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탄소 생태관광지표를 통한 환경 평가 -창원시 생태관광지역 6곳을 중심으로-
Environmental Evaluation through Low-carbon Ecotourism Index -Focusing on 6 Ecotourism Areas in Changwon City-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8 no.5, 2022년, pp.677 - 684  

장유미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  이승준 ((사)경남문화콘텐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창원시 생태환경 지역 평가를 통한 지역 활성화를 위한 기초연구로, 창원시의 생태환경 6곳을 선정하여 저탄소 관광지표를 통해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지는 창원시 6개 생태관광지역이며 각종 문헌자료 및 선행연구를 조사한 후 2021년 6월~7월 직접 방문한 현장조사 및 담당자 면담조사를 통해 생태관광지표를 확인하였다. 생태관광지표는 기후위기, 공기질 개선, 수자원 보전, 자연공존, 시민참여, 관광자원 관리 6가지 부문이다. 창원시 생태관광지역 6곳에 대한 점수를 살펴보면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이 자연공존과 공기질 개선 부문이다. 하지만 수자원보전 부문 점수가 가장 낮아 전체 지역이 수자원 보전에 취약하였으며 관광자원 관리, 기후위기, 시민참여는 전체 지역이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저탄소 생태관광지표를 통해 평가한 결과 공통적으로 적용될 방안으로 첫 번째로, 창원시 저탄소 생태관광 인증제 운영, 자연물 또는 경관 중심의 관광지를 대상으로 인증제도 운영, 스마트 기후환경도시 선포에 따른 후속 조치로써 활용, 환경표지제도를 벤치마킹한 창원시 저탄소 생태관광 등급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두 번째로, 생태관광지역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안내 및 홍보가 매우 중요하다. 마지막으로지속 가능한 지역 생태환경 활성화를 위해서 지역 거버넌스를 활용한 운영이 무엇보다 제고되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basic study to evaluate the ecological environment of Changwon City. The study site was 6 ecotourism districts in Changwon-si, and the ecotourism index was evaluated through direct visits and interviews with the person in charge through preliminary research and various literature dat...

주제어

표/그림 (8)

참고문헌 (16)

  1. M. Honey and A. Rome., Protecting Paradise: Certification Programs for Sustainable Tourism and Ecotourism, Washington: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pp.75-96, 2001. 

  2. H. S. Choi and H. A. Kim, "Development of Assessment Indicators and System for Ecotourism Design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ol. 21, No. 1, pp. 185-199, 2012. UCI : G704-000713.2012.21.1.001. 

  3. S. J. Kim, Fostering Sustainable Ecotourism Development, Korea Culture and Tourism Policy Institute, pp. 6-22, 2002. 

  4. K. Y. Kum, "New growth model of tourism industry in the era of low-carbon green growth," Policy Report 63, pp. 1-20, Seoul Research Institute, 2010. 

  5. M. H. Kang, H. Kim, and W. H. Lee., "A study on tourism companies' awareness for introduction of an environmental tourism certification program,"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ol. 13, No. 6, pp. 49-62, 2010. UCI : G704-000625.2010.13.6.013. 

  6.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Research on establishment of guidelines for low-carbon green tourism resource development,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p. 45, 2009. 

  7. J. K. Park and M. S. Kim, "Effect of Low-Carbon Environmental Information on Purchase Intention Toward Green Tourism Products," Journal of Tourism Sciences, Vol. 36, No. 2, pp. 119-139, 2012. UCI : G704-000001.2012.36.2.005. 

  8. M. G. Bae and C. S. Park,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Indicators for Low Carbon Ecotourism,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09 No. 0, pp. 1-114, 2009. 

  9. This graph shows the different activities that contribute to tourism's total carbon footprint. Data Source: Nature Climate Change, 2018. https://sustainabletravel.org/issues/carbon-footprint-tourism/ 

  10. S. R. Lee, Gyeonggi-do low-carbon green city planning criteria, Gyeonggi Development Institute, 2011. 

  11. Ministry of Environment, Guidelines for the Ecotourism Area Designation System, 2013. 

  12. J. H. Lee and H. Y. Le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Indicator Sets for Evaluating the Sustainable Eco-tourism and It's Appl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ol. 47, No. 6, pp. 853-869, 2012. UCI : G704-000550.2012.47.6.010. 

  13. S. H. Oh and S. H. Ko,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Awareness and Managerial Practice in SMTBs : A Case of Jeju Tourism Accommod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and Sciences, Vol. 21, No. 3, pp. 43-58, 2006. UCI : G704-000941.2006.21.3.007. 

  14. R. Buckley, "Tourism Ecolabels," 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 29, No. 1, pp. 183-208, 2002. https://doi.org/10.1016/S0160-7383(01)00035-4 

  15. V. Sasidharan,, E. Sirakaya, and D. Kerstetter, "Developing countries and tourism ecolabels," Tourism Management, Vol. 23, pp. 161-174 https://doi.org/10.1016/S0261-5177(01)00047-4 

  16. J. Warnken, M. Bradley, and C. Guilding, "Ecoresorts vs. mainstream accommodation providers : an investigation of the viability of benchmarking environmental performance," Tourism Management, Vol. 26, pp. 367-379, 2005. https://doi.org/10.1016/j.tourman.2003.11.01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