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숏폼 브랜디드 콘텐츠 노출 유형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인지된 소속감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Determinants the Effect of Exposure Type of Short-form Branded Content on Consumer Respons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ense of Belonging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10, 2022년, pp.642 - 657  

김규리 (연세경영연구소) ,  최정혜 (연세대학교) ,  박경민 (연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4차 산업혁명팬데믹은 비대면 서비스에 대한 의존도를 높이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를 중심으로 각광 받고 있는 숏폼 브랜디드 콘텐츠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비대면 마케팅에 대한 새로운 전략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소셜 미디어 상에서 숏폼 브랜디드 콘텐츠를 공유하고 소통하는 사회적 시청 현상을 중심으로 노출 유형 (직접 시청 vs. 사회적 시청)이 숏폼 브랜디드 콘텐츠와 콘텐츠가 포함하고 있는 제품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더불어 인지된 소속감을 매개 변인으로 제시하고, 사회적 시청 과정에서 소비자가 인지하는 소속감이 노출 유형과 소비자 태도 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 효과를 주는지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노출 유형은 콘텐츠와 콘텐츠가 포함하고 있는 제품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또한 인지된 소속감 역시 매개 변인으로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ecame a decisive opportunity to increase our dependence on non-face-to-face services.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derive a new strategic plan for non-face-to-face marketing by discussing the short-form branded content currently in the spotlight among the digital ...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65)

  1. Y. Hu, "Research on the Commercial Value of Tiktok in Chin," Academic Journal of Business & Management, Vol.2, No.7, pp.57-64, 2020. 

  2. X. Zhang, Y. Wu, and S. Liu, "Exploring short-form video application addiction: Socio-technical and attachment perspectives," Telematics and Informatics, Vol.42, pp.1-15, 2019. 

  3. C. Lou and S. Yuan, "Influencer marketing: how message value and credibility affect consumer trust of branded content on social media," Journal of Interactive Advertising, Vol.19, No.1, pp.58-73, 2019. 

  4. 조병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환경에서의 영상콘텐츠산업 패러다임의 변화," 인문콘텐츠, No.63, pp.37-56, 2021. 

  5. 마리야오, 김소정, "광고 채널로서 틱톡 (TikTok) 사용, 동기, 반응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2, pp.507-519, 2021. 

  6. 이진, "숏폼 동영상 콘텐츠의 유형 연구," 인문콘텐츠, No.58, pp.121-139, 2020. 

  7. N. Tal-Or, "How co-viewing affects attitudes: The mediating roles of transportation and identification," Media Psychology, Vol.19, No.3, pp.381-405, 2016. 

  8. 김유정, 강경호, "유튜브 브랜디드 콘텐츠의 결론유형과 제품관여도의 상호작용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3, pp.10-17, 2020. 

  9. M. Napoli, "Revisiting 'mass communication' and the 'work' of the audience in the new media environment," Media, Culture & Society, Vol.32, No.3, pp.505-516, 2010. 

  10. D. Horrigan, "Branded content: a new model for driving Tourism via film and branding strategies," Tourismos: An International Multidisciplinary Journal of Trourism, Vol.4, No.3, pp.51-65, 2009. 

  11. B. Schmitt, "Experience marketing: Concepts, frameworks and consumer insights," Foundations and Trends® in Marketing, Vol.5, No.2, pp.55-112, 2011. 

  12. 이현우, 김운한, "디지털 사이니지의 매체결합 유형과 상호작용 전략: 유형별 미디어 크리에이티브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Vol.17, No.1, pp.33-41, 2016. 

  13. 이승영, "다채널 미디어 환경에서 브랜디드 콘텐츠마케팅의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1, pp.445-456, 2017. 

  14. 김종민, "브랜디드콘텐츠의 커뮤니케이션 기법에 관한 연구 (유형구분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4, pp.295-304, 2020. 

  15. S. Meng and L. Leung, "Factors influencing TikTok engagement behaviors in China: An examination of gratifications sought, narcissism, and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Telecommunications Policy, Vol.45, No.7, pp.1-15, 2021. 

  16. Z. Yang, D. Griffiths, Z. Yan, and W. Xu, "Can watching online videos be addictive? A qualitative exploration of online video watching among Chinese young adult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Vol.18, No.14, pp.1-14, 2021. 

  17. 오하영, 다매체 환경에서 가족의 TV공동시청에 관한 연구: 여대생 집단을 중심으로, 숙명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8. 신해진, 김진호, "텔레비전 공동시청의 영향요인과 특성 연구," 광고연구, No.32, pp.9-26, 1996. 

  19. 조은영, 최윤정, "왜 TV 를 시청하며 온라인 대화를 나누는가?:'사회적 시청'의 동기, 행위, 만족에 대한 연구," 방송통신연구, Vol.88, pp.9-46, 2014. 

  20. T. Bower, Television and the Public,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Inc., 1973. 

  21. 서동욱, 이정훈, 이상은, "사회적 시청에서 콘텐츠 몰입의 매개 효과에 대한 연구: 이용과 충족 이론을 중심으로,"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18, No.3, pp.31-62, 2017. 

  22. J. Short, E. Williams, and B. Christie, The Social Psychology of Telecommunications, Toronto; London; New York: Wiley, 1976. 

  23. 송하연, 김지현, 최윤정, "소셜 TV 시청: 다른 TV 시청자에 대한 지각과 사회적 현존감의 효과,"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8, pp.1543-1552, 2019. 

  24. L. KNAPP, Nonverbal communication in human interaction,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1972. 

  25. 진굉위, 이정, "전자상거래 라이브채팅의 유형이 소비자가 지각하는 판매자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과 신뢰에 미치는 영향," 지식경영연구, Vol.22, No.1, pp.287-308, 2021. 

  26. P. Dickson, C. Heeter, M. Rosenberg, P. Gomes, amd I. Artzi, Exploratory multi-media environments. In Adaptive Learning Environments (pp. 155-171), Springer, Berlin, Heidelberg, 1992. 

  27. L. McLeod, S. Baron, W. Marti, and K. Yoon, "The eyes have it: Minority influence in face-to-face and computer-mediated group discuss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2, No.5, p.706, 1997. 

  28. N. Durlach and M. Slater, "Presence in shared virtual environments and virtual togetherness," Presence: Teleoperators & Virtual Environments, Vol.9, No.2, pp.214-217, 2000. 

  29. V. Jin, E. Ryu, and A. Muqaddam, "I trust what she's #endorsing on Instagram: moderating effects of parasocial interaction and social presence in fashion influencer marketing,"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Vol.25, No.4, pp.665-681, 2021. 

  30. J. Kim, H. Song, and S. Lee, "Extrovert and lonely individuals' social TV viewing experiences: A mediating and moderating role of social presence," Mass Communication and Society, Vol.21, No.1, pp.50-70, 2018. 

  31. J. Kim, K. Merrill Jr, C. Collins, and H. Yang, "Social TV viewing during the COVID-19 lockdown: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presence," Technology in Society, Vol.67, pp.489-503, 2021. 

  32. J. Huang, S. Su, L. Zhou, and X. Liu, "Attitude toward the viral ad: Expanding traditional advertising models to interactive advertising," Journal of Interactive Marketing, Vol.27, No.1, pp.36-46, 2013. 

  33. A. Lutz and J. Lutz, "Effects of interactive imagery on learning: Application to advertising,"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62, No.4, p.493, 1977. 

  34. C. Olson, R. Toy, and A. Dover, "Do cognitive responses mediate the effects of advertising content on cognitive structur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9, No.3, pp.245-262, 1982. 

  35. L .Wright, "The cognitive processes mediating acceptance of advertising,"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0, No.1, pp.53-62, 1973. 

  36. D. Southgate, N, Westoby, and G. Page, "Creative determinants of viral video viewing," International Journal of Advertising, Vol.29, No.3, pp.349-368, 2010. 

  37. M. Waqas, L. Hamzah, and M. Salleh, Customer experience with the branded content: A social media perspective, Online Information Review, 2021. 

  38. 이은주,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트위터-향후 연구의 방향과 과제," 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 Vol.48, pp.29-58, 2011. 

  39. 문영주, 이종호, "온라인 커뮤니티 명성, 사회적 실재감, 상호작용성, 즐거움이 성과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신뢰와 몰입을 매개로," e-비즈니스연구, Vol.9, No.1, pp.75-99, 2008. 

  40. C Kim, E. Shin, A. Cho, E. Jung, K. Shon, and H. Shim, "SNS dependency and community engagement in urban neighborhoods: The moderating role of integrated connectedness to a community storytelling network," Communication Research, Vol.46, No.1, pp.7-32, 2019. 

  41. R. Abrams and H. Giles, "Ethnic identity gratifications selection and avoidance by African Americans: A group vitality and social identity gratifications perspective," Media Psychology, Vol.9, No.1, pp.115-134, 2007. 

  42. P. Haridakis and G. Hanson, "Social interaction and co-viewing with YouTube: Blending mass communication reception and social connection,"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53, No.2, pp.317-335, 2009. 

  43. S. Chai and M. Kim, "A socio-technical approach to knowledge contribution behavior: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social networking sites users,"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Vol.32, No.2, pp.118-126, 2012. 

  44. H. Lin, W. Fan, and Y. Chau, "Determinants of users' continuance of social networking sites: A self-regulation perspective," Information & Management, Vol.51, No.5, pp.595-603, 2014. 

  45. F. Baumeister and R. Leary, "The need to belong: Desire for interpersonal attachments as a fundamental human motivation," Interpersonal Development, pp.57-89, 2017. 

  46. 안선영, 박남기, "TV 드라마의 사회적 시청 행위가 프로그램 시청성과에 미치는 영향: 사회 정체성 이론의 적용," 한국방송학보, Vol.31, No.6, pp.81-117, 2017. 

  47. W. Gao, Z. Liu, and J. Li, "How does social presence influence SNS addiction? A belongingness theory perspectiv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77, pp.347-355, 2017. 

  48. 최윤정, "관계적 시청 (relational viewing)의 시대: 텔레비전 시청과 1 인 미디어 이용에서 형성되는 관계성 비교,"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6, No.1, pp.107-151, 2020. 

  49. 최윤정, 권상희, "소셜시청에서 경험하는 사회적 현존감 형성요인과 사회적 현존감이 시청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Vol.29, No.5, pp.242-276, 2015. 

  50. 장윤재, 김미라, "정서적 허기인가 정보와 오락의 추구인가?: 먹방.쿡방 시청동기와 시청경험, 만족도의 관계," 한국방송학보, Vol.30, No.4, pp.152-185, 2016. 

  51. 유병관, 송지희, 이성호, "인터넷 쇼핑몰에서 사회적 실재감 (Social Presence) 이 소비자들의 인지된 상호작용성 (Perceived Interactivity)에 미치는 영향," e-비즈니스연구, Vol.10, No.3, pp.395-414, 2009. 

  52. 한은경, 임수현, "소셜 미디어의 신뢰도가 광고 효과 에 미치는 영향광고 신뢰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광고연구, No.92, pp.7-29, 2012. 

  53. B. Lu, W. Fan, and M. Zhou, "Social presence, trust, and social commerce purchase intention: An empirical research,"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56, pp.225-237, 2016. 

  54. 김칠순, 유결, "중국 여성 시청자들의 드라마 시청 후 태도, 브랜드 신뢰감, 연예인 동조성, 패션 유행 의식이 PPL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별에서 온 그대" 한국 드라마 시청자를 대상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3, pp.223-233, 2017. 

  55. M. Hassan, Z. Iqbal, and B. Khanum, "The role of trust and social presence in social commerce purchase intention," Pakistan Journal of Commerce and Social Sciences, Vol.12, No.1, pp.111-135, 2018. 

  56. 이은선, "소셜미디어 인플루언서의 준사회적 상호작용과 관계가 이용자의 브랜드 태도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3, pp.270-281, 2021. 

  57. 김철호, "상호작용성, 소속감, 정보 수용자의 만족, 그리고 부정적 구전 감소 의지: 이러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Vol.24, No.1, pp.235-255, 2013. 

  58. 송유진, 최세정, "기업의 유튜브 채널에서 활용된 광고 전략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브이로그(Vlog) 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8, pp.32-48, 2021. 

  59. H. Patch, Which factors influence Generation Z's content selection in OTT TV?: A Case Study, Available at: http://www.diva-portal.org/smash/get/diva2:1232633/FULLTEXT01.pdf, 2018. 

  60. 박경인, 조창환, "브랜드의 사회적 실재감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Vol.26, No.5, pp.213-241, 2015. 

  61. E. Escalas, "Narrative processing: Building consumer connections to brands,"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Vol.14, No.1-2, pp.168-180, 2004. 

  62. H. Lien and L. Chen, "Narrative ads: The effect of argument strength and story format,"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66, No.4, pp.516-522, 2013. 

  63. 이학식, (사회과학 연구를 위한) 회귀분석, 집현재, 2012. 

  64. R. Hayes, The complete problem solver, Routledge, 2013. 

  65. 김현지, 오세림, 조수빈, "숏폼 콘텐츠 트렌드," 마케팅, Vol.54, No.7, pp.60-69, 20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