). 긍정심리 집단미술치료가 중년여성의 회복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미치는 영향. 임상미술 심리연구, 8(3), 71-100. 

  23. 박미정, 박경란 (2019). 일상생활중심 대화식 저널쓰기가 경계선지능 언어발달지체 학생의 쓰기 능력이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6), 369-389. 

  24. 박태운 (2020). 긍정심리자본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박현숙 (2018).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 선별 체크리스트.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6. 박현숙 (2021). (경계선 지능 아동.청소년을 위한) 느린 학습자 인지훈련 프로그램. 학지사. 

  27. 박찬선 (2015). 경계선 지능을 가진 아이들. 이담Books. 

  28. 박창규, 원경림, 유성희 (2022). 코칭핵심역량. 학지사. 

  29. 박혜림 (2015). 긍정심리에 근거한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변관석, 신진숙 (2017). 경계선 지능에 관한 국내연구 동향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19(1), 79-109. 

  31. 배미정, 조한익 (2014). 내현적 자기애 성향, 자존감, 인지적 및 정서적 공감 그리고 대인관계 유능성 간의 관련성 연구. 상담학연구, 15(6), 2417-2435. 

  32. 선영운 (2015). 학령기 아동의 모애착, 또래관계 기술, 안녕감의 관계에서 부애착의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선혜영, 김수연, 이미애, 탁진국 (2017). 강점코칭프로그램이 직장인의 강점자기효능감, 긍정정서, 자기효능감, 직무열의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30(2), 221-246. 

  34. 손보영 (2019). 어머니의 문해 상호작용 및 유아의 문해 동기와 출현적 문해 능력 간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염혜선 (2017). 4요인 사회적 성취목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오금연 (2004). 청소년의 주거환경과 사회적 성숙도와의 관계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오은영 (2019). 학교부적응 학생 대상 예비부모 교육 수업 적용 사례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유경 (2008). 단순언어장애아동.경계선지능언어발달장애아동.일반아동의 쓰기지식 특성 비교.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9. 유소희 (2015). 긍정심리학에 근거한 집단미술 치료가 학습부진 청소년의 학습동기와 학교적응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윤성민 (2011). 행복증진 긍정심리개입활동들의 효과.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1. 윤소민, 강진령 (2013). 강점기반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 연구, 13(1), 103-123. 

  42. 원연자 (2014). 강점기반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태도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이경미 (2021). 은둔형 외톨이 성인의 자아존중감과 불안에 대한 긍정심리 미술치료 사례 연구.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이바름 (2019). 경계선 지능 청소년의 자기표현력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 단일연구.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이상호 (2006). 골프 참가자의 심리.사회적 성숙과 건강과의 관계.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6. 이수진 (2018). 긍정심리기반 집단미술치료가 지적장애인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7. 이영숙 (2004). 중등미술 교육에 나타난 오브제 표현형식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8. 이옥희 (2010). 초등학생의 공감능력과 사회적 능력이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이온숙 (2018). 긍정심리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한양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이정순 (2011). 강점 인식, 태도 및 활용과 다차원적 완벽주의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이재연 (2008).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특성. 특수교육학연구, 42(4), 43-66. 

  52. 이진순 (2015). 긍정심리학을 적용한 긍정정서 훈련 프로그램이 아동의 우울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이항숙, 최은영, 공마리아 (2016). 중도(中途)척수장애인의 장애수용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 미술심리학회, 23(3), 839-861. 

  54. 임가영 (2019). 강점활용 댄스심리코칭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일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임남순, 김윤옥 (2006). 초등학교 학습장애 아동과 학습부진 아동에 대한 문장작성전략의 중재효과. 학습장애연구, 21(4), 257- 278. 

  56. 임미나, 임지향, 정재원 (2020).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양육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긍정심리 미술치료 사례 연구. 발달장애연구, 24(4), 27-52. 

  57. 임성미, 정대영, 하창완 (2018). FIE를 활용한 가정연계 쓰기활동이 경계선 지적기능아동의 쓰기 능력 및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인지발달중재학회지: 9(3), 1-25. 

  58. 임영옥 (2004). 유아의 창의성과 놀이성, 다중지능과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9. 임지향, 김지현, 정재원 (2018). 긍정심리 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사례연구. 한국청소년상담학회지, 3(1), 63-85. 

  60. 장세희 (2018). 독서치료가 느린 학습자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독서치료연구, 10(2), 89-106. 

  61. 장진아 (2008). 발달장애청소년을 위한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2. 전의민 (2021). 경계선지능아동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프로그램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3. 정재원 (2010).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공격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4. 정재희 (2018). 중학생 대상 단계적변화모형 기반 학업지연행동극복 그룹코칭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광운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5. 정혜진, 김홍근, 최은영 (2005).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의 수용 및 표현 언어에 미치는 영향. 재활심리연구, 12(1), 107-134. 

  66. 정희정, 이재연 (2005). 경계선급 지능 아동의 인지적, 행동적 특성. 아동복지연구, 3(3), 109-124. 

  67. 정희정, 이재연 (2008).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특성. 특수교육학연구, 42(4), 43-66. 

  68. 조진숙, 탁진국 (2018). 긍정심리기반 의사소통 향상 코칭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의사소통 능력과 자기존중, 배려·소통,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코칭, 2(2), 5-62. 

  69. 탁진국 (2019). 코칭심리학. 학지사. 

  70. 차미선 (2018).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지적장애인시설 사회복지사의 심리적소진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서울벤처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1. 최광면 (2021). 자기비전 수립 코칭프로그램이 중간관리자(팀장)의 셀프리딩마인드셋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2. 허정선 (2012). 긍정심리학에 근거한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3. 홍인석, 최영미, 윤태복 (2016). 경계선 지능아동을 위한 인지능력 향상 기능성 게임 개발. 한국게임학회지, 16(2), 129-138. 

  74. 황상민, 도영임 (2008). 게임 세계에서 만드는 삶의 방식과 현실 인간의 persona.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1342-1350. 

  75. 황지은 (2022). 부모 인식에 따른 경계선 지능 청소년의 사회.정서적 특성 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76. Attili, G. (1990). Successful and disconfirmed children in the peer group: Indices of social competence within an evolutionary perspective. Human Development, 33(4-5), 238-249. 

  77. Costa Jr, P. T., McCrae, R. R., & Dye, D. A. (1991). Facet scales for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A revision of the NEO Personality Inventor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2(9), 887-898. 

  78. Corrigan-Kavanagh, E., Scarles, C., & Revill, G. (2019). Augmenting travel guides for enriching travel experiences. E-Review of Tourism Research, 17(3). 

  79. Darewych, O. H. (2019). Positive arts interventions: Creative tools helping mental health students flourish. In Theoretical approaches to multi-cultural positive psychological interventions (pp. 431-444). Springer, Cham. 

  80. Erikson, K. T. (1959). The functions of deviance in groups. Social Problems, 7(2), 98-107. 

  81. Seligman, M. E. (2002). Positive psychology, positive prevention, and positive therapy.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2(2002), 3-12. 

  82. Seligman, M. E. (2004). Positive psychology progress: Empirical validation of interventions. American Psychologist, 60(5), 410-421. 

  83. Crandall, R. (1980). Motivations for leisur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2(1), 45-54. 

  84. DeNeve, K. M., & Cooper, H. (1998). The happy personality: a meta-analysis of 137 personality traits and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124(2), 197. 

  85. Gross, I. H., Crandall, E. W., & Knoll, M. M. (1980). Management for modern families. Prentice-Hall. 

  86. Seligman, M. E. (2006). Positive psychotherapy. American psychologist, 61(8), 774. 

  87. Shechtman, Z., & Perl-Dekel, O. (2000). A comparison of therapeutic factors in two group treatment modalities: Verbal and art therapy. Journal for Specialists in Group Work, 25(3), 288-304. 

  88. Shogren-Knaak, M., Ishii, H., Sun, J. M., Pazin, M. J., Davie, J. R. (2006). Histone H4-K16 acetylation controls chromatin structure and protein interactions. Science, 311(5762), 844-847. 

  89. Goldberg, L. R. (1990). An alternative" description of personality": the big-five factor struct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6), 1216. 

  90. Harter, S. (1998). The development of selfrepresentations. 

  91. Hymes, D. H. (2001). Foundations in sociolinguistics: an ethnographic approach, London: Routledge. 

  92. Landa, R. J. (2005). Assessment of social communication skills in preschoolers. Mental Retardation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search Reviews, 11(3), 247-252. 

  93. Liebmann, M. (2004). Art therapy for groups: A handbook of themes and exercises. Routledge. 

  94. Lopez, S. J., & Snyder, C. R. (2003). Positive psychological assessment: A handbook of models and measures (pp. xvii-495).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95. Masten, A. S., Coatsworth, J. D., Neemann, J., Gest, S. D., Tellegen, A., & Garmezy, N. (1995). The structure and coherence of competence from childhood through adolescence. Child development, 66(6), 1635-1659. 

  96. Maslow, A. H. (1959). New knowledge in human values. 

  97. Malchiodi, C. A. (2008). Creative interventions and childhood trauma. Creative interventions with traumatized children, 3-21. 

  98. McCrae, R. R., & Costa, P. T. (1986). Clinical assessment can benefit from recent advances in personality psychology. American Psychologist, 41(9), 1001. 

  99. MacLellan, W. R., & Schneider, M. D. (1997). Death by design: programmed cell death in cardiovascular biology and disease. Circulation research, 81(2), 137-144. 

  100. Merrell, K. W. (1993). Using behavior rating scales to assess social skills and antisocial behavior in school settings: Development of the school social behavior scales. School Psychology Review, 22(1), 115-133. 

  101. Olweus, D. (2001). Bullying at school: Tackling the problem. OECD observer, 24-24. 

  102. Wubbolding, R. E., & Brickell, J. (2017). Counselling with reality therapy. Routledg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