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경산업연관분석을 활용한 탄소국경조정 메커니즘 도입에 따른 국내 산업계 영향 분석과 대응전략
Assessing the Impacts of EU's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s and Its Policy Implications: An Environmentally Extended Input-Output Analysis 원문보기

자원·환경경제연구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v.31 no.3, 2022년, pp.419 - 449  

여영준 (국회미래연구원 혁신성장그룹) ,  조해인 (녹색기술센터 정책전략팀) ,  정훈 (국회미래연구원 혁신성장그룹)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환경산업연관표 분석모형을 활용해, EU 탄소국경조정이 전면 도입될 경우의 국내 산업별 탄소국경조정 부담액 규모를 산정하고 국내 저탄소 정책 시행에 따른 산업별 부담액 변화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기후변화 리스크에 대응한 중장기전략 수립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EU 탄소국경조정 전면도입 정책충격에 따른 국내 산업 총부담액은 2030년 기준 약 8조 2,456억 원 규모로 예측되었다. 업종별 영향을 살펴보면 석유화학, 석유정제, 운송장비, 철강, 자동차, 전기/전자/정밀 산업으로 등 6대 주요 산업군에서 총탄소국경조정 총부담액의 84.3%를 차지하는 것으로 전망되었다. 그리고 저탄소 정책 시행에 따른 기술발전 및 에너지 전환을 가정한 복수의 정책 시나리오에서는 탄소국경조정 총부담액이 약 11.7%~15.0%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탄소국경조정의 전면도입 확대에 따른 대응전략 수립을 특정 분야에 한정해 이행하는 것이 아니라, 종합적 접근 하에서 이뤄내 국가 경제 전반에 끼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하는 기회의 창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ims to quantify the potential economic burdens of EU's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s faced by Korean domestic industries. In addition, this study tries to compare and analyzes changes in the burden of each industry resulted from the implementation of the domestic low-carbon policy....

주제어

표/그림 (15)

참고문헌 (33)

  1. 그린피스, 기후변화 규제가 한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주요 3개국(美, 中, EU)을 중심으로, 그린피스, 2021. 

  2. 김상태.김남조, "환경산업연관표를 이용한 관광산업 온실가스 배출 구조 분석", 「한국광광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0, pp. 1027~1038. 

  3. 김선진.안희정.이윤정, "주요국 기후변화 대응정책이 우리 수출에 미치는 영향: 탄소국경세를 중심으로", 「조사통계월보」, 제75권 제7호, 2021, pp. 16~45. 

  4. 김윤경, "환경산업연관표 2000을 이용한 산업부문의 이산화탄소(CO2) 발생 분석", 「자원‧환경경제연구」, 제15권 제3호, 2006a, pp. 425~450. 

  5. 김윤경, "환경산업연관표 2005를 이용한 산업부문의 이산화탄소(CO2) 발생 분석", 「자원‧환경경제연구」, 제20권 제1호, 2011, pp. 1~31. 

  6. 김윤경, "환경산업연관표 작성 및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은행(계간국민계정)」, 제2권, 2006b, pp. 44~99. 

  7. 김충실.이현근, "농업부문 에너지 소비의 CO2 배출량 분석", 「한국 농촌경제」, 제32권 제1호, 2009, pp. 41~61. 

  8. 문진영.오수현.박영석.이성희.김은미, "국제사회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 상향과 한국의 대응방안",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0. 

  9. 민슬기.손영환.노수각.박재성.봉태호, "환경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농작물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변화와생산량, 재배면적의 상관성 분석", 「한국농공학회논문집」, 제56권 제1호, 2014, pp. 61~70. 

  10. 박효민, "EU 탄소국경조정메커니즘(CBAM)의 WTO TBT 협정 합치성: 환경, 기술, 그리고 TBT 협정 간 관계 모색", 「법제논단」, 제696호, 2022, pp. 221~252. 

  11. 산업연구원, "ISTANS DB 국제통계: 국제무역", 2021. 

  12.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수급동향자료", 2017. 

  13.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통계연보", 2016. 

  14. 에너지관리공단, "기업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지침서", 2006. 

  15. 오경수.이지웅.김길환, "신기후협약하에서 선진국 국경탄소조치의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에너지경제연구원(KEEI) 연구보고서, 2015. 

  16. 오인하, "배출규제가 탄소누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및 전망: 소비 관점의 탄소회계와 국경조치의 영향을 중심으로", 「자원‧환경경제연구」, 제21권 제4호, 2012, pp. 851~891. 

  17. 윤승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EU 탄소국경조정메커니즘(CBAM)의 경제적 효과 분석", 「무역연구」, 제18권, 2022, pp. 391~411. 

  18. 이상호.김충실, "국제무역 및 제품에 내재된 탄소함유량 분석", 「무역학회지」, 제37권 제2호, 2012, pp. 1~19. 

  19. 이천기, "EU 탄소국경조정제도의 주요 내용 및 국제통상법적 시사점", 「통상법무정책」, 제2권, 2021, pp. 56~81. 

  20. 최한주.이기훈, "환경 혼합 산업연관모형을 이용한 산업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추정과 변화요인 분석", 「자원‧환경경제연구」, 제15권 제1호, 2006, pp. 27~50. 

  21. 한국무역협회, "글로벌 무역통계 서비스", 2020. 

  22. Bohringer, C., J. Schneider, and E. Asane-Otoo, "Trade in carbon and carbon tariffs.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Vol. 78, No. 4, 2021, pp. 669~708. 

  23. Chepeliev, M., I. Osorio-Rodarte, and D. van der Mensbrugghe, "Distributional impacts of carbon pricing policies under the Paris Agreement: Inter and intra-regional perspectives," Energy Economics, Vol. 102, 2021, pp. 105530. 

  24. IMF, The Economics of Climate Change: The Case for Carbon Taxation, Washington, United States, 2019. 

  25. Kitzes, J., "An introduction to environmentally-extended input-output analysis," Resources, Vol. 2, No. 4, 2013, pp. 489~503. 

  26. Kuusi, T., M. Bjorklund, V. Kaitila, K. Kokko, M. Lehmus, and M. Mechling,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s and their economic impact on finland and the EU," Government's Analysis Assessment and Research Activities, Vol. 48, 2020, pp. 1~153. 

  27. Liang, S., T. Feng, S. Qu, A. S. Chiu, X. Jia, and M. Xu, "Developing the Chinese environmentally extended input-output (CEEIO) database," Journal of Industrial Ecology, Vol. 21, No. 4, 2021, pp. 953~965. 

  28. Miller, R. E., and P. D. Blair, Input-output analysis: foundations and extensions, Cambridge, United Kingd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29. Monjon, S., and P. Quirion, "A border adjustment for the EU ETS: Reconciling WTO rules and capacity to tackle carbon leakage," Climate Policy, Vol. 11, No. 5, 2011b, pp. 1212~1225. 

  30. Monjon, S., and P. Quirion, "Addressing leakage in the EU ETS: Border adjustment or output-based allocation?," Ecological Economics, Vol. 70, No. 11, 2011a, pp. 1957~1971. 

  31. Shapiro, J. S., "The environmental bias of trade policy,"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Vol. 136, No. 2, 2021, pp. 831~886. 

  32. Yang, Y., W. W. Ingwersen, T. R. Hawkins, M. Srocka, and D. E. Meyer, "USEEIO: A new and transparent United States environmentally-extended input-output model,"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Vol. 158, 2017, pp. 308~318. 

  33. Zhou, X., X. Liu, and S. Kojima, Carbon emissions embodied in international trade: An assessment from the asian perspective, Hayama, Japan, Institute for Global Environmental Strategies (IGES), 201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