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곰팡이능 보유 유산균의 숙성치즈 적용 연구
Appl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to Inhibit Fungal Contamination of Cured Cheeses 원문보기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v.40 no.3, 2022년, pp.103 - 109  

김종희 (국립축산과학원 축산물이용과) ,  이은선 (국립축산과학원 축산물이용과) ,  김부민 (국립축산과학원 축산물이용과) ,  함준상 (국립축산과학원 축산물이용과) ,  오미화 (국립축산과학원 축산물이용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항균활성을 가진 유산균은 생균제 등의 형태로 식품 중 부패나 식중독을 유발하는 유해균을 저해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된장에서 분리한 유산균인 P. pentosaceus M132-2 균주를 주요 오염 곰팡이 3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이들의 생장을 모두 저해하여 항곰팡이능을 보유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M132-2 균주는 우수한 내염성과 저온내성을 가지고 있어 치즈의 염도와 저온의 숙성온도에서도 생존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M132-2 상등액을 실제 고다 치즈에 적용한 결과, 오염 곰팡이 생장이 현저하게 저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P. pentosaceus M132-2 균주는 치즈를 비롯한 다양한 식품의 부패 방지에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actic acid bacteria with antibacterial activity can be effectively used as probiotics to inhibit the growth of harmful bacteria that cause food spoilage or food poisoning. In this study, Pediococcus pentosaceus M132-2, isolated from soybean paste, was analyzed for its effects on three major contami...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식중독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보유하고 있고 항균표면(biofilm) 생성이 가능한 유산균인 Pediococcus pentosaseus를 치즈 숙성 과정 중 오염 곰팡이 제어에도 활용 가능한지 확인하기 위해 항곰팡이능과 환경 저항성 등 균주의 특성을 분석하고, 실제 치즈에 적용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Korea Dairy Industries Association. Dairy statistics [Internet]. 2021 [cited 2022 Sep 19]. Available from: http://www.koreadia.or.kr/file/statistics 

  2. Engels WJM. Volatile and non-volatile compounds in ripened cheese: their formation and their contribution to flavour. Wageningen, Netherland: Wageningen University & Research; 1997. 

  3. Brooks JC, Martinez B, Stratton J, Bianchini A, Krokstrom R, Hutkins R. Survey of raw milk cheeses for microbiological quality and prevalence of foodborne pathogens. Food Microbiol. 2012;31:154-158. 

  4. Kure CF, Skaar I. The fungal problem in cheese industry. Curr Opin Food Sci. 2019;29:14-19. 

  5. Serra R, Abrunhosa L, Kozakiewicz Z, Venancio A, Lima N. Use of ozone to reduce molds in a cheese ripening room. J Food Prot. 2003;66:2355-2358. 

  6. Kure CF, Wasteson Y, Brendehaug J, Skaar I. Mould contaminants on Jarlsberg and Norvegia cheese blocks from four factories. Int J Food Microbiol. 2001;70:21-27. 

  7. Visconti V, Rigalma K, Coton E, Dantigny P. Impact of intraspecific variability and physiological state on Penicillium commune inactivation by 70% ethanol. Int J Food Microbiol. 2020;332:108782. 

  8. Gougouli M, Koutsoumanis KP. Risk assessment of fungal spoilage: a case study of Aspergillus niger on yogurt. Food Microbiol. 2017;65:264-273. 

  9. Ohta T, Park BJ, Aihara M, Ri N, Saito T, Sawada T, et al. Morphological significance of Cladosporium contaminants on materials and utensils in contact with food. Biocontrol Sci. 2006;11:55-60. 

  10. Park SY, Lee NY, Kim SH, Cho JI, Lee HJ, Ha SD. Effect of ultraviolet radiation on the reduction of major food spoilage molds and sensory quality of the surface of dried filefish (Stephanolepis cirrhifer) fillets. Food Res Int. 2014;62:1108-1112. 

  11. Taniwaki MH, Hocking AD, Pitt JI, Fleet GH. Growth of fungi and mycotoxin production on cheese under modified atmospheres. Int J Food Microbiol. 2001;68: 125-133. 

  12. Dao T, Dantigny P. Control of food spoilage fungi by ethanol. Food Control. 2011; 22:360-368. 

  1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Food code [Internet]. 2017 [cited 2022 Sep 19]. Available from: https://foodsafetykorea.go.kr/foodcode/01_02.jsp?idx263 

  14. Kim JH, Lee ES, Song KJ, Kim BM, Ham JS, Oh MH. Development of desiccationtolerant probiotic biofilms inhibitory for growth of foodborne pathogens on stainless steel surfaces. Foods. 2022;11:831. 

  15. Shin HJ, Choi HJ, Kim DW, Ahn CS, Lee YG, Jeong YK, et al. Probiotic potential of Pediococcus pentosaceus BCNU 9070. J Life Sci. 2012;22:1194-1200. 

  16. Choi KC, Park HS, Lim YC. Pediococcus pentosaceus KCC-23 and composition containing it. KR patent 10-1700625. 2017. 

  17. Ruppitsch W, Nisic A, Hyden P, Cabal A, Sucher J, Stoger A, et al. Genetic diversity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isolates from traditional montenegrin brine cheese. Microorganisms. 2021;9:16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