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데이터 리터러시 역량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ata Literacy Competency Building Measures: Focusing on Research Data Management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7 no.1, 2023년, pp.115 - 137  

김주섭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연구데이터융복합연구소) ,  김선태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연구데이터융복합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 및 연구기관의 소속 연구자를 위한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가이드를 제시하는 것이다. 해당 프로그램 가이드를 제시하기 위하여 먼저, 해외 연구데이터 관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조사 및 분석 대상 교육 프로그램은 RDMRose, RDMLA, DataONE, 캐나다 디지털 연구 연합, NNLM, 파르테노스 그리고 Coursera이다. 또한 해당 교육 프로그램의 적절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연구된 데이터 리터러시 세부 역량을 통해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데이터 리터러시 세부 역량을 대부분 충족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조사 및 분석한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종합하여 연구자를 위한 프로그램 가이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 및 기관에 소속된 연구자에게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활성화할 수 있는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guide for the development of research data management education programs for researchers affiliated with domestic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ions. In order to present the relevant program guide, first, we investigated and analyzed educational programs...

주제어

표/그림 (12)

참고문헌 (27)

  1. Bae, Hwasoon (2019). Social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data literacy. Theory and Research?in Citizenship Education, 51(1), 95-120. https://doi.org/10.35557/trce.51.1.201903.004 

  2. Han, Mi-Young, Jeong, Dae-Hong, & Kim, Hyunjung (2022). A case study of the data-based?scientific inquiry. School Science Journal 16(2), 165-178. https://doi.org/10.15737/ssj.16.2.202205.165 

  3. Kim, Jihyun (2018). A content analysis of research data management training programs at the?university libraries in North America: focusing on data literacy competencies. Journal of?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5(4), 7-36.?https://doi.org/10.3743/KOSIM.2018.35.4.007 

  4. KISTI (2023). KISTI Science Data Education Center. Available: https://kacademy.kisti.re.kr/ 

  5. National Library of Korea. (2022). Librarians Education. Available: https://edu.nl.go.kr/ 

  6. Song, Yu-Kyeong, Song, Suk-Ree, KIm, Ye-Ji, & Lim, Cheol-Il (2021). A developmental study?of an instructional model and strategies for Data-Driven Debate (DDD) to improve data?literacy.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7(4), 943-982.?http://dx.doi.org/KSET.3724.943 

  7. ACRL (2015). Framework for Information Literacy for Higher Education. Available:?https://www.ala.org/acrl/sites/ala.org.acrl/files/content/issues/infolit/framework1.pdf 

  8. Anna, M. T. & Vittore C. (2014). Research data management in the curriculum: an interdisciplinary?approach. Procedia Computer Science, 38, 138-142.?https://doi.org/10.1016/j.procs.2014.10.023 

  9. Baykoucheva, S. (2015). Managing Scientific Information and Research Data. Waltham, MA:?Chandos Publishing, 80. 

  10. Carlson, J., Fosmire, M., Miller, C. C., & Nelson, M. S. (2011). Determining data information?literacy needs: a study of students and research faculty. portal: Libraries and the Academy,?11(2), 629-657. http://doi.org/10.1353/pla.2011.0022 

  11. coursera (2022). Research Data Management and Sharing. Available:?https://www.coursera.org/learn/data-management#syllabus 

  12. Cox, A. & Verbaan, E. (2022). RDMRose. The University of Sheffield. Collection.?https://doi.org/10.15131/shef.data.c.5859834.v1 

  13. D'Ignazio, C. & Bhargava, R. (2015). Approaches to Building Big Data Literacy. In Bloomberg?Data for Good Exchange 2015. New York, NY, USA. 

  14. Data Journalism Handbook [n.d.]. Become Data Literate in 3 Simple Steps. Available:?https://datajournalism.com/read/handbook/one/understanding-data/become-data-literate-in-3-simple-steps 

  15. DataON [n.d.]. Data Management Skillbuilding Hub. Available:?https://dataoneorg.github.io/Education/ 

  16. Digital Research Alliance of Canada (2022). Training Resources. Available:?https://alliancecan.ca/en/services/research-data-management/learning-and-training/training-resources 

  17. Emily, P. F. & Nils, P. (2016). Academic librarians in data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a?case study in meteorology. College & Research Libraries, 77(4), 536-552. https://doi.org/10.5860/crl.77.4.536 

  18. Koltay, T. (2017). Data literacy for researchers and data librarians. Journal of Librarianship and?Information Science, 49(1), 3-14. https://doi.org/10.1177/096100061561645 

  19. Mosha, N. & Ngulube, P. (2022). Teaching research data management courses in higher learning?institutions in Tanzania. Library Management, (ahead-of-print).?https://doi.org/10.1108/LM-04-2022-0033 

  20.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22). Class Catalog. Available:?https://www.nnlm.gov/training/class-catalog 

  21. PARTHENOS (2020). TRANING MODULES. Available:?http://training.parthenos-project.eu/training-modules/ 

  22. Pasek, J. E. & Mayer, J. (2019). Education needs in research data management for science-based?disciplines: Self-assessment surveys of graduate and faculty at two public universities.?ISTL: Issues in Science and Technology Librarianship, (92).?https://doi.org/10.29173/istl12 

  23. RDMLA (2022). RESEARCH DATA MANAGEMENT LIBRARIAN ACADEMY. Avilable:?https://rdmla.github.io/ 

  24. THE UNIVERSITY of EDINBURGH. (2022). MANTRA. Available: https://mantra.ed.ac.uk/ 

  25. Wiljes, C. & Cimiano, P. (2019). Teaching research data management for students. Data Science?Journal, 18(1), 38. http://doi.org/10.5334/dsj-2019-038 

  26. Wolff, A., Gooch, D., Montaner, J. J. C., Rashid, U., & Kortuem, G. (2016). Creating an?understanding of data literacy for a data-driven society. The Journal of Community?Informatics, 12(3). https://doi.org/10.15353/joci.v12i3.3275 

  27. Xu, Z., Zhou, X., Kogut, A., & Clough, M. (2022). Effect of online research data management?instruction on social science graduate students' RDM skills. Library & Information Science?Research, 44(4), 101190. https://doi.org/10.1016/j.lisr.2022.1011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