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지역사회 주민의 당화혈색소와 중금속 생체표지자와의 관련성
The Association between HbA1c and the Biological Exposure Index for Heavy Metals in Community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47 no.3, 2022년, pp.181 - 188  

민영선 (순천향대 천안병원 직업환경의학과) ,  이관 (동국의대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당뇨병 발생에는 생활습관이나 생활환경과 관련된 다양한 원인들이 있는데 최근 연구에서 중금속에 많이 노출된 사람에서 당뇨병 발생 및 당뇨병의 악화가 늘어났다는 역학적 연구가 많이 발표되고 있다. 이에 국내 대규모 철강공업단지를 가진 일개 도시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당화혈색소와 체내 중금속의 상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008~2009년 연구대상 총 414명에 대한 설문조사와 생체시료를 채취하였다. 설문은 성별, 연령, 인구학적 특성, 흡연, 음주, 직업, 당뇨진단 유무 등의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혈액을 채취하여 HbA1c, 혈중 납 농도를 측정하였고, 소변을 채취하여 요중 카드뮴, 무기비소, 수은 농도를 측정하였다. HbA1c는 6.5%기준으로 미만군과 이상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중금속별 10분위수부터 90분위수 농도에 해당하는 기준으로 미만군과 이상군 등 두 군을 분류하였다. 당뇨관련검사 결과 HbA1c 6.5% 기준으로 이상군은 남자 14(9.9%)명, 여자 17(6.2%)명이었다. 혈중 납의 기하평균 농도는 2.48 (1.80) ㎍/dl, 요중 카드뮴의 기하평균농도는 1.20 (2.26) ㎍/g creatinine, 요중 무기비소의 기하평균농도는 12.08 (1.80) ㎍/g creatinine, 요중 수은의 기하평균농도는 1.63 (2.23) ㎍/g creatinine 이었다. 연령, 지역, 성별, 흡연으로 보정하였을때 요중 카드뮴 농도 30분위수 이상군이 미만군에 비하여 교차비 5.26(95% 신뢰구간 : 1.44~19.17)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납, 무기비소, 수은은 HbA1c(6.5% 기준) 변수와의 교차분석에서 유의한 분포 차이는 없었다. 여러 요인을 보정하고도 요중 카드뮴과 HbA1c의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고, 특히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요중 카드뮴 농도의 특정 컷오프 값을 찾아내어 이를 통해 우리나라에 적합한 생물학적 노출값 설정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revalence of diabetes mellitus was approximately 16% in populations of over age 30 years, and deaths from diabetes mellitus became the sixth most prevalent cause of death by disease.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HbA1c and heavy metal level in blood and urine, targeted resident...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20)

  1. Bae JH, Han KD, Ko SH, Yang YS, Choi JH, Choi KM, Kwon HS, Won KC.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21. Diabetes Metab J 2022;46(3):417-426 

  2. Kim YE, Park H, Jo MW, Oh IH, Go DS, Jung J, et al. Trends and patterns of burden of disease and injuries in Korea using disability-adjusted life years. J Korean Med Sci 2019;34(Suppl 1):e75 

  3. Beulens JWJ, Pinho MGM, Abreu TC, den Braver NR, Lam TM, Huss A, Vlaanderen J, Sonnenschein T, Siddiqui NZ, Yuan Z, Kerckhoffs J, Zhernakova A, Brandao Gois MF, Vermeulen RCH. Environmental risk factors of type 2 diabetes-an exposome approach. Diabetologia 2022;65(2):263-274 

  4. Valcke M, Ouellet N, Dub? M, Laouan Sidi EA, LeBlanc A, Normandin L, Balion C, Ayotte P. Biomarkers of cadmium, lead and mercury exposure in relation with early biomarkers of renal dysfunction and diabetes: Results from a pilot study among aging Canadians. Toxicol Lett 2019;312:148-156 

  5. Filippini T, Wise LA, Vinceti M. Cadmium exposure and risk of diabetes and prediabetes: A systematic review and dose-response meta-analysis. Environ Int 2022;158:106920. doi: 10.1016/j.envint.2021.106920 

  6. Lei LJ, Jin TY, Zhou YF. Insulin expression in rats exposed to cadmium. Biomed Environ Sci 2007;20(4):295-301 

  7. Padilla MA, Elobeid M, Ruden DM, Allison DB. An examination of the association of selected toxic metals with total and central obesity indices: NHANES 99-02.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10;7(9):3332-47. doi: 10.3390/ijerph7093332 

  8. Gonzalez-Villalva A, Colin-Barenque L, Bizarro-Nevares P, Rojas-Lemus M, Rodriguez-Lara V, Garcia-Pelaez I, Ustarroz-Cano M, Lopez-Valdez N, Albarran-Alonso JC, Fortoul TI. Pollution by metals: Is there a relationship in glycemic control? Environ Toxicol Pharmacol 2016;46:337-343 

  9. Kim DS, Ahn SC, Ryu JM, Yu SD. Monitoring study on exposure levels of environmental pollutants in residents of a non-industrial area, Korea J Environ Health Sci 2012: 38(6): 482-492 (Korean) 

  10. Park E, Kim S, Song SH, Lee CW, Kwon JT, Lim MK, Park EY, Won YJ, Jung KW, Kim B. Environmental exposure to cadmium and risk of thyroid cancer from national industrial complex areas: A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Chemosphere 2021;268:128819. doi: 10.1016/j.chemosphere.2020.128819 

  11. Park Y, Oh CU. Association of lead, mercury, and cadmium with metabolic syndrome of young adults in South Korea: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16. Public Health Nurs 2021;38(2):232-238 

  12. Wang T, Zhou YP, Sun Y, Zheng YX. Trends in Blood Lead Levels in the U.S. From 1999 to 2016. Am J Prev Med 2021;60(4):e179-e187 

  13. Cho NH. The epidemiology of diabetes in Korea: from the economics to genetics. Korean Diabetes J 2010;34(1):10-15 

  14. Edwards JR, Prozialeck WC. cadmium, diabetes and chronic kidney disease. Toxicol Appl Pharmacol 2009;238(3);289-293 

  15. Swaddiwudhipong W, Mahasakpan P, Limpatanachote P, Krintratun S. Correlations of urinary cadmium with hypertension and diabetes in persons living in cadmium-contaminated villages in northwestern Thailand: A population study. Environ Res 2010;110(6):612-616 

  16. Tinkov AA, Filippini T, Ajsuvakova OP, Aaseth J, Gluhcheva YG, Ivanova JM, Bjorklund G, Skalnaya MG, Gatiatulina ER, Popova EV, Nemereshina ON, Vinceti M, Skalny AV. The role of cadmium in obesity and diabetes. Sci Total Environ 2017;601-602:741-755 

  17. Guo FF, Hu ZY, Li BY, Qin LQ, Fu C, Yu H, Zhang ZL. Evaluation of the association between urinary cadmium levels below threshold limits and the risk of diabetes mellitus: a dose-response meta-analysis. Environ Sci Pollut Res Int 2019;26(19):19272-19281 

  18. Roy C, Tremblay PY, Ayotte P. Is mercury exposure causing diabetes, metabolic syndrome and insulin resistance?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Environ Res 2017;156:747-760 

  19. Moon SS. Association of lead, mercury and cadmium with diabetes in the Korean populati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9-2010. Diabet Med 2013 ;30(4):e143-148 

  20. Rehman K, Fatima F, Akash MSH. Biochemical investigation of association of arsenic exposure with risk factors of diabetes mellitus in Pakistani population and its validation in animal model. Environ Monit Assess 2019;191(8):511. doi: 10.1007/s10661-019-767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