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독 서비스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효과 : 구독 서비스의 시간 제시 방식과 구독 유형을 중심으로
Communication Effect on Subscription Service : Focusing on Time Presentation Method and Subscription Type of Subscription Service 원문보기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v.23 no.2, 2023년, pp.7 - 14  

김태은 (순천향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박태희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최근 소비 패러다임이 '소유(possession)' 중심에서 '구독(subscription)'으로 변화하면서 구독경제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구독경제는 소비자가 제품 및 서비스를 비용을 지불하고 구매하여 한정된 시간 동안 제한적으로 이용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구독 서비스의 이용에 대한 시간제시 방식(기간/ 날짜)에 따라 소비자의 구독 서비스 이용 시간(기간)에 대한 주관적 인식이 구독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구독 서비스의 유형(실용/쾌락)에 따른 시간제시 방식의 차이가 구독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기간으로 제시할때, 날짜로 제사할 때 보다 더 높은 구독 의사를 보였다. 또한, 실용적 목적으로 소비하는 구독 서비스는 시간제시 방식에 따른 구독 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차이가 없었으나, 쾌락적 목적으로 소비하는 구독 서비스는 날짜보다 기간으로 이용시간을 제시하는 것이 더 큰 구독 의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이론적 의의와 실무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consumption paradigm shifts from 'possession' to 'subscription', the subscription economy market is growing rapidly. The subscription economy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consumers can pay for and purchase products and services and use them limitedly for a limited time. Therefore, this s...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구독 서비스의 선호 및 구독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소비자가 주관적으로 지각하는 이용시간(기간)에 초점을 맞춰, 시간 제시방식에 따른 차별적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소비자의 소비목적에 따라 구독 서비스의 유형을 실용재와 쾌락재로 나누어 각 유형의 시간 제시방식에 따른 이용태도와 구독의도에 대한 효과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구독 서비스 이용과 관련된 연구가 미비한 현시점에 이루어지는 초기연구로 소비자의 구독 서비스 제품에 대한 구독의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기업들의 구독 서비스 마케팅 전략 수립에 중요한 실무적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본 연구는 오늘날 소비의 한 형태인 구독경제 서비스 상품을 중심으로, 구독기간에 대한 주관적 인식이 구독 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구독 서비스는 가입 기간동안 매달 일정 금액을 지불하고, 서비스를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특성이 있다.
  • 따라서 소비자들이 구독하는 동안, 혜택을 누릴 수 있기 때문에, 이용시간(기간)을 어떻게 지각하느냐는 구독 서비스에 대한 구독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구독 서비스의 선호 및 구독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소비자가 주관적으로 지각하는 이용시간(기간)에 초점을 맞춰, 시간 제시방식에 따른 차별적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소비자의 소비목적에 따라 구독 서비스의 유형을 실용재와 쾌락재로 나누어 각 유형의 시간 제시방식에 따른 이용태도와 구독의도에 대한 효과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가설1 분석결과

  • 가설2-1. 구독 서비스가 쾌락유형일 경우, 이용시간 제시방식(기간/날짜)의 효과가 극대화 될 것이다.
  • 일반적으로 구독 서비스는 가입 기간동안 매달 일정 금액을 지불하고, 서비스를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구독 기간을 길게 지각할 경우, 소비자는 더 오랜 기간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매력적인 대안으로 인식하여 구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 가정하였다(가설1). 또한 이러한 효과는 구독 서비스의 소비 목적에 의한 구독 서비스 유형(실용/쾌락)에 따라 시간제시 방식에 따른 차별적인 효과를 보일 것이라 가정하였다(가설2).
  • 그러나 구독경제는 최종혜택을 얻는 시점이 존재하는 서비스가 아니라, 구독하는 기간중에 무제한으로 서비스를 이용하며 혜택을 지각하는 재화로써 사용 기간을 길게 지각하는 것은 재화에 대한 매력도를 높여, 구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첫 번째 가설로 구독이용 시간을 종료일(날짜)로 제시하는 것보다 기간으로 제시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 따라서 구독 기간을 길게 지각할 경우, 소비자는 더 오랜 기간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매력적인 대안으로 인식하여 구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 가정하였다(가설1). 또한 이러한 효과는 구독 서비스의 소비 목적에 의한 구독 서비스 유형(실용/쾌락)에 따라 시간제시 방식에 따른 차별적인 효과를 보일 것이라 가정하였다(가설2). 이를 확인하기 위해 구독 서비스 유형별로 동일한 1년의 기간을 구독기간과 종료날짜로 제공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S. Hwang, "The influence of time description forms on?consumers' preference for subscription products",?Korea Marketing Review, Vol. 35, No. 4, pp. 125-143, 2020.?DOI: http://dx.doi.org/10.15830/kjm.2020.35.4.125. 

  2. K. Park, J. C. Park, "The effects of future benefit?imagery on attitudes toward financial products -?focusing on the regulatory fit", Korea Marketing?Review, Vol. 32, No. 2, pp. 81-101, 2017.?DOI: http://dx.doi.org/10.15830/kmr.2017.32.2.81 

  3. R. A. LeBoeuf, "Discount rates for time versus dates:?The sensitivity of discounting to time-interval?descript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43,?No. 1, pp. 59-72, 2006.?DOI: https://doi.org/10.1509/jmkr.43.1.59 

  4. R. A. LeBoeuf, S. Eldar, "Anchoring on the 'Here' and?'Now' in time and distance judgments", Journal of?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Cognition, Vol. 35, No. 1, pp. 81-93, 2009.?DOI: http://dx.doi.org/10.1037/a0013665 

  5. A. Monga, R. Bagchi, "Years, months, and days versus 1, 12, and 365: The influence of units versus?number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 39,?No. 1, pp. 185-198, 2012.?DOI: http://dx.doi.org/10.1086/662039 

  6. N. Munichor, R. A. LeBoeuf, "The influence of?time-interval descriptions on goal-pursuit decisions,"?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55, No. 2, pp. 291-303, 2018.?DOI: https://doi.org/10.1509/jmr.14.008 

  7. M. Pandelaere B. Briers & C. Lembregts, "How to?make a 29% increase look bigger: The unit effect in?option comparison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Vol. 38, No. 2, pp. 308-322, 2011.?DOI: https://doi.org/10.1086/659000 

  8. D. Read, S. Frederick, B. Orsel & J. Rahman, "Four?score and seven years from now: The date/delay?effect in temporal discounting", Management Science,?Vol. 51, No. 9, pp. 1326-1335, 2005.?DOI: http://dx.doi.org/10.1287/mnsc.1050.0412 

  9. G. Ulkumen, M. Thomas & V. G. Morwitz, "Will I?Spend More in 12 Months or a Year? The Effect of?Ease of Estimation and Confidence on Budget?Estimate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 35,?No. 2, pp. 245-256, 2008.?DOI: https://doi.org/10.1086/587627 

  10. S. Kang, S. PARK & N. JEONG, "The effect of?subscription type, subscription period, and payment?mode on subscription cancellation intention", Journal?of Consumer Studies, Vol. 32, No. 3, pp. 1-25, 2021.?DOI: http://dx.doi.org/10.35736/JCS.32.3.1 

  11. M. Strahilevitz, J. G. Myers, "Donations to charity as?purchase incentives: How well they work may depend?on what you are trying to sell", Journal of Consumer?Research, Vol. 24, No. 3, pp. 434-446, 1998.?DOI: http://dx.doi.org/10.1086/209519 

  12. Gartner, "The Subscription Economy: Digital Disruption?Profile", 2018.?https://www.gartner.com/en/documents/3872126/the-subscription-economy-digital-disruption-profile 

  13. E. J. Shin, "Rapidly growing subscription economy,?changing the concept of consumption", 2019.?http://www.foodbank.co.kr/news/articleView.html?idxno57396 

  14. Y. H. Jung,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onsumer?issues in subscription economy", Korea Consumer?Agency Policy Research Report, 2019. 

  15. N. G. Baek, "A study on effect of the subscription-based online service on consumer perception value,?Repurchase Intention", Academy of customer satisfaction?management, Vol. 23, No. 2, pp. 49-71, 

  16. Y. Suh, R. Kim, "Un-subscribing; Categorization of?subscription services with satisfaction factors and the?reasons for exi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9, No. 9, pp. 125-133, 2021.?DOI: https://doi.org/10.14400/JDC.2021.19.9.125 

  17. D. Read, "Is time discounting hyperbolic or subadditive?",?Journal of risk and uncertainty, Vol. 23, No. 1, pp. 5-32, 2001.?DOI: http://dx.doi.org/10.1023/A:1011198414683 

  18. D. Read, "Subadditive intertemporal choice", in time?and decision, George Loewenstein, Daniel Read, and?Roy F. Baumeister, eds. New York: Russell Sage?Foundation, pp. 301-322, 2003. 

  19. S. A. Malkoc, G. Zauberman, & J. R. Bettman,?"Unstuck from the concrete: Carryover effects of?abstract mindsets in intertemporal preferences",?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Processes, Vol. 113, No. 2, pp. 112-126, 2010.?DOI: https://doi.org/10.1016/j.obhdp.2010.07.0034 

  20. R. Batra, O. T. Ahtola, "Measuring the hedonic and?utilitarian sources of consumer attitudes", Marketing?Letters, Vol. 2, No. 2, pp. 159-170, 1990.?DOI: https://doi.org/10.1007/BF00436035 

  21. R. Dhar, K. Wertenbroch, "Consumer choice between?hedonic and utilitarian goods", Journal of Marketing?Research, Vol. 37, No. 1, pp. 60-71, 2000.?DOI: https://doi.org/10.1509/jmkr.37.1.60.18718 

  22. C. W. Park, B. Mittal, "A Theory of Involvement in?Consumer Behavior: Problems and Issues", on J. N.?Sheth(ed.), Research in Consumer Behavior, Vol. 1, pp. 210-231, 1985. 

  23. A. F. Hayes,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Approach (3rd ed.)", Guilford publications, 2022. 

  24. R. Batra, O. T. Ahtola, "Sources of the hedonic and?utilitarian measuring attitudes consumer", Consumer?Attitudes, Vol. 2, No. 2, pp.159-170, 1990.?DOI: http://dx.doi.org/10.1007/BF00436035 

  25. T. Shim, S. Yoon, "A study on the effect of online?shopping mall characteristics on consumers'?emotional response, perceived value and intention to?revisit based on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Model(TAM2)",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cooperatioin Society, Vol. 21, No. 4, pp. 374-383, 2020.?DOI: https://doi.org/10.5762/KAIS.2020.21.4.374 

  26. H, J. Ahn, "Extraction of Keywords from Brand Images?Texts Using Network Analysis", Journal of Korean?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 10, No. 2,?pp. 176-182, 201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