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메타버스를 활용한 초등학생 대상 온라인 기반 학습형 STEAM 프로그램 개발
Developing an Online-based Learning STEAM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Metaverse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6 no.1, 2023년, pp.43 - 55  

박기락 (송광중학교) ,  김형범 (충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지방에 소재한 초등학교 2학년·4학년·6학년 197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메타버스를 활용한 온라인 기반 학습형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이 초등학생의 STEAM에 대한 태도와 만족도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본 것이다. 연구 수행을 위해서 각 학년군에서 각각 4~5차시의 온라인 기반 학습형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이를 적용하여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온라인 기반 학습형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은 초등학생의 STEAM에 대한 태도를 향상하는 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으며,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시범 적용 교사는 면담에서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수업 집중도가 굉장히 높았으며 메타버스 공간을 활용하는 것이 매우 흥미로웠다'는 긍정적 평가를 하였다. 시범 적용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의 학년군별 4 ~ 5차시에 해당하는 1종의 학생용·교사용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메타버스를 활용한 온라인 학습 프로그램은 교육 불평등을 해소하고 유연한 학습 환경을 제공하여 팬데믹 기간에 교육을 혁신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이에 중·고등학생을 위한 온라인 STEAM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n online-based learning STEAM program using Metaverse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and satisfaction with STEAM in 197 students in grades 2, 4, and 6 at a rural elementary school. To conduct this study, we developed and implemented a four- to fiv...

주제어

표/그림 (16)

참고문헌 (21)

  1. 고동국, 홍승호(2019). 3D 프린터를 활용한 TPACK 기반?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우리 몸의 구조와?기능' 단원 중 소화 기관을 중심으로. 생물교육,?47(2), 153-170. 

  2. 김덕호, 양지혜, 홍승호(2016). 3D 프린터 기반 기후 관련 STEAM 프로그램이 초등과학 영재 학생들에게?미치는 영향. 에너지기후변화교육, 6, 127-138. 

  3. 김상걸, 김형범, 김용기(2022). 3D 프린터 활용 체험형?STEAM 프로그램 개발 연구: '태양' 개념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5(1), 62-75. 

  4. 박현주, 백윤수(2015). 로봇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제안.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18(6), 3-10. 

  5. 서영준, 한도윤, 손윤정, 허윤정, 김형범(2022). AR/VR을?활용한 창의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천문 영역을?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5(2), 310-321. 

  6. 윤진영, 김연형, 이채원(2021). 메타버스를 활용한 창작 기반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지, 39(5), 273-283. 

  7. 이용섭(2021). 초등예비교사의 '지구와 우주' 영역에서?메타버스 활용가능성 제안.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4(3), 248-256. 

  8. 이주영, 김귀훈(2022). 인공지능과 과학 교과의 체계적인 융합을 위한 내용 체계 및 교수.학습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3), 623-640. 

  9. 이혜리(2022). STEAM 교육을 위한 에듀테크: 메타버스의 이해와 콘텐츠 활용. 문화예술융합연구, 3(1),?15-26. 

  10. 전재천, 장준혁, 정순기(2022). 메타버스 환경의 융합(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적용을 통한 학습자 태도 및 만족도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26(3), 187-195. 

  11. 정예희, 김형범, 박기락, 유상미(2023).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 연구: 일반계 고등학교 사례를?중심으로.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지, 23(1), 83-92. 

  12. 정유남, 이영희(2022).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초등융합교육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6),?561-580. 

  13. 최일훈, 소금현(2022). 메타버스를 활용한 기후변화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후소양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 37(2), 199-216. 

  14. 최재혁, 최호명, 박종석(2018). 레고 마인드스톰 로봇을?활용한 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과학교육연구지, 42(1), 1-11. 

  15. 한국과학창의재단(2018). 2017년 융합인재교육(STEAM)사업 성과 분석 연구[AD18030006].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16. 한아름, 나지연(2019). STEAM 수업에서 스마트테크놀로지 적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적용 유형과 어려움 및 지원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39(6), 777-790. 

  17. Dahan, N. A., Al-Razgan, M., Al-Laith, A., Alsoufi, M. A.,?Al-Asaly, M. S., & Alfakih, T. (2022). Metaverse?framework: A case study on E-learning environment?(ELEM). Electronics, 11(10), 1616. 

  18. Rachmadtullah, R., Setiawan, B., Wasesa, A. J. A., &?Wicaksono, J. W. (2023). Elementary school teachers'?perceptions of the potential of metaverse technology?as a transformation of interactive learning media in?Indonesia. International Journal of Innovative Research?and Scientific Studies, 6(1), 128-136. 

  19. Suh, W., & Ahn, S. (2022). Utilizing the metaverse for learner-centered constructivist education in the post-pandemic era: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Journal of Intelligence, 10(1), 17. 

  20. Vazquez-Cano, E. (2021).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ducation: A pedagogical challenge for the 21st century.?Educational Process: International Journal, 10(3), 7-12. 

  21. Veletsianos, G., VanLeeuwen, C. A., Belikov, O., & Johnson,?N. (2021). An analysis of digital education in Canada?in 2017-2019. International Review of Research in Open?and Distributed Learning, 22(2), 102-1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