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이용한 된장과 간장의 미생물 분포 및 바이오마커 분석
Comparative Microbiome Analysis of and Microbial Biomarker Discovery in Two Different Fermented Soy Products, Doenjang and Ganjang, Using Next-generation Sequencing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32 no.10, 2022년, pp.803 - 811  

하광수 ((재)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  정호진 ((재)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  노윤정 ((재)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  김진원 ((재)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  정수지 ((재)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  정도연 ((재)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  양희종 ((재)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전통 콩 발효식품은 탄수화물을 주식으로 하는 한국인의 식생활에 중요한 단백질 급원임에도 불구하고 콩 발효식품의 미생물 다양성과 군집 구조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는 16S rDNA 유전자 서열 분석 기반의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이용하여 한국 전통 발효식품인 된장과 간장의 미생물 군집 구조를 밝히고자 하였다. Alpha-diversity 분석 결과 미생물 다양성 지표인 Shannon과 Simpson에서 된장과 간장의 미생물 다양성에 통계학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종 풍부도 지표인 ACE, CHAO, Jackknife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된장과 간장의 미생물 분포 분석 결과 된장과 간장의 공통적인 우점균은 Firmicutes로 나타났으나, 속 수준에서의 미생물 분포를 분석한 결과 된장에서 Bacillus, Kroppenstedtia, Clostridium, Pseudomonas가 간장보다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장에서는 Tetragenococcus, Chromhalobacter, Lentibacillus, Psychrobacter와 같은 호염성 또는 내염성 세균이 된장보다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된장과 간장의 미생물 군집구조에 통계학적인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paired-PERMANOVA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통계학적으로 매우 유의한 수준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된장과 간장의 미생물 군집구조 차이에 큰 영향을 미치는 biomarker를 분석하기 위해 LEfSe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Bacillus와 Tetragenococcus가 된장과 간장의 미생물 군집 구조에 차이를 나타내는 biomarker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spite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foods, little is known about the microbial communities and diversity of fermented soy products. To gain insight into the unexplored microbial communities of both Doenjang (DJ) and Ganjang (GJ) that may contribute to the fermentation in Korean tr...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염기서열분석법을 활용하여 우리 전통발효식품의 주원료로 사용되는 메주로부터 제조되는 대표적인 콩 발효식품인 된장과 간장의 미생물 다양성과 미생물 군집구조를 비교분석하여 된장과 간장의 미생물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hen, B., He, X., Pan, B., Zou, X. and You, N. 2020. Comparison of beta diversity measures in clustering the high-dimensional microbial data. PLoS One 16, e0246893. 

  2. Chun, B. H., Ham, D. M., Kim, H. J., Park, D. B., Jeong, D. M., Kang, H. A. and Jeon, C. O. 2021. Metabolic features of Ganjang (a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fermentation revealed by genome-centred metatranscriptomics. ASM. 6, e0044121. 

  3. Chun, J. S., Lee, J. H., Jung, Y. Y., Kim, M. J., Kim, S. I., Kim, B. K. and Lim, Y. W. 2007. EzTaxon: a web-based tool for the identification of prokaryotes based on 16S ribosomal RNA gene sequences. Int. J. Syst. Evo. Microbiol. 57, 2259-2261. 

  4. Goeder, J. J., Hua, X., Yu, G. and Shi, J. 2014. Diversity and composition of the adult fecal microbiome associated with history of cesarean birth or appendectomy: Analysis of the American gut project. EBioMedicine 1, 167-172. 

  5. Ha, S. M. and Chun, J. S. 2017. Introducing EzBioCloud: A taxonomically united database of 16S rRNA and whole genome assemblies. Int. J. Syst. Evol. Microbiol. 67, 1613-1617. 

  6. Illumina. 2013. 16S metagenomic sequencing library preparation protocol: Preparing 16S ribosomal RNA gene amplicons for the Illumina MiSeq system. Part no. 15044233 Rev B. Illumina, San Diego, CA. http://support.illumina.com/documents/documentation/chemistry_documentation/16s/16s-metagenomic-library-prep-guide-15044223-b.pdf 

  7. Izumi, T., Piskula, M. K., Osawa, S., Obata, A., Tobe, K., Saito, M., Kataoka, S., Kubota, Y. and Kikuchi, M. 2000. Soy isoflavone aglycones are absorbed faster and in higher amounts than their glucosides in humans. J. Nutr. 130, 1695-1699. 

  8. Koh, H. W., Rani, S., Hwang, H. B. and Park, S. J. 2016.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from Jeju marine sediment. Kor. J. Microbiol. 52, 375-379. 

  9. Ku, K. H., Park, K. M., Kim, H. J., Kim, Y. S. and Koo, M. S.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Deonjang by aging period. J. Kor. Soc. Food Sci. Nutr. 43, 720-728. 

  10. Kwon, S. H., Lee, K. B., Im, K. S., Kim, S. O. and Park, K. Y. 2006. Weight reduction and lipid lowering effects of Korean traditional soybean fermented products. J. Kor. Soc. Food Sci. Nutr. 35, 1194-1199. 

  11. Lee, B. J. and Eo, S. H. 2017. Soil bacterial community in red pine forest of Mt. Janggunbong, Bonghwa-Gun, Gyeongbuk, Korea, using next generation sequencing. J. Kor. For. Soc. 106, 121-129. 

  12. Lee, J. G., Kwon, K. I., Choung, M. G., Kwon, O. J., Choi, J. Y. and Im, M, H. 2009. Quality analysis on the size and the preparation method of Meju for the preparation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Kanjang). J. Appl. Bio. Chem. 52, 205-211. 

  13. Lee, J. M., Heo, S. J., Kim, Y. S., Lee, J. H. and Jeong, D. W. 2020. Culture-dependent and -independent investigations of bacterial migration into doenjang from its components meju and solar salt. PLoS One 15, e0239971. 

  14. Lee, M. H., Park, Y. H., Oh, H. S. and Kwak, T. S. 2002. Isoflavone content in soybean and its processed products. J. Kor. Soc. Food Sci. Nutr. 34, 365-369. 

  15. Lee, N. R., Lee, S. M., Go, T. H., Jeong, S. Y., Hong, C. O., Kim, K. K., Park, H. C., Lee, S. M., Kim, Y. G. and Son, H. J. 2013.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Chungkookjang prepared using different soybean. J. Environ. Sci. Int. 22, 723-732. 

  16. Lee, S. H., Lee, M. Y., Lim, S. R. and Bae, J. H. 2013. Determination of amounts of benzoic acid and propionic acid in fermented soybean products. J. Kor. Soc. Food Sci. Nutr. 45, 565-570. 

  17. Lim, S. Y., Rhee, S. H. and Park, K. Y. 2004. Inhibitory effect of methanol extract of Doenjang on growth and DNA synthesis of human cancer cells. J. Kor. Soc. Food Sci. Nutr. 33, 936-940. 

  18. Liu, D., Chen, Q., Zhang, P., Chen, D. and Howell, K. S. 2020. The fungal microbiome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Vineyard ecosystems and correlates with regional distinctiveness of Wine. Appl. Environ. Sci. 5, e00534-20. 

  19. Park, C. H., Eun, C. S. and Han, D. S. 2018. Intestinal microbiota, chronic inflammation, and colorectal cancer. Intest. Res. 16, 338-345. 

  20. Segata, N., Izard, J., Waldron, L., Gevers, D., Miropolsky, L., Garrett, W. S. and Huttenhower, C. 2011. Metagenomic biomarker discovery and explanation. Genome Biol. 12, R60. 

  21. Seol, K. H., Kim, H. W., Yoo, J. Y., Yun, J. H., Oh, M. H. and Ham, J. S. 2021. Gut microbiome and Alzheimer's disease. J. Dairy Sci. Biotechnol. 39, 94-103. 

  22. Song, D. H., Chun, B. H., Lee, S. M., Son, S. Y., Reddy, C. K., Mun, H. I., Jeon, C. O. and Lee, C. H. 2021. Comprehensive metabolite profiling and microbial communities of Doenjang (fermented soy paste) and Ganjang (fermented soy sauce): A comparative study. Foods 10, 641. 

  23. Unno, T. 2013. Toward the fecal microbiome project. Kor. J. Microbiol. 49, 415-418. 

  24. Wang, P., Gao, X., Li, Y. Wang, S., Yu, J. and Wei, Y. 2020. Bacillus natto regulates gut microbiota and adipose tissue accumulation in a high-fat diet mouse model of obesity. J. Funct. Foods 68, 103923. 

  25. Yang, H. J., Kim, M. J. and Hong, S. P. 2019. Anti-diabetic effect of Ganjang and Doenjang in different aging periods. 2019. J. Food Preserv. 26, 300-307. 

  26. Zabat, M. A., Sano, W. H., Wurster, J. I., Cabra, D. J. and Belenky, P. 2018. Microbial community analysis of Sauerkraut fermentation reveals a stable and rapidly established community. Foods 7, 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