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유행 시기 신규 보건교사의 교직 적응에 대한 FGI연구
An FGI Study on the Adaptation of Beginning Health Teachers During the COVID-19 Era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8 no.6, 2022년, pp.317 - 326  

최성광 (광주광역시교육청) ,  최미정 (조선간호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신규 보건교사들의 코로나-19 시기에 교직적응 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 해결과정, 그리고 그것이 시사하는 바를 알아보기 위해 J도에 발령받은 3명의 신규 보건교사들을 대상으로 FGI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코로나-19 업무처리 과정에서 수많은 전화와 매일의 학교 현황보고 과정에서 특히 학부모들과 관계의 어려움이 있었다. 코로나-19 업무가 어느 정도 익숙해진 이후에는 보건실 업무를 혼자서 고민해야 한다는 부담감, 다양한 학생을 대상으로 한 보건 수업의 어려움, 응급상황에서 유일한 의료인으로서 전문성을 발휘해야 한다는 부담감을 느끼고 있었다. 둘째, 신규 보건교사들은 교직 적응과정에서 느낀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온라인을 통한 보건교사 소모임, 유튜브 등을 통해 계속해서 관련 정보를 공유하며 소통하고 있었다. 셋째, 이러한 교직 적응 과정이 시사하는 바는 교육청 차원에서 신규 보건교사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구체적인 연수가 필요하고, 보건수업과 관련한 수업 콘텐츠 등의 인프라를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ree health teachers assigned to J-do were analyzed through the FGI research method to find out the difficulties, resolution process, and implications of new health teachers in adapting to teaching during COVID-19.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were difficulties in relations...

주제어

참고문헌 (23)

  1. H. J. Yang. "Differences in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emotions according to the degree of self-elasticity of college freshmen in COVID19.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6(3), pp.75-81, 2020. https://doi.org/10.17703/ JCCT.2020.6.3.135 

  2. B. Hussin & N. Niknejad, "Thematic analysis for classifying the e-learning challenges and the suggested solutions: The unusual era of the COVID-19",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13(4), pp.79-89, 2021.https://dx.doi.org/10.7236/IJIBC 2021.13.4.79 

  3. O. Y. Woo, "Challenges of the new corona-19 and health education-based preventive cooperation system", Journal of Political Criticism, 26, pp.81-135, 2020. 

  4. M. R. Yim, Factors affecting infection control of school health teachers during the COVID-19 outbreak. Gyeongsang National Univ.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2021. 

  5. S. Veenman, "Perceived problems of beginning teacher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4(2), pp.143-178, 1984. 

  6. L. G. Katz, "Developmental stages of preschool teachers".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73(1), pp.50-54, 1972. 

  7. C. Lacey, The Socialization of Teachers(RLE Edu N), Routledge, 2012. 

  8. G. W. Wang, "Why do new teachers leave school?", The Kyunghyang Shinmun(2019.05.20.) http://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code115&art_id201905101718331 

  9. S. M. Yim, I. H. Yang, & S. W. Kim,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field education in the context of COVID-19 based on the teaching",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1(2), pp. 371-400, 2021. 

  10. Y. R. Song, A case study on the professional adaption of beginning middle school teachers. Korea National Univ. of Education Graducate School, 2016. 

  11. E. J. Kim, An experiential analysis on the relational conflict of the beginn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2017. 

  12. A. R. Cho, "A case report of the COVID-19 outbreak response by a middle school health teacher in a mountain village", Journal of Korean Acad Rural Health Nurs Vol. 16 No. 2, 54-59, December, 2021. https://doi.org/10.22715/jkarhn.2021.16.2.54 

  13. D. R. An, A narr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school health teachers responding to COVID19 Pandemic in schools. Kyonggi Univ.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2022. 

  14. T. L. Yo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for cultural and historical studies, Seoul: Arche, 2005. 

  15. D. Morgan, Focus group as qualitative research, Newbury Park, CA: Sage, 1997. 

  16. B. Gibson, "Learning from focus group discussions". In Johnson, E.(eds.), Teachers' narrative inquiry as professional development. NY: Cambridge Univ., 2022. 

  17. G. B. Kim,, K. L. Shin,, S. S. Kim., E. K. Yoo., & N. C. Kim,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Seoul: Hyeonmunsa, 2005. 

  18. J. A. Hatch, Doing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settings, Suny Press, 2002. 

  19. M. Niessen, Interpretative methodologie, Munich: Fink, 1977. 

  20. U. Flick, An introduction to qualitative research, Sage, 2022. 

  21. J. A. Hatch, Doing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setting. State Univ. of New York Press, 2008. 

  22. L. Darling-Hammond, "How teachers education matters?", Journal of Teachers Education, 51(3), pp.166-173, 2000. 

  23. J. Randi & M. Zeichner. "New visions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Smylie, M. A. & Miretzky, D.(Eds.), Developing the teacher workforce: 103rd year book of NSSE(pp.180-227), Chicago: Univ. of Chicago,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