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빅데이터로 살펴본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가사노동과 돌봄: 플랫폼을 통한 가사서비스 양상 변화
Housework and Care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rough Big Data: Changes in the Aspects of Household Service based on the Platform 원문보기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v.27 no.1, 2023년, pp.13 - 24  

이현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부) ,  권순범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4차 산업혁명은 가정생활 깊숙이 들어와 가사노동과 돌봄의 방식을 변화시켰다. 4차 산업혁명 기술 변화로 초래된 가정의 변화는 가사노동 사회화 측면에서 두드러진다.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가속화되고 있는 가사노동 사회화 현상을 "플랫폼"을 통한 "가사서비스" 양상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4차 산업혁명 기술변화가 가속화되기 시작한 2015년 이후 전국일간지와 경제지를 대상으로 관련 신문기사를 추출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하였다. 빅데이터 분석결과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플랫폼 경제가 기업 비즈니스 차원뿐만 아니라 공공정책 차원에서 가사노동 사회화를 급속하게 확산시키고 있음을 보여준다. 플랫폼을 통한 가사서비스 지원이 기업의 새로운 사업 영역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공공정책 차원에서 맞벌이가정이나 한부모가정의 일⸱가정 양립 지원이나 감염병 대응과 관련하여 중요한 정책과제로 다뤄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기술로 인한 가사노동과 돌봄의 변화를 통해 향후 가사노동과 돌봄에 대한 가정, 시장, 국가의 역할과 과제를 성찰하는 계기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ame deep into family life and changed the way of housework and care. The change in the family caused by the technological chan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remarkable in terms of socialization of housework. In this study, the socialization of housework, which ...

주제어

참고문헌 (28)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22). 2021 O2O 서비스 산업 시장 조사 결과보고서. 세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 김종규.원만회(2018). 4차 산업혁명 시대와 플랫폼으로서의 교양교육. 인문과학, 70, 211-237. DOI: 10.31310/HUM.070.08.? 

  3. 김진하.황민영(2021). 코로나19 이후 가사서비스 시장 변화에 따른 이용자 지원과 근로자 고용 개선방안. 서울 : 서울연구원.? 

  4. 김현지.박서정.송채민.송민(2019). 조현병과 정신분열병에 대한 뉴스 프레임 분석을 통해 본 사회적 인식의 변화.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3(4), 285-307.? 

  5. 노동법률(2021.3.29). 가사근로자 최초로 직고용한 '대리주부' 한정훈 대표, "고용이 변해야 시장도 변한다". https://m.worklaw.co.kr/view/view.asp?in_cate104&bi_pidx32168&keyword.? 

  6. 박대민(2013). 뉴스 기사의 빅데이터 분석 방법으로서 뉴스정보원연결망분석. 한국언론학보, 57(6), 234-262.? 

  7. 박현정.김한나.홍유정(2017).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학생인권조례의 사회적 이슈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8(4), 683-711.? 

  8. 벤처스퀘어(2022.11.7). 시니어 돌봄 플랫폼 케어닥, SKT와 업무협약 체결. https://www.venturesquare.net/867266.? 

  9. 보건복지부(2022.5.16). 맞벌이.한부모 가정 등에 대한 가사서비스 지원 시작. 보도자료.? 

  10. 브라보마이라이프(2022.9.5). 실버테크 입고 도약하는 스마트 돌봄.요양 서비스. https://bravo.etoday.co.kr/vIew/atc_view/13915.? 

  11. 서울경제(2022.1.5). 청소연구소, 서비스 5년만 홈클리닝 350만건 달성. https://www.sedaily.com/NewsView/260QXPZCGQ.? 

  12.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2021). 더 많은 시간을 집에서 보내는 코로나 시대, 새삼 가치를 인정 받는 '가사 노동'의 중요성. https://www.trendmonitor.co.kr/tmweb/trend/allTrend/detail.do?bIdx2046&code0401&trendTypeCKOREA.? 

  13. 유예림(2017).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한 2015 개정 교육과정 정책에 대한 언론보도 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윤호준.박재현.윤지운(2019). 비정형 텍스트 자료에서 잠재정보 추출을 위한 토픽모델링 소개: 치매관련 신체활동 뉴스 기사의 이슈 분석. 체육과학연구, 30(3), 501-512. DOI: 10.24985/kjss.2019.30.3.501.? 

  15. 이다혜(2017). 공유경제(sharing economy)의 노동법적 쟁점: 미국에서의 근로자성 판단 논의를 중심으로. 노동법연구, 42, 401-441.? 

  16. 이동현(2016). 스마트홈 시장의 고속성장, 월간 SW중심사회 2016년 2월호.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17. 이현아(2021a). 중년세대의 가사노동 변화 트렌드.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5(1), 47-61. DOI: 10.22626/jkfrma.2021.25.1.004.? 

  18. 이현아(2021b). 코로나19시대, 가사노동과 돌봄 정책에 대한 수요와 대처.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추계학술대회 구두발표.? 

  19. 이현아.김은정.김유경(2022). 가사노동과 돌봄 정책. 서울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 전자신문(2021.7.18). 2년뒤 국내스마트홈 시장 100조원 넘는다. '글로벌 표준 대응 절실'. https://www.etnews.com/20210716000122.? 

  21. 조선일보(2020.2.19). 가사 근로자 1000명 직접고용 나선 대리주부 플랫폼 업체.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2/14/2020021402605.html.? 

  22. 통계청(2021.6.21). 2019년 가계생산 위성계정(무급 가사노동가치 평가). 보도자료.? 

  23. 플래텀(2022.4.26). 홈서비스 미소, 누적 주문 수 500만...누적 거래액 3500억 원. https://platum.kr/archives/184776.? 

  24. 한국언론진흥재단(2022). 빅카인즈 사용자 매뉴얼. 서울:한국언론진흥재단.? 

  25. 한국일보(2019.12.7). "플랫폼 경제 희망과 우려... 다양한 노조 형태 맞게관련법 정리를".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912050974312028.? 

  26. 현대카드.현대캐피탈 뉴스룸(2019.11.19). '편리미엄' 얹은 가사서비스... 3년만에 결제 규모 3배 증가. https://newsroom.hcs.com/front/board/편리미엄-얹은-가사서비스-3년새-결제-규모-3배-증가.? 

  27. Cao, J., Xia, T., Li, J., Zhang, Y. & Tang, S.(2009). A density-based method for adaptive LDA model selection. Neurocomputing, 72(7-9), 1775-1781. DOI: 10.1016/j.neucom.2008.06.011.? 

  28. Zhao, W. X., Jiang, J., Weng, J., He, J., Lim, E. P., Yan, H. & Li, X.(2011). Comparing twitter and traditional media using topic models. In European conference on information retrieval (pp. 338-349). Springer, Berlin, Heidelberg. DOI: 10.1007/978-3-642-20161-5_34.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