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구중심 공과대학에서 창의교육의 개선방향 탐색
Exploring Creativity Education in Research-oriented College of Engineering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26 no.1, 2023년, pp.45 - 57  

신수현 (서울대학교 공학연구원) ,  김성우 (서울대학교 공학전문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paper is to find directions for improving creativity education in a research-oriented college of engineering. As a method, we interviewed 17 professors and 7 students from a research-oriented college of engineering in Seoul, South Korea and learned about their experiences related to ...

주제어

참고문헌 (19)

  1. 강승희(2009). 공과대학생의 창의적 성취에 영향을 주는 요인?탐색: 경진대회 수상팀을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12(3), 59-72 

  2. 김광선(2015). 공학교육 패러다임 변화의 방향. 

  3. 김세직(2021). 모방과 창조 서울대 김세직 교수의 새로운 한국?경제학 강의 모방과 창조. 브라이트. 

  4. 김세직.정운찬(2007). 미래 성장동력으로서의 창조형 인적자본과 이를 위한 교육개혁. 경제논집 46. 

  5. 남창우.이영태(2020). [공학교육 Part 2] 포스트 코로나 공학?교육에 대한 소고(小考) - 포스트 코로나 교육의 대전환을 위한 공학교육의 중단기적 계획. 인재니움, 27(2), 31-33. 

  6. 민철구.이춘근(2000). 연구중심대학의 효과적 육성방안. 정책연구, 1-146. 

  7. 신선경(2020).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공학교육 혁신 전략 - 6인의 공학교육 리더들에게 묻고 답하다. 인재니움, 27(4),?79-95. 

  8. 여명석 외(2015). 공과대학 창의설계공간 구축 연구과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정책과제. 

  9. 이정동(2015). 축적의 시간 : 서울공대 26명의 석학이 던지는 한국 산업의 미래를 위한 제언. 지식 노마드. 

  10. 이정동(2017). 축적의 길 : 축적의 길 축적의 시간 두 번째 이야기. 지식노마드. 

  11. 이정동(2022). 최초의 질문 : 기술 선진국의 조건. 민음사. 

  12. 임철일.김영전.김동호(2012). 공과대학 학생들의 창의성교육에?관한 인식. 공학교육연구, 15(2), 30-37. 

  13. 임철일.홍미영.이선희(2011). 공학교육에서의 창의성 증진을?위한 학습환경 설계모형. 공학교육연구, 14(4), 3-10. 

  14. 황농문 외, 서울대학교 창의성교육을 위한 교수모임. (2018).?창의 혁명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 창조형 인재, 어떻게 키울 것인가?. 코리아닷컴. 

  15. Cropley, D. H.(2015). Promoting creativity and innovation?in engineering education. Psychology of Aesthetics,?Creativity, and the Arts, 9(2), 161. 

  16. S.-W., Kim(2020). Kepler vs Newton: Teaching?programming and math to almost all-majors in a single?classroom.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eaching,?Assessment, and Learning for Engineering. 

  17. S.-W., Kim(2020). Hierarchical Curriculum Structure in?Academic Makerspaces. International Journal of Academic?Makerspaces and Making. 

  18. S.-W., Kim(2020). An interdisciplinary capstone course?on creative product development with cross-college?collabor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36(3), 919-928. 

  19. Wankat, P.(2004). The Emerging Discipline Of Engineering?Education. Association for Engineering Education -?Engineering Library.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