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과학 수업에서 정리단계에 적용한 창의적 과학연극 수업의 효과
Impact of Creative Science Drama during the Class-closing Stage on Elementary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Attitudes toward Science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42 no.3, 2023년, pp.409 - 420  

김지숙 (호수초등학교) ,  최선영 (경인교육대학교) ,  권난주 (경인교육대학교)

초록

이 연구는 초등과학 수업의 정리단계에서 창의적 과학연극을 사용하는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 활용한 창의적인 과학연극은 수업의 정리활동으로서 교사가 학습주제에 대한 기본 대본을 제공한 후 나머지 이야기를 학생들이 배운 내용을 활용하여 대본을 완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윤혜경(2016)의 연구에 기초하여 창의적인 과학연극 수업을 고안하였고, 이 연구의 과학수업 내용은 3학년 1학기의 자석의 이용, 지구의 모습단원을 중심으로 지도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G시에 있는 H초등학교에서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연극을 통한 과학학업성취도에서는 실험반에서 향상되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았다. 그러나, 과학에 대한 태도는 ANCOVA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 둘째, 과학연극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과학연극을 적용한 실험반 학생들 면담 결과, 과학연극 대사를 작성하는 것이 어렵다는 의견과 모둠활동에서 의견을 조율하고 맞추는 토론과 협동이 가장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과학연극을 한 경험은 즐겁고 재미있었다는 의견도 다수 있었고, 배운 내용을 과학연극으로 하게 되어서 더 오래 기억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cience classes employing creative science drama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attitudes toward science during the final step of elementary science classes. The creative science drama used in this study is a class-closing activit...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26)

  1. 김대연, 김병주(2022). 예술꽃 씨앗학교의 교육연극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동체 역량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극학, 10(2), 25-42. 

  2. 김병주(2008). 연극을 통한 교육, 문화, 그리고 사회적 변화. 영미문화, 8(1), 29-56. 

  3. 김수연(2015). 과정중심 연극 만들기가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교육연극학, 7, 19-41. 

  4. 나지연, 장병기(2005). 과학 연극 수업이 과학 본성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24(5), 558-570. 

  5. 배정희, 서혜애, 윤진아(2017). 과학자를 소재로 한 과학연극 활동이 과학영재의 창의인성교육에 미치는 효과.?과학영재교육, 9(2), 101-116. 

  6. 여상인, 최영신, 임희준(2008). 과학연극이 초등학생의 과학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27(4), 328-340. 

  7. 윤혜경(2016). 과학연극을 통한 과학 교수 학습. 교육과학사. 

  8. 윤혜경, 나지연, 장병기(2004). 초등학교 과학 연극 수업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24(5), 902-915. 

  9. 허명(1993). 초.중.고 학생의 과학 및 과학교과에 대한?태도 조사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3), 334-340. 

  10. 황신영(2011).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과학창의성과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Abed, O. H. (2016). Drama-based Science Teaching and?it's Effect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Scientific?concepts and their attitudes towards science learning.?International Education Studies, 9(10), 163-173. 

  12. Aguilera., D. & Perales-Palacios, F. J. (2020). What?effects do didactic interventions have on students'?attitudes towards science? A meta-analysis. Research in?Science Education, 50, 573-597. 

  13. Alrutz, M. (2004). Energy matters. An investigation of?drama pedagogy in the science classroom (Dissertation).?Arizona State University, Arizona. 

  14. Annarella, L. A. (1992). Creative drama in the classroom.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ED: 391206) 

  15. Archila, P. A. (2015). Using history and philosophy of?science to promote students' argumentation. A teaching-learning sequence based on the discovery of oxygen.?Science & Education, 24(9), 1201-1226. 

  16. Bybee, R. W. (1997). Improving Instruction. In achieving?scientific literacy: From purposes to practice.?Portsmouth, N. H: Heinemann. 

  17. Ceylan, E., Polat, R., Akpinar, M., Ulusal, E., & Kalende,?S. (2015). Designing science instruction based on?creative drama: The effect on 6th grade students'?understanding and elimination of misconceptions.?International Online Journal of Education Science, 7(4),?1-10. 

  18. Dorion, K. (2009). Science through drama: A multicase?explo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drama activities?used in secondary science classrooms. International?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1(16), 2247-2270. 

  19. Fraser, B. J. (1981).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Handbook. Hawthorn, The Australian Council for?Education Research. 

  20. Hendrix, R., Eick, C., & Shannon, D. (2012). The?integration of creative drama in an inquiry-based?elementary program: The effect on student attitude and?conceptual learning. The Association for Science?Teacher Education, 23, 823-846. 

  21. Kentish, B. (1995). Hypothetical: deeping the understanding?of environmental issues through ownership of learning.?Australian Science Teachers Journal, 41(1), 21-25. 

  22. Kolovou, M., & Kim, N. J. (2020). Effects of implementing?an integrative drama-inquiry learning model in a?science classroom. The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113(3), 191-203. 

  23. Mutlu, A. (2021). An activity based on an inquiry- driven?creative drama: "stray animals need some shade".?Science Activities, 58(1), 1-12. 

  24. Posner, G. J., Strike, K. A., Hewson , P. W., & Gertzog,?W. A. (1982). Accommodation of a scientific?conception: Toward a theory of conceptual change.?Science Education, 66(2), 211-227. 

  25. Taber, K., De Trafford, T., & Quail, T. (2006). Conceptual?resources for constructing the concepts of electricity:?The role of models, analogies and imagination. Physics?Education, 41(2), 155-160. 

  26. Walan, S., & Enochsson, A. (2019). The potential of using?a combination of storytelling and drama, when teaching?young children science. European Early Childhood?Education Research Journal, 27(6), 821-83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